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은 '6월 국제수지'…"반도체 美 관세 부과와 별개로 호황 역대 최장 국면 예상"
상품 수지 131.6억 달러 흑자·역대 3위, 26개월 연속 흑자 2000년 이후 세 번째
[서울=뉴스핌] 온종훈 선임기자 = 우리나라가 지난 6월 국제수지에서 역대 최대인 142.7억 달러의 경상흑자를 기록했다. 국제수지에서 흑자기조는 6월까지 26개월 연속 이어졌으며 이는 2000년 이후 역대 세번째로 긴 흐름이다.
한국은행은 7일 '6월 국제수지'에서 상품수지가 반도체 등 정보기술(IT)과 비IT가 동시 호조를 보이면서 수출이 한달 만에 증가 전환하면서 131.6억 달러의 흑자를 보이고 배당소득을 중심으로 본원소득수지가 41.6억 달러 흑자를 나타낸데 힘입어 사상 최대인 142.7억 달러의 경상흑자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상품수지에서 수출이 603.7억 달러로 전년동월대비 2.3% 증가해 5월(-2.9%) 감소에서 한달 만에 증가전환했다. 통관기준으로 반도체 수출은 6월 전년동월대비 11.3%, 컴퓨터주변기기 13.6% 증가했고 비 IT 중 의약품의 경우 51.8% 증가했고 승용차는 0.3% 감소로 전월에 비해 감소폭이 줄었다.
수입도 472.1억 달러로 자본재, 소비재의 증가세가 확대되고, 원자재 감소폭이 축소되면서 3개월 만에 증가(0.7%)로 전환했다.
신승철 경제통계 1국장은 "반도체(수출)는 한미 관세협상에서 최혜국 대우를 받기로 한 만큼 관세 부과의 상대적 영향이 크지 않을 전망"이라며 "관세 부과전 선수요가 있기도 했지만 이와 별개로 인공지능(AI) 등 수요로 반도체의 호황 국면은 최장 국면을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다.
신 국장은 "의약품도 반도체와 같은 대우를 받기로 했지만 수출이 크게 는 것은 관세 부과전 '선수요' 효과가 큰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전월(106.6억 달러)대비 상품수지 흑자는 131.6억 달러로 확대됐다. 이는 2017년 9월 145.2억 달러, 2016년 3월 133.2억 달러에 이어 월간 기준 역대 3위의 흑자규모다.
서비스수지는 여행, 기타사업서비스 등을 중심으로 25.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본원소득수지는 배당소득의 증가 흐름이 지속 된 데다 배당지급도 전월의 기조효과로 줄며 41.6억 달러 흑자를 나타냈다. 이전소득수지는 5.3억 달러 적자를 기록했다.
금융계정은 172.9억 달러 순자산 증가했다.
직접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39.2억 달러 증가하고 외국인 국내투자는 7.4억 달러 증가했다. 내국인해외투자는 지분투자를 중심으로 전월(41.3억 달러)과 비슷한 수준으로 이어졌다.
증권투자는 내국인 해외투자가 주식을 중심으로 98.4억 달러 증가하고 외국인 국내투자는 채권을 중심으로 54.1억달러 증가했다.
파생금융상품은 12.3억 달러 감소하고 기타투자는 자산이 대출을 중심으로 68.9억 달러 증가했다. 부채는 차입을 중심으로 10.1억 달러 감소했다. 국제수지상 외환보유고 등 준비자산은 30.0억 달러 증가했다.
![]() |
[자료=한국은행] 2025.08.07 ojh1111@newspim.com |
ojh111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