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안부 최종 승인…행복농촌·활력농촌·농촌경제사회분야 전문 기능 수행
[전주=뉴스핌] 이백수 기자 = 전북특별자치도가 농촌소멸 위기에 대응하기 위해 추진해 온 '전북농어촌활력재단' 설립이 행안부로부터 최종 승인됐다고 4일 밝혔다.
이에 따라 전북도는 자본금 3억원, 예산 48억원 규모로 내년 말 재단 출범을 목표로 1월부터 조례 제정, 정관 제정, 임원 구성, 설립 등기 등 절차를 신속히 진행할 계획이다.
전북도는 지난 3월 농촌경제사회서비스 활성화지원센터를 구축하고, 4월 농식품부로부터 전북교육훈련기관으로 지정받았다. 이후 10월 법인 설립 승인을 받아 농촌문제 해결을 위한 핵심 조건을 완성했다.
![]() |
| 전북자치도청 전경[사진=뉴스핌DB] 2025.11.04 lbs0964@newspim.com |
농촌지역은 급격한 고령화와 청년인구 감소로 지역 공동화와 지방소멸 위기에 직면해 있다. 전국 농가 수는 지난해 약 200만4000명으로 2010년 306만3000명 대비 35% 감소했고, 청년농업인 수는 같은 기간 58만2000 명에서 17만8000명으로 3배가량 줄었다.
특히 전북은 14개 시군 중 10개 시군이 인구감소지역, 13개 시군이 소멸위험지역으로 지정돼 상황이 더욱 심각하다.
농촌 고령화와 인구 감소는 농촌 생활 인프라 폐쇄로 이어져 농촌과 도시 간 삶의 질 격차를 심화시켰으며, 보건복지와 교육문화 등 핵심 영역에서도 차이를 낳았다.
이에 농촌경제사회 분야의 컨트롤타워 역할을 할 전문기관이 절실했으나 부재했다. 전북도는 2015년부터 전북농촌융복합지원센터, 2017년 전북농어촌종합지원센터, 2019년 전북농어업농어촌일자리플러스센터를 운영하며 선제적으로 농촌 위기에 대응해 왔다.
기존 위탁·보조 방식의 한계를 극복하고 공공성 확보와 업무 전문성 강화를 위해 재단 설립을 추진했다.
재단은 전북농촌경제사회서비스활성화지원센터, 농촌융복합지원센터, 농어업농어촌일자리플러스센터, 신규 전국교육훈련기관을 통합 운영한다.
전북도민 710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68.2%가 재단 설립이 지역 발전과 경제 활성화, 농어촌 활성화, 일자리 개선 및 창출 등 주민 생활 여건 개선에 기여할 것으로 응답했다.
재단 설립으로 농촌경제사회서비스와 공동체 활성화 업무의 공공성이 강화되고, 사업 수행의 효과성과 고용 안정성도 높아질 전망이다.
또한 공공법인 설립을 통해 안정적인 농촌 생활 서비스를 제공하고, 정부와 지자체의 행정·재정 지원을 바탕으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과 지역 경제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된다.
업무의 연속성과 지속성 확보로 장기적인 사업 추진이 가능해져 농촌 주민 삶의 질 향상에도 도움이 될 것이다.
김관영 전북특별자치도지사는 "전국 최초로 농촌 문제 해결을 위한 재단 설립 승인은 전북이 농촌 문제 해결의 선구자로 국가적 사명을 부여받은 것이라 생각한다"며 "보편적 농촌 생활 서비스 전달 체계를 구축해 활력 있는 농촌 조성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lbs0964@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