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린수소 생산해 도내 수소버스 운영
청정수소 생태계 구현…수소경제 앞장
24~26일 '글로벌 수소포럼' 집중 조명
[제주=뉴스핌] 최영수 선임기자 = 재생에너지로 만든 그린수소를 기반으로 수소경제가 성큼 다가오고 있다.
특히 풍력발전을 비롯한 재생에너지가 풍부한 제주도는 수소경제를 앞서 구현하고 있어 국내는 물론 전 세계가 주목하고 있다.
이 같은 성과는 지난 24일부터 오는 26일까지 사흘간 제주 국제컨벤션센터에서 개최되는 '2025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에서 집중 조명되고 있다.
제주도가 주최하고 산업통상자원부와 현대자동차가 후원하는 이번 포럼에는 국제에너지기구(IEA), 글로벌녹색성장기구, 주요국(독일, 덴마크, 태국 등) 대사관 등 9개국 106개 기관·기업·대학 등이 참여했다.
이번 포럼은 '그린수소와 분산에너지로 여는 K-탄소중립 이니셔티브'를 주제로 각국의 정책 및 기술·시장 동향을 공유하고 그린수소 생태계 구현 방안을 논의했다.
![]() |
두산에너빌리티는 자사가 개발한 10MW 해상풍력발전기가 국제 인증기관 UL로부터 형식인증(Type Certification)을 취득했다고 23일 밝혔다. [사진=두산에너빌리티] |
산업부와 제주도는 그린수소 생산역량 확보를 위해 2017년 ▲250kW급 수전해 실증(2017~2021)을 시작으로 ▲행원 3.3MW 수전해 단지(2020~2024) 구축을 완료했으며, 현재는 ▲10.9MW 수전해 단지(~2027)를 구축하고 있다.
특히 3.3MW 규모의 행원단지는 지난해 9월부터 하루에 약 200kg의 수소를 생산해 도내 수소버스(17대)와 수소 승용차에 공급하고 있어 재생에너지 기반의 청정수소 생태계 구현 가능성을 보여주는 국내 첫 사례로 손꼽힌다.
이러한 성과를 기반으로 산업부는 제주도와 서남해 등 재생에너지 밀집지역에 50MW~100MW 규모의 대규모 그린수소 생산 실증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다.
이번 실증사업은 새정부의 15대 초혁신경제 선도 프로젝트로 선정됐다. 산업부와 기재부 등 정부부처와 산학연이 참여하는 합동 추진단을 구성하고, 재정·세제·금융·규제개선 등 국가 역량을 총동원해 집중 지원할 예정이다.
박덕열 산업부 수소경제정책관은 25일 포럼 축사를 통해 "청정수소 기반 수소경제 구현을 위해서는 국제적인 협력과 연대가 필요하다"면서 "그린수소 글로벌 포럼을 통해 성공경험을 공유하고 상호협력을 강화해 나가는 협력의 장이 만들어지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drea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