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정치 국회·정당

속보

더보기

[최연혁 교수의 정치분석] ③인사청문회는 왜 중요한가

기사입력 : 2025년07월20일 07:00

최종수정 : 2025년07월20일 07:00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네덜란드: 독립 위원회 기반의 제도화된 사전 검증 시스템

네덜란드는 의원내각제 국가 가운데에서도 공직자 검증을 제도화한 선도 국가로 평가받는다. 장관 후보자에 대한 사전 검증은 내각의 책임하에 이루어지되, 독립적인 윤리·공직자심사위원회(Integriteitscommissie)와 행정부 내무부 산하 공직검증팀의 이중구조를 통해 이루어진다. 모든 장관 후보자는 내정 직후 재산, 납세, 이해충돌, 과거 형사기록 등에 대해 비공개 윤리 심사 보고서를 제출해야 하며, 이 보고서는 총리실과 하원의장에게 사전 통보된다. 해당 보고서에서 심각한 문제 소지가 발견될 경우, 정당 지도부 간 협의에 따라 후보자 교체가 이루어지며, 이 과정은 통상 국왕의 명령을 통해 공식화된다(Netherlands Governance Review, 2020).

피터 메렐리스(Peter Merlevede, 2015)는 『유럽의 정치윤리와 공직자 검증(Public Ethics and Political Appointments in Europe)』에서 네덜란드의 이같은 시스템을 "제도화된 정치윤리의 표준 모델"로 평가한다. 그는 "사후 정치 공세를 방지하고, 청문 과정이 정책 중심의 토론으로 이어지게 하기 위해서는, 공직자에 대한 도덕성 검증은 정치 이전에 이루어져야 한다"고 강조한다. 실제로 네덜란드에서는 인사 발표 후 장관 낙마 사례가 매우 드물며, 이는 철저한 사전 검증 시스템이 정당 내 인사 검증과 유권자 신뢰 형성에 기여한 결과로 해석된다.

네덜란드는 또한 인사 검증과정의 제도화를 위해 2006년 '공직윤리법(Wet Integriteit Openbaar Bestuur)'을 개정해, 공직자 이해충돌·이중직 금지·윤리교육 의무 조항 등을 강화하였다. 이처럼 정당 내부와 국가 윤리 시스템의 협업을 통한 사전적 인사검증은 정쟁의 가능성을 사전에 차단하며, 국민에게 신뢰를 주는 제도적 설계로 평가받고 있다.

독일·일본: 정당 내부 검증과 비공식 조율

독일과 일본은 모두 의원내각제를 채택하고 있으며, 장관 임명은 총리가 내정하고 대통령이 형식적으로 임명장을 수여하는 구조다. 공식적인 인사청문 절차는 존재하지 않지만, 정당 내부에서 철저한 사전 검토와 후보자 평가가 이뤄진다.

독일 연방정부의 경우, 내각제 구조에 따라 장관은 총리 제안 후 대통령이 임명하나, 헌법이나 연방법률상 인사청문회 절차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신 정당 내부의 윤리규정 및 정책합의 시스템에 따른 사전 조율이 관행적으로 정착되어 있다. 각 정당은 "인사검증 평가위원회"(Gremium zur Kandidatenprüfung) 혹은 "정책인사 전략회의"(Strategiekonferenz zur Regierungsbildung)를 운영하며, 이 과정에서 경력, 납세, 범죄기록, 공직윤리 이력 등을 정밀하게 검토한다. 정당의 당헌 및 내규가 그 법적 근거로 작용하며, 행정부 공직자의 윤리규정은 『Bundesbeamtengesetz (연방공무원법)』과 『Ministergesetz (장관법)』에 따라 규율된다(Hans Vorländer, 2013; Bundestag Reports, 2017).

일본은 내각총리가 내정한 장관에 대해 자민당의 정무조사회 및 총재 직속 검증팀이 비공식 면접 및 청문을 시행한다. 관련 제도는 『공직윤리법(国家公務員倫理法)』 및 각 당의 '정무인사검증세칙(政務三役人事検証細則)'에 근거한다. 이 과정은 비공개로 이루어지며, 언론 보도를 통한 여론의 반응도 주요 고려 요소다. 구체적으로는 언론에서 의혹을 보도하면, 당의 '인사검토본부'(人事検討本部) 또는 '정무조사회'가 내정을 재검토하거나 철회 권고를 한다.

독일의 경우, 연립 정부 구성을 위한 정당 간 협상 과정에서 주요 부처 장관 후보가 내정되며, 이후 당내 윤리위원회 또는 국회 상임위 소속 의원들과의 비공개 면담 등을 통해 자질 검증이 이뤄진다. 일본 역시 자민당을 중심으로 정책조정회의나 총재 직속 비공개 간담회에서 장관 후보군을 검토하고, 언론에 비공식적으로 정보를 흘리며 여론 반응을 점검한 후 최종 내정하는 구조다(Ito Kenichi, 2014; 日행정개혁보고서, 2019).

국제정치학자 로버트 엘지(Robert Elgie, 2011)는 『의원내각제 국가의 내각책임성과 정치적 책임(Responsibility and Cabinet Selection in Parliamentary Democracies)』에서 "공식 청문절차는 없지만, 정당 시스템이 사전 정화 기능을 하며 언론과 시민사회가 비공식 청문회의 역할을 수행한다"고 지적하였다.

다만 이들 국가에서도 부적절한 내정자가 사회적 논란을 야기할 경우 사퇴하거나 교체되는 사례가 존재하며, 특히 독일에서는 부정행위나 논문 표절 문제로 인한 장관 낙마 사례가 다수 존재한다. 예를 들어 2011년 독일 국방장관 구텐베르크(Karl-Theodor zu Guttenberg)는 박사학위 논문 표절 논란으로, 일본에서는 하타 유이치로(羽田雄一郎) 국토교통대신이 과거 발언 논란으로 청문회가 없었음에도 사퇴 압력을 받아 사임한 바 있다.

미국 7대 대통령 앤드루 잭슨의 교훈: 스포일즈 시스템과 인사청문회의 제도화

미국에서 인사청문회가 공적 제도로 강화된 배경에는 앤드루 잭슨 대통령의 '스포일즈 시스템(spoils system)'이 중요한 전환점이 되었다. 잭슨은 1828년 대통령 당선 이후, 승자독식 원리에 따라 정치적 지지자들에게 대규모로 관직을 나눠주었고, 이는 무자격자 임명, 부패, 행정력 저하로 이어졌다. 스포일스 제도는 대통령이 정치인을 주요 공직자리에 앉히는 제도로 낙하산 제도라는 비판에도 불구하고 초기에는 부패한 기득권 세력의 교체라는 장점이 있었으나, 시간이 지날수록 도리어 공직매매라는 문제점을 안게 되었다.

공공행정학자 카렌 슈나이더(Karen Schneider, 1999)는 『스포일즈 시스템과 미국 공직 인사의 역사(Politics and Patronage in the United States)』에서 "잭슨식 인사 모델은 당시 엘리트 관료제에 대한 반감의 산물이었지만, 오히려 행정의 비전문성과 비효율성을 초래하였다"고 지적하였다. 스포일즈 시스템의 한계는 20대 제임스 A. 가필드 대통령의 암살(1881)이라는 비극으로 현실화되었고, 윌리엄 맥킨리 대통령 역시 유사한 방식으로 공격받으면서, 공직 인사에 대한 신뢰 회복의 필요성이 절실해졌다.

결국 1883년 펜들턴법(Pendleton Civil Service Reform Act)이 제정되어, 공무원의 채용을 실력과 경쟁 시험 기반으로 전환하였으며, 상원의 인사청문회는 이 법의 정신을 보완하는 제도적 장치로 자리 잡았다. 이후 인사청문회는 점차 사전 검증기능과 윤리적 책임성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발전하였고, 행정부의 권력 남용을 방지하고 인사권의 정당성을 확보하는 민주적 장치로 제도화되었다.

정치사학자 아서 슐레진저 주니어(Arthur M. Schlesinger Jr.)는 『미국 대통령제의 역사(The Age of Jackson and After)』(2000)에서 "잭슨의 인사는 대중민주주의의 산물이었지만, 제도화되지 않은 권력 남용의 상징이기도 했다"며, 청문회와 같은 사전 검증 장치의 도입이 미국 행정의 신뢰 회복에 결정적 역할을 했다고 평가하였다.

앤드루 잭슨과 그 후속 대통령들의 사례는 정치적 충성 중심의 인사가 민주주의에 어떤 위험을 초래하는지를 역사적으로 보여주며, 오늘날에도 청문회의 필요성과 제도적 정당성을 뒷받침하는 중요한 교훈으로 작용하고 있다.

각 국의 특징과 장단점 그리고 역사적 배경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최연혁 스웨덴 린네대학교 교수

*필자 최연혁 교수는 = 스웨덴 예테보리대의 정부의 질 연구소에서 부패 해소를 위한 정부의 역할에 관한 연구를 진행했다. 스톡홀름 싱크탱크인 스칸디나비아 정책연구소 소장을 맡고 있다. 매년 알메랄렌 정치박람회에서 스톡홀름 포럼을 개최해 선진정치의 조건에 대해 함께 고민하고 그 결과를 널리 설파해 왔다. 한국외대 스웨덴어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정치학 석사 학위를 받은 후 스웨덴으로 건너가 예테보리대에서 정치학 박사 학위를 받고 런던정경대에서 박사후과정을 거쳤다. 이후 스웨덴 쇠데르턴대에서 18년간 정치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버클리대 사회조사연구소 객원연구원, 하와이 동서연구소 초빙연구원, 남아공 스텔렌보쉬대와 에스토니아 타르투대, 폴란드 아담미키에비취대에서 객원교수로 일했다. 현재 스웨덴 린네대학 정치학 교수로 강의와 연구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저서로 '우리가 만나야 할 미래' '좋은 국가는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민주주의의가 왜 좋을까' '알메달렌, 축제의 정치를 만나다' '스웨덴 패러독스' 등이 있다.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법사위, 尹 서울구치소 CCTV 열람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국회 법제사법위원회(법사위)는 1일 윤석열 전 대통령의 수감 중 특혜 제공 여부와 특검의 체포영장 집행 당시 서울구치소 폐쇄회로(CC)TV를 열람하기 위해 현장검증에 나섰다. 추미애 법사위원장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소속 법사위원들은 이날 오전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를 방문해 윤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거부와 수감 특혜 의혹 등을 점검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원 불참했다.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추미애 법사위원장과 더불어민주당, 조국혁신당 소속 법사위원들은 1일 오전 경기 의왕 서울구치소를 방문해 윤 전 대통령의 체포영장 집행 거부와 수감 특혜 의혹 등을 점검했다. 국민의힘 의원들은 전원 불참했다. 2025.09.01 jeongwon1026@newspim.com 김용민 의원은 "국민의힘은 오늘 현장검증이 '망신주기용'이자 인권 침해라고 주장하고 있는데 정작 중요한 검증 절차에는 참여하지 않고 뒤에서 정치적 언사만 하고 있다"며 국민의힘 의원 불참에 유감을 표했다. 김 의원은 "오늘 검증해야 할 사안은 대한민국 형사사법시스템에서 매우 중차대한 문제"라며 "전직 대통령이라는 이유로 구치소에서 편하게 지내고 있다는 국민적 의혹이 해소되지 않는 한 대한민국 사법시스템은 국민으로부터 신뢰받지 못할 것"이라며 현장검증의 필요성을 재차 강조했다. 전현희 의원도 "CCTV를 열람하는 것은 윤석열에 대한 망신주기 목적이 아니다. 중대 범죄자의 체포영장 거부라는 법치주의 파괴 행태와 구치소 측의 특혜는 없었는지를 눈으로 확인하기 위함이다"며 "법치주의를 바로세우고 헌정질서를 회복하는 과정의 일환인 현장검증에 국민의힘이 자리를 비운 것은 매우 유감"이라고 말했다. 추미애 위원장은 "윤 전 대통령은 내란 혐의로 수사를 받으면서 조금의 양심이라도 있다면 응당 책임을 져야 함에도 불구하고 법치를 무시하고 부끄러운 모습을 연출하는 등 수사방해를 일삼고 있다"며 "오늘 현장검증을 통해 특혜 및 수사방해 상황을 면밀히 살피고 수용규칙 위반 등 사실이 확인될 경우 관련 규정에 따라 후속조치를 취하겠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울구치소 측에 8월 한달 간 윤 전 대통령의 변호인 접견 횟수와 구치소 내 변호인 접견방 개수, 변호인 접견 규정 일체 등의 자료를 요청했다. 박은정 조국혁신당 의원과 서영교 민주당 의원은 이명박·박근혜 전직 대통령의 변호인 접견 관련 자료와 윤 전 대통령의 총 접견 시간 및 인원 등 통계 자료를 요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9-01 11:08
사진
[변상문의 화랑담배] 제1회 산세타령 변상문의 '화랑담배'는 6·25전쟁 이야기이다. 6·25전쟁 때 희생된 모든 분에게 감사드리고, 그 위대한 희생을 기리기 위해 제목을 '화랑담배'로 정했다. [자료= 인공지능 AI 이미지] 판소리 춘향가에는 '산세타령'이라는 눈대목(가장 재미있는 부분 중 하나)이 있다. 방자가 춘향이에게 이몽룡의 사람됨을 각 지방 산세에 비유하며 설명하는 대목이다. 방자가 춘향이에게 "여보게 춘향이! 낭군을 얻으려면 뚜렷한 서울 양반 낭군을 얻지. 아, 어찌 시골 무지랭이를 얻으려는가?" 했다. 이에 춘향이가 "미친 녀석! 낭군도 시골 서울이 다르단 말이냐?"하며, 방자 말이 땅에 떨어지기도 전에 이불 개듯 개어 방자 귀에 쑤셔 넣었다. 방자는 "하믄 다르지야. 인걸은 지령이라. 사람이 하는 것은, 산세 따라 나는 법이여. 내가 우리 도련님 성품을 이를 테니 잘 들어 보소. 경상도 산세는 산이 웅장 허기로 사람이 나면 정직하고. 전라도 산세는 산이 촉(비옥함)하기로 사람이 나면 재주가 있고. 충청도 산세는 산이 순순하기로 사람이 나면 인정이 있고. 경기도 올라, 한양 터 보면 천운봉이 높고 백운대 섰다. 삼각산 세 가지 북주가 되고 인왕산이 주산이요, 종남산이 안산인디 동작이 수구를 막았기로, 사람이 나면 선할 때 선하고 악하기로 들면 별악지상(別惡之象)이라." 서울 남산 아래, 선할 때 선하지만 악하기로 들면 별악지상(別惡之象)인 땅. 그곳이 지금의 용산기지다. 이몽룡이 장원급제하고 남원골 춘향이를 만나러 간 길도 남대문-용산고-용산기지 23번 게이트-한강나루-남태령-과천 길이다. 용산은 용산구 효창공원 일대와 원효로 서쪽 일대 구릉지대를 말한다. 한강을 따라 서쪽으로 흐르는 구릉이 마치 용이 꿈틀대는 모습이어서 용산이라 불렀다. 대통령실이 들어선 국방부, 합참 지역의 구릉은 둔지산(屯之山)이다. 조선시대 때 직업군인 집단 거주 마을이 있었다. 이곳은 임진왜란 때는 일본군 병참기지로, 병자호란 때는 청나라군 후방지휘소였다. 임오군란 때는 흥선 대원군이 용산기지 캠프 코이너에서 청나라로 납치돼 갔다. 용산고 앞에서 청나라군과 조선군 간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다. 1894년 7월 청일전쟁이 터졌다. 일본군 소장 오시마가 이끄는 8000여 명의 일본군이 용산기지에 주둔했다. 조선총독부, 조선주차군사령부가 용산기지에 터를 잡았다. 부대 정문은 용산역 맞은편 아모레 퍼시픽 건물과 용산우체국 사이로 난 길을 따라 200m 정도 들어가면 나오는 문이다. 어김없는 별악지상(別惡之象) 땅이었다. 1950년 6월 25일 01:00 용산기지 내 육군본부 상황실에 전화벨이 울렸다. 당직 장교 작전국 대위 조병운이 수화기를 들었다. "충성! 옹진반도 제17연대입니다. 현재 시간 국사봉 북쪽 능선으로 병력 미상의 북한군이 접근하고 있습니다" 03:00 또 전화벨이 울렸다. "충성! 문산 제1사단입니다. 북한군이 구화리에서 도하용 주정(舟艇)을 운반하고 있습니다" 03:30 또 전화벨이 울렸다. "충성! 의정부 제7사단입니다. 적 포탄이 전 진지에 떨어지고 있습니다" 창밖에는 태풍 엘시가 비를 뿌리고 있었다. 육군본부 정보국 당직 장교 중위 김종필은 정보국장 장도영 대령에게 "전 전선에서 북한군이 공격해 오고 있습니다. 전군에 비상을 내려야 합니다. 국장님께서 빨리 상황실로 오셔야겠습니다"라고 보고했다. 용산기지가 또다시 별악지상(別惡之象)의 땅이 되고 있었다.  / 변상문 국방국악문화진흥회 이사장 2025-09-01 08:0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기사제목
기사가 번역된 내용입니다.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