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 서울서 '2025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 열려
정 이사장, 모빌리티 내 사회적 격차 지적
"안전한 모빌리티 생태계 만들겠다"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모빌리티 분야의 해결 과제로 자율주행·전기차·도심항공교통(UAM) 등 신기술이 가져올 미래 변화와 사회적 격차 해소가 제시됐다.
![]() |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9일 정용식 한국교통안전공단(TS) 이사장이 '2025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에서 환영사를 하고 있다. 2025.09.09 chulsoofriend@newspim.com |
9일 정용식 한국교통안전공단(TS) 이사장은 서울에서 열린 '2025 글로벌 모빌리티 콘퍼런스' 환영사를 통해 이 같이 밝혔다.
정 이시장은 "급격한 모빌리티 기술 발전 속에서 지역과 세대, 계층 사이 차이가 커지고 있다"며 "로봇 택시가 운행되는 지역이 있는가 하면 시장이나 병원에 갈 버스 노선도 없는 곳도 있는 것이 현실"이라고 말했다.
이어 "이 같은 사회적 격차는 국민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교통 복지의 실현과 지속 가능한 모빌리티 시대를 열어가는 데 장애물이 될 수 있다"고 부연했다.
모빌리티와 AI(인공지능) 기술 결합의 장단점도 언급했다. 그는 "AI는 교통 안전 향상과 수요 예측, 최적 경로 탐색,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 등에서 혁신을 보이고 있으나 이와 동시에 알고리즘의 편향이나 개인 정보 침해, 일자리 감소 등의 부작용이 있는 것도 사실"이라며 "첨단 기술을 적극적으로 활용하되, 부작용에 대한 제도적 대비책을 마련하는 데 지혜를 모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마지막으로 "TS는 모빌리티 안전을 책임지는 기관인 만큼, 모빌리티 기술이 더 안전하고 공정한 방향으로 발전할 수 있도록 정부나 국제 사회와의 협력을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이날 콘퍼런스는 '함께 만드는 미래 : 혁신으로 여는 새로운 가능성'을 주제로 열렸다. TS 모빌리티지원센터, 삼성화재, 대한교통학회, 한국교통연구원, 건국대학교 모빌리티인문학 연구원이 공동으로 참여해 의미를 더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