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란에 핵 사찰 재개 압박 차원
국무부 "미국서 쇼핑 즐기지 말라"
[워싱턴=뉴스핌] 박정우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가 유엔 주재 이란 외교관들의 코스트코 등 대형 회원제 할인점 출입을 공식 금지했다. 이번주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리고 있는 유엔총회를 계기로 유엔 회원국 외교관을 겨냥한 이례적인 압박 조치라는 지적이다.
트럼프 행정부는 23일(현지시간) 연방 관보를 통해 뉴욕에 상주하는 유엔 이란 대표부 소속 외교관과 유엔 관련 업무를 위해 미국을 방문하는 이란 관리들이 대형 회원제 할인 매장의 유료 회원권을 보유하거나 해당 매장에서 쇼핑이 전면 금지된다고 밝혔다. 또 고급시계, 가죽제품, 향수, 만년필 등 1000 달러(139만 원) 이상 고급품(차량은 6만 달러, 8369 만원 이상)을 구매하려면 반드시 미 국무부의 사전 허가를 받아야 한다. 앞서 토미 피곳 국무부 부대변인은 22일 소셜미디어 X에 올린 성명을 통해 "우리는 이란 정권이 자국 국민을 빈곤과 생필품 부족에 몰아넣으면서 성직자 엘리트들에게 미국에서 쇼핑을 즐기는 것을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 |
2025년 9월23일 미국 뉴욕 유엔본부에서 열리고 있는 제80차 유엔총회 전경.[사진=로이터 뉴스핌] |
워싱턴포스트(WP)는 유엔 주재 이란 대표부가 이번 조치에 대해 논평을 거부했다며 뉴욕과 인근 지역에는 여러 회원제 대형 할인점이 있으며, 맨해튼 이란 대표부에서 자동차로 5마일(8킬로미터)도 채 안 되는 거리에 코스트코 매장이 있다고 전했다. 트럼프 행정부의 이번 조치는 국제원자력기구(IAEA)의 핵 사찰과 미국과의 핵 협상 재개 등을 이란 당국에 압박하기 위한 차원으로 풀이된다.
WP에 따르면 미국과 외교 관계를 수립하지 않은 국가도 유엔본부가 있는 뉴욕에 대표부를 둘 수 있지만 이들 국가와 일부 국가 외교관들은 미국 내 이동에 제약이 따른다. 북한을 포함해 벨라루스, 중국, 쿠바, 에리트레아, 이란, 러시아, 시리아, 베네수엘라 외교관들은 맨해튼 중심부인 콜럼버스 서클에서 반경 25마일(40킬로미터) 이상 이동할 경우 국무부에 신고해야 한다.
앞서 트럼프 행정부는 이번주 유엔 총회를 앞두고 팔레스타인 자치정부(PA) 및 팔레스타인 해방기구(PLO) 관계자들에 대해 비자 발급을 거부하거나 취소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에 따라 마무드 아바스 팔레스타인 자치정부 수반은 22일 프랑스와 사우디아라비아가 주최한 팔레스타인 국가 수립 관련 고위급 국제회의에 화상으로만 참석할 수 있었다.
dczoom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