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결 기준 영업익 5382억원…전년비 16% ↑
고객 보상안 비용 영향은 4분기 반영될듯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KT가 해킹 피해 여파에도 불구하고 클라우드·데이터센터(DC)·부동산 등 주요 그룹사 중심의 성장에 힘입어 3분기 시장 전망치를 웃도는 호실적을 기록했다.
7일 KT는 연결 기준 매출 7조 1267억 원, 별도 기준 매출 5조 1090억 원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연결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16.0% 증가한 5382억 원을 기록했다. 별도 기준 영업이익은 전년 동기 대비 0.6% 증가한 3409억 원을 달성했다.
![]() |
3분기 실적 성장의 배경으로는 통신 본업 및 그룹 핵심 포트폴리오의 성장과 광진구 롯데이스트폴 아파트 분양이익, 수익성 개선 노력 등이 작용했다.
다만 4분기에는 해킹 사고 여파로 인한 고객 피해 보상안 마련 등에 비용이 집행돼 3분기 대비 저조한 실적을 보일 가능성이 제기된다. 장민 KT 재무실장은 이날 열린 2025년 3분기 실적발표 컨퍼런스콜에서 "4분기에는 계절성 이슈도 있고 저희가 지금 시행 중인 고객 보상안 비용도 반영돼야 한다. 과징금 불확실성도 있어서 실적을 보수적으로 전망하고 있다"며 "고객의 피해나 재무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노력 중"이라고 말했다.
3분기 영업비용은 사업 성장에 따른 상품구입비, 서비스구입비, 판매관리비 등 증가로 전년 대비 6.4% 증가한 6조5886억원으로 집계됐다. 차입금 축소로 순부채 비율은 전분기 대비 2.3%p 하락했다. 3분기 누적 시설투자(CAPEX)는 KT 별도 기준 총 1조 3295억원이며, 주요 그룹사는 6342억원을 집행했다.
사업 부문별로는 전반적으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무선 사업에서 무선 서비스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4.7% 증가했다. 2025년 3분기 기준 5G 가입자는 전체 핸드셋 가입자의 80.7%를 차지했다. 요금제 강화, 온라인 채널 확대 등을 통해 상품과 유통, 요금 측면의 차별화를 지속했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유선 사업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5% 증가했다. GiGA 인터넷 가입자 증가와 부가서비스 확대로인터넷 사업 매출이 2.3% 늘었으며, 미디어 사업은 :IPTV 가입자 순증 및 프리미엄 요금제 사용자확대로 전년 동기 대비 3.1% 증가했다.
기업서비스 매출은 저수익 사업의 합리화 영향이 이어졌으나, 기업메시징과 기업인터넷 등 요인으로 전년 동기 대비 0.7% 증가했다. AI·IT 매출은 일부 사업의 구조개선과 DBO(Design Build Operate, 설계·구축·운영) 사업의 기저효과 영향으로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감소했다.
kt cloud는 데이터센터(DC)와 AI, 클라우드 사업의 성장세를 이어갔다. 공공 부문을 중심으로 AI Cloud 사업 수주가 확대되고, 가산 AIDC 완공으로 신규 데이터센터가 확보되면서 DC 및 클라우드 사업 모두 안정적인 매출 흐름이 지속될 전망이다.
KT에스테이트는 오피스와 호텔 등 임대 부문이 고르게 확대되는 등 전년 동기 대비 매출이 늘었다. 특히 호텔 부문은 숙박 수요 회복과 신규 호텔 개관 효과가 더해지며 실적 개선 흐름을 이어가고 있다.
콘텐츠 자회사는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편수 감소로 매출이 줄었다. KT그룹은 앞으로도 엄선된 오리지널 콘텐츠 제작을 통해 품질과 화제성을 높여 나갈 계획이다.
케이뱅크의 9월 말 기준 고객 수는 1497만 명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300만 명 늘었다. 수신 잔액은 전년 동기 대비 38.5% 증가한 30조 4000억 원, 여신 잔액은 10.3% 증가한 17조 9000억 원을 기록했다.
장민 실장은 "다시 한 번 최근 발생한 고객의 무단 소액 결제 피해와 침해 사고로 심려를 끼쳐드린 점 사과의 말씀을 드린다"며 "정부 조사에 성실히 협조할 계획이며 네트워크 안전 확보와 고객 보호 조치를 강화하기 위해 총력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이어 "또한 저희 KT는 앞으로도 AICT 기업으로의 완전한 변화와 기업 가치 제고 계획의 성공적인 이행을 통해서 회사의 가치를 한 단계 더 높일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고 말했다.
대표이사 교체 이후 밸류업 계획에 대해서는 "CEO가 교체되더라도 밸류업 계획은 지속될 것"이라며 "이사회가 밸류업 계획을 현재 방향으로 인식하고 있는 한 시장과 약속한 액션 플랜은 지속될 것"이라고 답했다.
sy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