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일까지 예상 강수량 많은 곳 400㎜ 이상
![]() |
[광주=뉴스핌] 조은정 기자 = 17일 기록적인 폭우가 쏟아진 광주 북구 신안동 인근에서 도로가 침수돼 차량과 주택 등이 물에 잠겼고 119 구조대가 실종자를 찾고 있다. [사진=독자제공] 2025.07.17 ej7648@newspim.com |
[광주=뉴스핌] 조은정 기자 = "이제 집에 가도 괜찮을까요?"…광주 곳곳은 여전히 두려움의 흔적
17일 하루, 광주전남 도심 전체가 거대한 물폭탄에 휩쓸렸다. 아침부터 밤까지 퍼부은 장대비와 천둥, 번개가 도심을 덮치며 시민들은 알 수 없는 불안과 위협에 시달렸다.
도심은 사실상 마비 상태였다. 직장인 김모(39·북구) 씨는 "하늘이 터질 듯 쏟아졌다. 버스도 지하철도 멈추고 도로가 강처럼 변했다. 결국 퇴근을 포기하고 회사에 남았다"고 말했다. 차량들은 움직이지 못하고 고립되었고 곳곳에서 "차 안에 갇혀 있다", "도로가 물바다로 변했다", "이제 집에 가도 괜찮을까요?" 등의 메시지들이 SNS로 쏟아졌다.
![]() |
[광주=뉴스핌] 조은정 기자 = 호우 특보가 발효된 17일 오후 광주 서구 광천동 인근 광주천의 물이 불어나 전남 화순, 담양에서 밀려드는 퇴근길 차량들과 이 길을 지나는 챠량 등으로 정체가 빚어지고 있다. 2025.07.18 ej7648@newspim.com |
폭우의 중심지였던 광주 북구는 이날 사실상 '물의 도시'로 변했다. 신안동, 용봉동, 문흥동, 북구청 사거리 등 150곳 넘는 도로와 저지대가 침수됐다. 한 카페 사장 정모(39·북구) 씨는"비가 오더니 가게 앞이 점점 잠기고, 어느새 문턱을 넘어 물이 들이쳤다. 정말 순간적으로 들이닥쳤다. 구청직원들이 가져온 펌프로도 소용이 없었다"며 눈시울을 붉혔다.
오후 1시20분, 오룡동 과학기술원 근처에서는 70여 명이 도로와 매장에 고립돼 구조를 기다려야 했다. "도로가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밖을 보니 물살에 차들이 둥둥 떠다녔다"며 당시 시민들은 극한 공포를 호소했다.
![]() |
[광주=뉴스핌] 조은정 기자 = 광주 전역에 폭우가 쏟아진 17일 광주 서구 쌍촌동 한 아파트 지하주차장이 물에 완전히 잠겨 출입이 통제 되고 있다. [사진=독자제공] 2025.07.18 ej7648@newspim.com |
마비된 도시…지하철·도로·상점까지 통제
광주 서구 쌍촌동의 한 대단지 아파트 지하주차장은 오후 들어 완전히 잠겨 현재까지 출입 자체가 통제된 상태다. 호남고속도로 일부 구간이 전면 차단되고 퇴근길 대란이 이어졌다. 도시철도 1호선은 침수로 한때 운행이 중단됐다가 복구 후 재개됐다.
광주송정역과 목포역을 오가는 고속열차는 오전 9시까지 운행이 중지됐으며 일반열차는 오후 18시까지 운항 중지 상태다. 또한 전날 내린 비로 오전 7시 기준 북구 운정교, 하남 가구의 거리, 광산구 벽파 삼거리 등 3곳의 도로를 통제 중이다.
![]() |
[광주=뉴스핌] 조은정 기자 = 17일 광주 북구 용봉동 전대 치대 인근 도로가 침수돼 차량이 멈춰서있다. 광주와 전남지역에 호우경보가 발효된 가운데 최대 150㎜가 넘는 폭우가 쏟아져 도로가 침수되고 건물이 잠기는 등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사진=독자제공]ej7648@newspim.com |
![]() |
강기정 광주시장은 하루 동안 역대 가장 많은 비가 쏟아진 17일 오후 폭우로 침수된 북구 신안교 일대를 돌며 피해 상황을 점검하고 있다. [사진=광주시] 2025.07.18 ej7648@newspim.com |
'인생 첫 경험' 기록적 폭우…누적 강수량 426.4㎜
광주에는 17일 0시부터 자정까지 누적 426.4㎜의 폭우가 쏟아지며, 역대 7월 일강수량 최고치를 갈아치웠다. 북구 풍암동 425.5㎜, 동구 조선대 407.5㎜, 광산구 광주과학기술원 420㎜를 기록했다.
광주의 평년 7월 한 달치 강수량(294.2㎜)을 하루 만에 모두 쏟아낸 셈이다. 일강수량 극값도 36년 만에 경신됐다.
광주지방기상청에 따르면 광주와 전남은 이날 낮부터 또다시 비가 시작된다. 비는 19일까지 200~300㎜, 많은 곳은 400㎜ 이상의 폭우가 더 내릴 전망이다.
밤시간에는 시간당 최대 80㎜의 강한 비가 돌풍과 천둥·번개를 동반하며 쏟아질 것으로 예보됐다. 또한 북태평양고기압의 확장 속도에 따라 지역별 강수량 편차가 크겠다며 최신 기상 정보 확인과 안전에 각별히 유의할 것을 당부했다.
광주시는 비상 3단계 대응 조치를 유지하고 있다.
ej7648@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