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단소재·미래모빌리티·이차전지 산업벨트 조성
1조 5700억 투자, 1800여 명 고용 창출 기대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가 첨단소재·미래모빌리티·이차전지 등'기회발전특구 67.1만 평'이 추가 지정됐다.
조현준 경남도 통상경제국장은 2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밀양, 창녕, 하동 세 지역이 '기회발전특구'로 추가 지정되면서 첨단소재와 미래모빌리티, 이차전지 산업을 아우르는 첨단 산업벨트 조성에 본격 착수했다"고 밝혔다.
이번 지정은 경남도가 전국 최초로 도 단위 기회발전특구 상한면적인 200만 평(660만㎡)을 모두 채우는 성과를 거뒀다.
![]() |
조현준 경남도 통상경제국장(맨 왼쪽)이 29일 도청 프레스센터에서 기회발전특구 추가 지정과 관련해 브리핑을 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2025.07.29 |
산업통상자원부 고시를 통해 밀양 나노융합국가산단과 창녕 대합 및 영남산단, 하동 대송산단 일대 총 221만㎡(67.1만 평)가 기회발전특구로 확정됐다. 경남도는 약 7개월간 기본계획 수립부터 관계부처 협의와 현장 컨설팅까지 절차를 거쳐 최종 확정했다.
이번 특구에는 앵커기업 6개사와 협력기업 30개사 등 총 36개 기업이 입주할 예정이다. 이들 기업은 총 투자액 약 1조5764억 원과 함께 약 1,797명의 신규 고용을 창출할 것으로 전망된다.
도는 각 지역 특성을 반영해 맞춤형 전략을 수립했다. 밀양은 나노복합소재 및 수소부품 중심의 미래 첨단소재·부품 지구로 육성하고 창녕은 친환경 전기차 및 항공기 부품 중심의 미래모빌리티 소재·부품 지구로 개발한다. 하동은 수산화리튬 생산 및 이차전지 리사이클링 중심의 이차전지 모빌리티 소재 지구 역할을 맡는다.
입주 기업에는 소득세와 법인세 최대 7년 감면(5년100%, 추가2년50%), 취득세50% 감면, 재산세75% 감면(5년간), 지방투자촉진보조금 가산 지원 최대10%, 국비 보조금 최대200억원 등의 파격적인 세제 혜택이 제공된다.
전력·가스·용수 기반시설 확충뿐 아니라 교육 발전 특구 연계 인재 양성 프로그램 운영과 청년 주거 환경 개선 등 정주 인프라 구축에도 힘쓴다.
도는 향후 기회발전특구 면적 확대를 위해 산업통상자원부와 지방시대위원회 등에 지속 건의할 계획이다.
조 국장은 "이번 세 번째 특구 지정으로 경남은 전국 최초로 도 단위 상한 면적 목표 달성과 함께 첨단 산업 중심 균형 발전 기반을 마련했다"며 "지역 산업 구조를 혁신하고 양질 일자리 확대와 청년 인재 유입 촉진으로 지속 가능한 성장 토대를 구축하겠다"고 말했다.
기회발전특구 제도는 지방 이전 기업 유치와 대규모 투자를 촉진하기 위해 세제 감면부터 규제 완화까지 종합 지원하는 정책이다. 특구 내 입주하는 스타트업이나 이전 기업들은 최대 일곱 년간 다양한 세금 혜택을 받는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