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서울문화재단이 첨단기술 기반의 융합예술 축제 '제4회 서울융합예술페스티벌 언폴드엑스 2025'를 12월 9일부터 21일까지 문화역서울284에서 연다.
'다빈치 아이디어 공모(2010)'에서 시작된 언폴드엑스는 지금까지 178명의 신진 예술가를 발굴하며 국내 아트&테크 플랫폼으로 성장했다.
![]() |
| '언폴드엑스' 포스터. [사진=서울문화재단] |
올해 페스티벌은 'Let Things Go: 관계들의 관계'를 주제로, 사회를 구성하는 다양한 관계망 속 예술과 기술의 확장을 탐구한다. 프로그램은 융복합예술지원사업 선정작가 10명의 신작 전시, 11개국 26작품(공연 6편 포함), 한·중·일 교류 프로그램, 언폴드엑스 이브닝, 언폴드엑스 토크, 언폴드엑스 포럼, 언폴드엑스 시네마 등으로 구성된다.
'언폴드엑스 이브닝'은 올해 처음 선보이는 야간 프로그램으로, 12~13일 오후 6시부터 9시 30분까지 공연·사운드·라이브 퍼포먼스를 통해 서울의 밤을 예술로 확장한다. 코드액트(Cod.Act), 포트레이트 엑소(Portrait XO), 일본 아티스트 고트(goat) 등이 참여한다.
대표작으로는 노에미 뷔히의 개막 공연 'Does It Still Matter', 코드액트의 기계 생명체 퍼포먼스 'πTon', 아누크 크라이토프의 영상 설치작 '전 지구의 언어', 이정우의 AI 기반 역사 복원작 '쓰여진 영화, 쓰여질 역사' 등이 소개된다.
![]() |
| 주요작품(NOÉMI BÜCHI-Does It Still Matter). [사진=서울문화재단] |
서울문화재단은 도쿄도역사문화재단, 중국 중앙미술학원과 '한·중·일 프로젝트'를 공동 추진해 아시아 아트&테크 협력을 확대한다. 세 나라 기관은 '도시'를 주제로 공동 창작 프로젝트를 선보이며, 한국 룹앤테일, 중국 치우 위, 일본 사이드 코어가 참여한다.
'언폴드엑스 토크'에서는 노라 오 머큐, 스카웨나디, 이정우 등 작가들이 창작 과정을 공유하고, '언폴드엑스 포럼'은 국내 융합예술 기관이 모여 한국 아트&테크 생태계의 미래를 논의한다. 또한 '언폴드엑스 시네마'는 한강이 참여한 'Future Library: A Century Unfolds', 김아영의 'Porosity Valley, Portable Holes' 등 국제 주요 영상작품을 상영한다.
![]() |
| 주요작품(Cod.Act-piTon). [사진=서울문화재단] |
송형종 대표이사는 "언폴드엑스는 서울의 미래적 정체성을 대표하는 융합예술 무대"라며 "올해를 계기로 글로벌 협력과 Z세대 감수성을 아우르는 혁신 생태계로 발전시키겠다"고 말했다.
jyyang@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