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 정동영 장관 발언 둘러싼 엇박자
김정은-트럼프 회동 여부 혼선 부추겨
"지나친 기대감 보다 냉철한 분석 필요"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정동영 통일부 장관이 최근 판문점에서 벌어진 북한군의 제초작업을 두고 '북미 정상 회동의 징후'라는 입장을 피력한데 대해 대변인이 이를 "통상적인 것"이라고 부인하는 상황이 27일 벌어졌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이번 주 경주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판문점 등에서 전격 회동할 가능성을 놓고 초미의 관심이 쏠린 가운데 주무 부처 장관과 대변인이 엇박자를 낸 것이다.
![]() |
| 정동영(왼쪽) 통일부 장관과 구병삼 대변인. [뉴스핌 자료사진] |
구병삼 통일부 대변인은 서울 세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정례브리핑에서 판문점 공동경비구역(JSA) 동향과 관련해 "판문점의 북측 건물인 판문각 인근에서 청소하는 인원이 식별됐다"면서 "다만 이 같은 청소는 통상적인 것"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정동영 장관은 지난 24일 출입기자들과의 만남을 자청해 북미 정상회담과 관련한 단서와 징후가 있다고 밝히면서 그 근거로 "유엔사가 판문점 견학을 중단했다든지 북은 북대로 판문각 지역에 미화작업이랄까 주변정리 하고 있다든지..."라고 말했다.
정 장관은 구체적인 상황을 묻는 기자들에게 "우리가 보이잖아. 판문점 청소하고 풀 뽑고, 화단정리하고 사진도 찍고 하니까"라면서 "1년여 동안에는 그런 동향이 없었다"고 강조했다.
이례적인 판문점 단장이 김정은과 트럼프의 회동 가능성에 대비하기 위한 북한 측의 특이 동향이란 점을 설명한 것이다.
![]() |
| [서울=로이터 뉴스핌]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2019년 6월 30일 오후 판문점에서 만나 군사분계선을 넘고 있다. |
그런데 사흘 만에 '장관의 입'이라 할 수 있는 대변인이 이를 사실상 전면 부인하는 공식 브리핑을 함으로써 부처와 장관의 말이 신뢰를 잃게 됐다는 비판이 통일부 안팎에서 나온다.
한 관계자는 "이재명 정부 대통령실과 안보부처 인사들이 대체로 신중한 입장을 보여온 것과 달리 정 장관이 지나치게 김정은-트럼프 회동 가능성을 부풀리는 발언을 하고 있다"며 "지금은 기대와 희망 섞인 관측보다 차분한 정보 분석과 대응전략을 세우는 데 집중해야 할 때"라고 말했다.
yjlee@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