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중앙 정부, 연 70만원 육아보조금 지급책 마련
저출산·고령화 위기 대응, 경제·산업 기대효과 기대
거대 수혜 기대되는 산업 연계 'A주 투자 방향' 주목
이 기사는 7월 30일 오후 4시1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 <'저출산 위기가 기회로'① 육아보조금 정책 속 포착된 투자방향>에서 이어짐.
◆ 밸류체인 연계 성장, 주목할 투자방향은?
육아 보조금 정책을 통해 출산율이 높아지고 육아 부담이 줄어드는 긍정적 효과가 발생할 경우, 그만큼 관련 서비스와 제품 시장 또한 성장할 수 있는 여력이 커질 전망이다.
수혜가 기대되는 산업 영역은 △엄마·아기(산모∙유아) 관련 제품 소매판매 △엄마·아기 패션 △엄마·아기 식품 △엄마·아기 일용품 △보육(아이 돌봄) 서비스 △아동 교육 △아동 의약품 △보조생식술(ART) 등으로 매우 다양하다.
그 중에서도 현재 시장의 높은 관심을 받는 영역으로 보육 서비스를 꼽을 수 있다.
중국 기업정보 플랫폼 치차차(企查查)에 따르면 최근 몇 년간 중국 내 아이 돌봄 서비스 관련 기업 수는 해마다 증가하고 있다. 2024년 말 기준, 관련 기업 수는 12만8500곳에 달해 역대 최고치를 또 한번 경신했다.
![]() |
[서울=뉴스핌] 배상희 기자 2025.07.30 pxx17@newspim.com |
중국 관영 증권시보(證券時報) 산하의 데이터 산출 플랫폼 수쥐바오(數據寶)에 따르면, 중국 본토 A주 시장에 상장된 아이 돌봄 서비스 테마주는 총 17개로 집계된다. 현지 기관과 매체에 의해 자주 거론되는 대표 종목을 소개해 보자면 다음과 같다.
① 화매홀딩스(華媒控股 000607.SZ) : 현재 유치원 2곳과 보육원 3곳을 운영하고 있다.
② 창원주식(創源股份300703.SZ) : 문화, 교육, 체육, 레저용품 사업을 운영하고 있으며 아동 조기교육 키트, 아동 글자카드, 아동 그림책 등의 제품도 판매하고 있다. 직영 교육센터 2곳을 운영하고 있어 아동을 위한 조기교육 물품과 교육 서비스를 제공한다.
③ 척유인터넷정보(拓維信息 002261.SZ) : 자회사 장정교육(長征教育)의 '클라우드 베이비-스마트 유치원(雲寶貝-智慧幼兒園)' 제품은 5G∙AI∙빅데이터 등 최첨단 정보 기술을 융합, 유치원 교육에 소프트웨어∙하드웨어 일체화 혁신 솔루션을 제공하고 있다. 현재 화웨이(華為) 클라우드가 운영하는 '엄선 쇼핑몰'에 입점한 유일한 스마트 유아 교육 제품이기도 하다.
④ 하이즈왕(孩子王 301078.SZ) : 강력한 육아 상담 팀을 보유하고 있으며 앱(APP)과 미니프로그램 등을 통한 사용자 시스템을 구축, 오프라인 디지털 매장에서 온라인 채널과 연동이 가능한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⑤ 아이잉스(愛嬰室 603214.SH) : 직영 매장, 앱, 미니프로그램 등 다양한 채널을 결합해 임신 준비 가정에서부터 6세 영유아 가정에 이르기까지 고품질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아이잉스 브랜드는 화동(華東) 지역 시장에서 소비자 인지도 1위 브랜드로 꼽힌다.
⑥ 탕모묘(湯姆貓 300459.SZ) :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및 부모∙자녀 상호작용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개발∙운영에 종사하고 있다.
⑦ 온리에듀(昂立教育 600661.SH): 실질적 지배주주인 상하이 교통대학교의 지원 하에 독자적 브랜드 구축, 비즈니스 확장, 커리큘럼 개발 등에 힘쓰며 교육 트레이닝 분야에서 입지를 확대하고 있다.
⑧ 시대출판(時代出版 600551.SH) : 조기교육센터를 통해 유아교육, 조기교육, 보육 등 여러 단계의 커리큘럼을 운영 중에 있다.
⑨ 화정과기(和晶科技 300279.SZ) : '스마트 트리(智慧樹)'라는 유아교육 클라우드 플랫폼을 운영 중에 있다. 유치원 교사와 학부모를 주요 서비스 대상으로 삼는 가정-유치원 통합 서비스 플랫폼 구축에도 중점을 두고 있다.
⑩ 선빔그룹(孚日股份 002083.SZ) : 보육 과정 인큐베이션에 집중한 웨바오위안(悅寶園) 브랜드를 운영 중에 있다.
⑪ 두신교육(豆神教育 300010.SZ) : 교육 서비스(스마트 교육, 교과 응용, 가정 교육 솔루션 등)와 정보 보안 기술(기술 개발, 시스템 통합 등) 사업에 관여하고 있다. 2024년에는 교육 데이터 제품 및 서비스 사업에 집중, 같은 해 10월 30일 AI 교육 제품인 '두신AI(豆神AI)'를 출시했다.
⑫ 진파라비(金發拉比 002762.SZ) : 의료미용, 산부인과, 산모·유아 돌봄, 보육 등 다양한 관련 사업에 관여하고 있다. 엄마 고객층의 소비 업그레이드 수요를 충족시키고, 엄마와 자녀의 동반 소비 생태계 구축에 힘쓰고 있다.
이들 12개 대표 보육 테마주 중에서 주가 측면에서는 7월 28일 최신 종가 기준으로 올해 들어 79% 가까이 오른 척유인터넷정보가 가장 눈에 띈다.
실적 측면에서 보면 하이즈왕, 두신교육, 창원주식, 진파라비 등이 2024년 흑자를 기록했다. 그 중 두신교육은 순이익 기준으로 지난해 334.04%, 올해 1분기 68.05%의 성장률을 기록해 압도적으로 높은 성장률을 기록 중이다.
2024년 두신교육이 실적을 크게 끌어올릴 수 있었던 것은 △예술 분야 학습 서비스 사업의 콘텐츠 최적화 △강의 방식 업그레이드 △인공지능(AI) 교육 애플리케이션 개발 △판매 채널의 다양화 등을 통한 매출총이익률 상승에 기인한다.
[본 기사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며, 투자를 권유하거나 주식거래를 유도하지 않습니다. 해당 정보 이용에 따르는 책임은 이용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pxx1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