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년물 입찰 흥행, 장기 금리 추가 하락
2년·10년·30년물 금리 일제히 내려
달러 혼조·중동·동유럽 긴장 고조
[서울=뉴스핌] 고인원 기자= 미 국채금리가 10일(현지시간) 일제히 하락했다. 미국의 8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예상과 달리 마이너스를 기록하면서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기준금리 인하 가능성에 힘이 실린 데다, 이날 진행된 10년물 국채 입찰이 흥행에 성공한 영향이다.
미 노동부에 따르면 8월 PPI는 전월 대비 0.1% 하락했다. PPI가 감소세를 보인 것은 4개월 만으로, 서비스 가격 하락이 주효했다. 시장 예상치(+0.3%)도 크게 밑도는 결과다.
액션이코노믹스의 김 루퍼트 이사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이 잭슨홀에서 이미 완화 가능성을 시사했지만, 이번 수치는 연준이 인하할 여지를 더 열어줬다"며 "이제는 0.25% 포인트(p)냐, 0.5%p냐의 문제"라고 평가했다.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9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0.25%p 인하 가능성을 90% 반영하고 있다. 0.5%p 인하 가능성도 10%까지 높아졌다. 다만 시장은 다음날(11일) 발표될 소비자물가지수(CPI)를 더 중시하는 분위기다.
![]() |
미 국채 10년물 금리 최근 5일 흐름, 자료=야후 파이낸스, 2025.09.11 koinwon@newspim.com |
◆ 10년물·30년물 금리 동반 하락
이날 뉴욕 채권시장에서 벤치마크인 10년물 금리는 3.6bp(1bp=0.01%포인트) 내린 4.038%를 기록했다. 30년물도 장중 반등했으나 결국 3.2bp 떨어진 4.685%에 마감했다. 2년물은 0.4bp 하락한 3.538%를 기록했다.
한편 이날 미 재무부가 실시된 390억달러 규모의 10년물 국채 리오픈(추가 발행)에는 높은 수요가 유입되며 발행 수익률이 4.033%로 결정됐다. 지난 입찰의 4.255%에 비해 낮은 수준으로, 작년 9월 이후 최저치다.
응찰률(bid-to-cover ratio)은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으며, 해외투자 수요를 가늠하는 잣대인 간접 낙찰률도 83.1%로 지난 4월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시카고 DRW 트레이딩의 루 브리엔 전략가는 "직접 응찰자(대형 펀드·은행)가 밀려날 정도로 외국인 수요가 두드러졌다"고 설명했다. 전날 3년물 입찰에 이어 장기물 수요가 확인되면서 11일 예정된 300억달러 규모 30년물 입찰에도 관심이 쏠린다.
◆ 달러·외환시장도 반응
미 달러화는 이날 좁은 범위 내 혼조세를 보였다. 지정학적 긴장이 이날 시장에 부담을 주었다. 이스라엘이 앞서 10일 카타르 수도 도하에서 하마스 고위 지도부를 겨냥한 공습을 단행해 중동 긴장이 다시 고조됐으며, 폴란드는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서부 공격 중 자국 영공에 진입한 드론을 격추했다.
2022년 우크라이나-러시아 전쟁 발발 이후 나토(NATO·북대서양조약기구) 회원국이 자국 영공에서 러시아 자산으로 추정되는 비행체를 실제로 격추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의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지수(DXY)는 97.74로 소폭 하락했으며, 유로/달러는 1.1706달러로 보합권에 머물렀다. 달러/엔은 147.31엔으로 소폭 약세를 보였다.
한편, 워싱턴 연방법원은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리사 쿡 연준 이사 해임 시도를 일시 차단했다. 쿡 이사는 법원에 자신에 대한 트럼프의 해임을 막아달라고 법원에 요청했었다. 사건은 결국 연방대법원으로 향할 전망이다.
koinw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