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관 협력, 투자·엑셀러레이팅 추진
IPO·M&A 등으로 투자금 회수 계획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가 소상공인이 자립해 '기업가형 소상공인'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돕는 펀드를 조성한다. 이 시책은 초기 50억 원 규모로 기획됐으나 131억 원으로 대폭 확대됐고, 이 중 45억 원 이상을 서울 지역 소상공인 발굴·육성에 사용할 계획이다.
서울시는 오는 7일부터 '소상공인 더성장 펀드' 운용에 들어간다고 4일 밝혔다. 시는 올해 7~8월 출자사업 공고와 심사를 마치고 민간 전문 펀드 운용사를 선정했다. 이달부터 유망 소상공인에 대한 투자·엑셀러레이팅 작업에 착수한다.
![]()  | 
| 서울시청 전경 | 
시와 중소벤처기업부 등 8개 기관이 공동 출자해 총 131억 원 규모로 조성된 이 펀드는 민간 투자와 공공 자금을 결합한 '민관협력형 성장 투자 기반'으로 운영된다. 시는 앞으로 4년간 총 30억 원을 출자할 계획이다.
투자 대상은 서울시 유망 소상공인 발굴사업 선정 기업, 소상공인진흥공단 기업가형 소상공인 육성 프로그램 지원 기업, 생활문화 분야 혁신을 통한 부가가치 창출 가능성이 있는 서울 소재 소상공인으로 설정됐다.
이는 단순한 투자에 그치지 않고 기업의 성장 단계에 따라 중소기업 융자 자금지원, 판로개척, IP 경영지원 등 다양한 멘토링과 단계별 액셀러레이팅 프로그램도 지속 제공할 방침이다.
투자 결정의 투명성과 전문성을 높이기 위해 독립적인 투자심의위원회를 구성하고, 오랜 경험과 인프라를 적극 활용해 경쟁력 있는 우수 소상공인을 발굴하고 육성할 계획이라고 시는 덧붙였다.
무엇보다 서울시 정책 사업과의 연계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서울 지역 소상공인의 스케일업을 적극 지원한다. 이를 통해 서울 소상공인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글로벌 시장 진출을 위한 발판을 마련한다는 구상이다.
투자금 회수는 2029년부터 4년간 진행된다. 회수 방식은 국내외 주식시장 상장 후 장내 매각, 기업공개(IPO) 이전 제3자 보유지분 매각, 초기기업의 경우 인수합병(M&A)이나 세컨더리 매각 등 다양한 방법을 병행한다.
이해선 민생노동국장은 "자본 부족으로 어려움을 겪고 있는 유망 소상공인을 발굴하고 지원하기 위해 민간과 협력하기로 했다"며 "경쟁력 있는 소상공인이 지역 경제의 중심이 되고 글로벌 기업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적극 도울 것"이라고 전했다.
kh9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