[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홍명보호가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안컵) 마지막 3차전에서 숙명의 라이벌 일본에게 패하며 대회 준우승에 그쳤다.
홍명보 감독이 이끄는 남자 축구대표팀은 15일 용인 미르스타디움에서 열린 일본과 남자부 최종전에서 0-1로 패했다. 한국은 최종 2승 1패(승점 6)로 2위에 그치며 통산 6번째 우승에 실패했다. 반면 일본은 대회 전승(승점 9)을 거두며 통산 3번째이자 동아시안컵 2연패를 달성했다.
![]() |
[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15일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일본과의 3차전 경기에서 프리킥을 준비하고 있는 이동경(왼쪽)과 김진규. [사진=대한축구협회] 2025.07.15 thswlgh50@newspim.com |
5회 우승으로 동아시안컵 남자부 최다 우승 기록을 보유한 한국은 직전 대회인 2022년에 넘겨준 트로피를 되찾는 데 실패했다. 또 사상 처음으로 A매치에서 한일전 3연패 수렁에 빠졌다. 최근 대표팀은 2021년 친선전과 2022년 동아시안컵에서 연거푸 일본에 0-3으로 졌다.
한국은 이번 경기에 총력전으로 나섰다. 홍콩전과 비교해 나상호(마치다 젤비아)와 서민우(강원FC)를 제외하고 대회 첫 경기인 중국전에 선발로 나섰던 선수 중 9명을 내세웠다. 중국을 상대로 득점을 올린 주민규(대전하나시티즌)가 최전방을 맡고, 중국전에서 선제골을 터뜨린 이동경(김천 상무)과 나상호가 측면에서 받쳤다.
미드필더는 왼쪽부터 이태석(포항 스틸러스), 김진규(전북 현대), 서민우, 김문환(대전)이 자리했다. 중국전에서 스리백을 구성했던 김주성(FC서울), 박진섭(전북), 박승욱(포항)이 이번에도 선발 출전했으며, 골키퍼 장갑은 '임시 주장' 조현우(울산 HD)가 꼈다.
![]() |
[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15일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일본과의 3차전에 선발 출전한 선수들. [사진=대한축구협회] 2025.07.15 thswlgh50@newspim.com |
동아시안컵은 국제축구연맹(FIFA)이 정하는 A매치 기간이 아닐 때 개최돼 소속팀이 차출에 응할 의무가 없어서 홍명보호도 유럽파나 중동 리그에서 뛰는 선수들 없이 K리거와 일본 J리거만으로 꾸려졌다.
한국이 먼저 기회를 잡았다. 전반 7분 이태석이 수비 진영에서 상대 패스를 끊어낸 뒤 전방으로 침투하던 나상호에게 한 번에 연결했다. 나상호가 이를 받아 페널티 지역까지 돌파 후 강력한 오른발 슈팅을 날렸으나 골대를 맞추며 아쉬움을 삼켰다.
한국은 이른 시간 실점하며 다소 어렵게 경기를 끌고 갔다. 전반 8분 소마 유키가 왼편에서 오른발로 문전을 향해 올린 크로스를 저메인 료가 정확한 왼발 슈팅으로 골문 구석에 꽂았다. 한국은 이번 대회 첫 실점을 기록했다. 저메인은 지난 홍콩과의 첫 경기에서 4골을 터트린 선수다.
첫 골을 내준 뒤 한국은 일본의 강한 전방 압박에 공격을 전개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일본은 안정적으로 수비를 구축한 상황에 측면 뒷공간을 공략했다. 한국은 이동경, 나상호를 통해 기회를 모색했지만 위협적인 장면은 만들지 못했고 전반전 내내 단 한 차례의 유효 슈팅도 기록하지 못했다.
![]() |
[서울=뉴스핌] 손지호 기자 = 15일 열린 2025 동아시아축구연맹(EAFF) E-1 풋볼 챔피언십(동아시안컵) 일본과의 3차전에서 일본 선수와 경합을 펼치고 있는 주민규의 모습. [사진=대한축구협회] 2025.07.15 thswlgh50@newspim.com |
후반전도 비슷한 양상이었다. 한국은 일본의 위험 지역까지는 침투했지만 마지막 패스가 정교하지 않았다. 후반전 시작하자마자 주민규 대신 교체로 들어간 이호재가 코너킥과 공중볼 상황에서 머리에 공을 갖다 댔지만 빗나갔다.
홍명보 감독은 후반 18분 문선민 투입 시켜 반전을 노렸다. 후반 29분에는 오세훈이 들어가 이호재와 함께 '장신 투톱'을 형성했다. 또 강상윤이 김진규 대신 들어가 득점을 노렸다. 이호재의 포스트 플레이와 문선민의 적극적인 돌파로 전반에 비해 일본 수비를 헐겁게 만드는 데엔 성공했으나 이를 뚫어내지는 못했다.
후반전 가장 좋은 장면을 만들었다. 후반 39분 김문환이 문전으로 올려준 공을 오세훈이 머리로 떨어트렸고, 이를 이호재가 멋진 가위 차기로 슈팅했으나 일본 골키퍼 오사코 케이스케에게 선방에 무산됐다. 후반전 막바지까지 공세를 높였으나 득점은 만들지 못했고 0-1로 경기가 끝났다.
thswlgh5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