달러, 주요 통화 대비 강세… 시장은 고용 지표 대기
달러/엔, 1월 이후 최고… 일본 "시장 면밀 모니터링"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연방준비제도(연준)의 12월 금리 인하 기대감이 후퇴하면서 19일(현지시간) 달러 가치는 3주 만에 가장 큰 폭으로 상승했고, 미 국채 수익률도 상승했다.
주요 6개 통화 대비 달러 가치를 나타내는 달러지수는 0.59% 오른 100.17을 기록했다.
미 노동통계국(BLS)은 11월 고용보고서를 12월 16일, 즉 연준 회의가 끝난 지 거의 일주일 뒤에 발표할 것이라고 밝혔다. 10월·11월 고용지표 없이 정책을 결정해야 하는 상황에서, 연준은 주요 데이터 포인트를 확보하지 못하게 된 것이다.
뱅크오브아메리카의 전략가 알렉스 코헨은 "달러가 오늘 아주 인상적인 랠리를 보여주고 있다"며 "12월 금리 인하를 정당화할 데이터가 필요하다는 '증명의 책임'이 여전히 남아 있기 때문에, 달러는 추가 상승 여지가 남아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BLS는 20일 9월 비농업부문 고용보고서(NFP)를 발표할 예정이다. 이는 미국 역사상 가장 긴 연방정부 셧다운이 끝난 뒤 각 정부 기관이 경제 지표를 순차적으로 내놓기 시작하는 흐름 속에서 나온 발표다.
트레이더들은 이제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거의 배제하는 분위기다. 연방기금금리 선물시장은 12월 금리 인하 가능성을 27%로 반영했는데, 이는 이날 오전 45%에서 크게 낮아진 수치다.
BLS는 수요일 10월 고용보고서는 발표하지 않는다고 밝혔으며, 해당 수치는 11월 결과에 통합할 예정이라고 설명했다.
뉴욕 웰스파고의 전략가 아룹 채터지는 "시의성 있는 데이터가 부족한 상황을 고려하면 12월 금리 동결 가능성이 높아졌다"며"9월 데이터에 특별한 약세가 나타나지 않는 한, 다수 위원들은 12월 금리를 동결하는 쪽을 선택할 것"이라고 예상했다.
![]() |
| 미국 달러와 일본 엔화 지폐 [사진=블룸버그] |
◆ 달러/엔, 1월 이후 최고치…日 개입 여부 관심
뉴욕 오후장에서 엔화는 달러 대비 0.92% 하락(달러/엔 환율과 반대)한 156.975엔까지 떨어지며 1월 중순 이후 최저치를 기록했다.
다카이치 사나에 신임 총리의 새 행정부가 저금리를 바탕으로 한 대규모 경기 부양 패키지를 추진할 것이란 예상 때문에 엔화 약세가 이어지고 있다.
가타야마 사츠키 일본 재무상은 "새 정부가 높은 긴장감을 갖고 시장을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있다"고 밝혔다.
스코티아뱅크의 션 오스본 수석 외환전략가는 "단기적으로 엔화는 여전히 부진하다. 기초 펀더멘털로부터 상당히 벗어난 상태"라며 "일본 당국의 레이더에 확실히 포착된 상황이며, 정부가 보다 강한 항의(구두 개입)를 할 가능성이 커지는 구간에 진입한 것 같다"고 말했다.
영국 파운드화는 0.7% 하락, 10월 24일 이후 가장 긴 4일 연속 하락세를 기록했고, 뉴질랜드 달러는 4월 이후 최저치로 떨어지며 올해의 상승분을 모두 반납했다.
◆ 12월 금리 인하 기대 약화에 국채 수익률 상승
자료 공백으로 인해 연준의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한 불확실성은 더욱 커졌고, 이는 국채 수익률을 비교적 좁은 범위에서 움직이게 했다.
연준 정책금리 기대를 반영하는 2년물 미 국채 수익률은 이날 1bp 상승한 3.592%를 기록했다. 벤치마크인 미국 10년물 국채 수익률은 0.4bp 상승한 4.127%였다.
2년물과 10년물 금리 차(미 국채 수익률 곡선)는 52.9bp로 평탄화됐다.
보스턴에 있는 매뉴라이프 인베스트먼트 매니지먼트의 미국 금리 및 모기지 트레이딩 책임자 마이클 로리치오는 "그동안 핵심 경제지표가 오랫동안 부족했기 때문에 미국 경제의 현재 상황에 대해 확신을 갖기 어렵다"면서 "데이터가 다시 나오기 시작해야 판단이 가능해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주 시장의 핵심 지표는 목요일 발표되는 9월 고용보고서다. 로이터가 실시한 경제학자 설문에서는 9월 고용이 5만 명 증가했을 것으로 예상했다.
이날 발표된 자료에서는 미국의 무역적자가 8월에 예상보다 큰 폭으로 축소된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수입 감소 때문이다.
또 미 재무부는 이날 200억 달러 규모의 20년물 국채를 발행했지만 수요는 부진했다.
해당 채권은 4.706%의 높은 수익률로 판매되었으며, 이는 입찰 직전 거래 수준보다 아주 약간 높은 수준이었다. 수요 대비 공급 비율은 2.41배로 2024년 2월 이후 가장 낮았다.
미국 정부는 목요일 190억 달러 규모의 10년물 물가연동국채(TIPS)도 발행할 예정이다.
kwonjiu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