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형일 거인의어깨 대표
'거인의어깨'는 교육 1번지 대치동에서 25년째 입시컨설팅 활동을 하고 있는 입시컨설팅 전문회사입니다. 25년간의 축적된 데이터와 다양한 입시경험을 통해 뉴스핌에 연재하는 '거인의어깨 입시컨설팅'은 김형일대표가 전국 수험생 및 그 학부모님들을 위해 올바른 입시전략을 제시하는 입시칼럼입니다.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은 2025년 11월 13일(목)에 시행된다. 수험생들은 아침 8시 10분까지 지정 고사실에 반드시 입실해야 하며, 1교시 국어부터 5교시 제2외국어/한문까지 하루 종일 이어지는 장시간 시험을 치르게 된다.
시험 시간은 총 9시간 이상에 달하며, 단순히 지식뿐 아니라 체력·집중력·멘탈 관리가 성패를 좌우한다. 수험생들이 각 교시별로 유의해야 할 준비사항을 정리하여, 시험장에서 자신의 실력을 최대한 발휘할 수 있도록 돕고자 한다.
![]() |
| 김형일 거인의어깨 대표. |
◆ 1교시 국어 (08:40 ~ 10:00)
수능의 시작은 국어이며, 국어 성적은 전체 체감 난이도를 좌우하며, 하루 컨디션의 출발점이 된다.
1. 준비사항
(1) 시험 시작 전 20~30분간은 문제집이 아닌 짧은 지문 읽기로 두뇌를 가볍게 워밍업.
(2) 국어는 지문 길이와 집중력 싸움이므로, 시험 전날 밤 과로하지 않고 충분히 수면 확보.
(3) 마킹 실수 방지를 위해 문제를 풀 때마다 번호와 답안을 확인하는 습관을 유지.
2. 주의할 점
(1) 첫 교시부터 난이도 높은 문항에 막히면 심리적으로 위축.
(2) 긴장으로 인한 손 떨림이나 호흡곤란을 방지하기 위해 호흡 조절법으로 천천히 숨 들이마시고 내쉬기를 익힘.
![]() |
|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6월 모의고사가 열린 4일 오전 서울 광진구 광남고등학교에서 3학년 학생들이 OMR카드에 마킹을 하고 있다. 2025.06.04 photo@newspim.com |
◆ 2교시 수학 (10:30 ~ 12:10)
수학은 수험생들이 가장 긴장하는 교시 중 하나다. 문제 난도 차이가 크고, 시간 배분 실패가 자주 발생한다.
1. 준비사항
(1) 쉬는 시간에 간단한 초콜릿, 견과류 등으로 혈당을 안정시켜 집중력을 유지.
(2) 수학 시험 전에는 계산 도구 점검(연필, 지우개, 샤프심)을 반드시 확인.
(3) 기출 유형별 풀이 루틴을 마지막까지 정리해두면 시험장에서 불안감이 줄어든다.
2. 주의할 점
(1) 문제 순서 고집하지 말기: 킬러 문항은 과감히 건너뛰고, 중간 난이도 문제를 최대한 확보.
(2) 계산 실수를 줄이기 위해 답안 작성 전 반드시 검산 습관을 유지.
![]() |
| [서울=뉴스핌] 류기찬 인턴기자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100일 앞둔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를 찾은 불자들이 기도를 하고 있다. 2025.08.05 ryuchan0925@newspim.com |
◆ 점심시간 (12:10 ~ 13:00)
점심시간은 단순한 식사 시간이 아니라 후반부 컨디션을 결정짓는 핵심 시간이다.
1. 준비사항
(1) 평소 먹던 음식 위주로 준비하고, 과식은 피해야 함.
(2) 기름지고 자극적인 음식은 졸음과 소화불량을 유발할 수 있음.
(3) 10분 정도 조용히 눈을 감고 휴식을 취하면 이후 집중력 회복에 도움.
◆ 3교시 영어 (13:10 ~ 14:20)
오후 첫 시험은 영어다. 점심 후 졸음이 몰려올 수 있으므로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
1. 준비사항
(1 시험 직전에는 짧은 단어 복습 정도만 하고, 새로운 학습은 지양.
(2) 시험 시작 전 가볍게 몸을 움직여 혈액순환을 촉진.
2. 주의할 점
(1) 듣기 시험(13:10 시작)은 시험장 내 작은 잡음에도 집중이 흐트러질 수 있음. 이어지는 방송 멘트를 긴장하지 말고 자연스럽게 따라가야 함.
(2) 독해는 시간 안배가 중요하다. 지문당 시간을 정해두고, 어려운 문제에 집착하지 않음.
![]() |
| [서울=뉴스핌] 류기찬 인턴기자 = 2026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을 100일 앞둔 5일 오후 서울 종로구 조계사를 찾은 불자들이 수능 고득점을 기원하는 발원문을 가지고 있다. 2025.08.05 ryuchan0925@newspim.com |
◆ 4교시 한국사 + 탐구 (14:50 ~ 16:37)
4교시는 집중력의 한계가 찾아오는 구간이다. 특히 탐구 영역은 과목별 시험 시간이 짧아 시간 관리가 절대적으로 중요하다.
1. 준비사항
(1) 한국사는 절대평가이므로 큰 그림 복습 위주로 정리.
(2) 탐구 과목은 문제 순서 확인과 시간 분배 계획을 미리 머릿속에 입력.
2. 주의할 점
(1) 탐구 2과목 응시자는 첫 과목 종료 후 시험지를 제출하고 두 번째 과목을 새로 받으며, 이때 당황하지 않도록 절차를 미리 숙지.
(2) 시간 부족으로 마지막 문제를 놓치지 않도록, 반드시 전체 문제 스캔 → 시간 배분 → 빠른 답안 작성 원칙을 지킴.
◆ 5교시 제2외국어/한문 (17:05 ~ 17:45)
선택 응시 교시지만, 일부 학생에게는 최종 점수를 좌우하는 중요한 과목이다. 하루의 피로가 극에 달하는 시간이므로 끝까지 집중력을 유지해야 한다.
1. 준비사항
(1) 시험 시작 전 간단한 수분 섭취와 심호흡으로 몸을 깨운다.
(2) 문제풀이보다는 평소 정리한 요약 노트를 훑는 정도로 마무리.
2. 주의할 점
(1) 피로로 인한 단순 실수가 잦다. 문제를 꼼꼼히 읽고, 답안 작성 시 번호 착오가 없도록 주의.
(2) 마지막 교시라는 생각보다는 "끝까지 최선을 다한다"는 마음가짐이 중요.
◆ 결론
2026학년도 수능은 11월 13일 단 하루에 치러진다. 그날 하루의 컨디션과 집중력이 지난 3년의 노력을 결정짓는다.
따라서 각 교시별 특징을 이해하고 시간대별 맞춤 전략을 세워야 한다. '국어'는 긴 지문과 집중력 관리, '수학'은 시간 배분과 계산 실수 방지, '영어'는 점심 후 졸음 극복과 듣기 집중, '탐구'는 빠른 적응과 시간 분배, '제2외국어/한문'은 끝까지 집중 유지다. 마지막까지 흔들리지 않고 교시별 준비사항을 철저히 점검한다면, 수능 당일 자신의 실력을 온전히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