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계별 대응 체제 통해 2220명 비상근무 투입
정부에 특별재난지역 지정 및 추가 지원 요청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는 19일 밤 기상특보 해제에 따라 20일 새벽 1시를 기점으로 재난안전대책본부 운영을 '비상 3단계'에서 '수습·복구' 단계로 전환하고 피해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모든 행정력을 집중한다고 밝혔다.
박완수 지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산청 등 집중호우로 피해가 극심한 지역에 대한 특별재난지역 지정과 응급복구비 지원을 정부에 요청했다.
![]() |
박완수 경남지사가 20일 오후 산청읍사무소 종합상황실에서 송언석 국민의힘 원내대표(왼쪽)와 경남지역 국회의원들과 피해 상황을 공유하고, 향후 복구 대책에 대해 함께 논의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2025.07.20 |
박 도지사는 "이제는 수습·복구에 전념해야 할 시기"라며 "모든 공직자가 한마음으로 신속한 복구와 이재민 지원에 전력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도는 우선 응급복구 인력과 장비를 집중 투입하고.이재민 주거·생계·심리지원 등 맞춤형 지원 대책을 병행한다. 20일 오후에는 주요 정당과 지역 국회의원들이 산청군 피해 현장을 찾았으며, 박 지사도 산청읍사무소 종합상황실에서 피해 상황을 공유하고 복구 대책을 협의했다.
경남도는 이번 집중호우에 대비해 ▲17일 '비상 1단계'▲같은 날 '비상 2단계'▲19일 '비상 3단계'로 단계별로 대응 수위를 높였으며 2220명의 공무원을 비상근무에 투입하고 5829세대 7482명을 선제 대피시켰다. 재난 현장에서는 반복 피해지역 점검과 위험요소 즉각 조치 등 신속한 현장 대응에 집중했다.
도는 특별재난지역 지정, 응급복구비(특별교부세) 및 산림·하천 복구 예산 등 추가 지원을 중앙정부에 요청하며 피해 규모가 큰 산청군 등지에 긴급 지원을 확대하고 있다.
이번 집중호우로 산청군은 19일까지 평균 607mm, 시천면에는 750mm가 넘는 기록적 폭우가 쏟아졌고 사망자 8~10명, 실종자 4~6명 등 막대한 인명피해와 1597명 대피, 도로·하천 등 곳곳의 기반시설 붕괴, 농작물 피해 등 지역사회 전반에 심각한 피해가 잇따랐다.
도는 모든 행정력을 총동원해 현장 복구와 이재민의 조속한 일상 회복, 추가 피해 예방에 만전을 기할 방침이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