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中 부동산개발 기업 너도 나도 은행업 참여

기사입력 : 2014년03월26일 17:03

최종수정 : 2014년03월26일 17:03

정책 및 유동성 리스크 신축 대응 목적

[뉴스핌=조윤선 기자]  중국 부동산 개발업체들이 부동산 업종 최대 취약점중 하나인 유동성 문제 해결을 위해 은행 지분 매입 등의 형태로 금융업에 적극 뛰어들고 있다.  특히 최근에는 부동산 시장이 불안조짐을 보이면서 든든한 자금줄을 필요로하는 기업들의 은행지분 갖기 행보가 가속화하고 있다.    

중국 주요 매체와 전문가들은 최근 중국증권감독관리위원회(증감회)가 부동산 기업의 경영난 해소를 위해  4년만의 증자 허용 등의 조치를 내놨지만  시장은 여전히 자금불안에 짖눌려 있다며  부동산기업들은 '유사시'에 대응, 경쟁적으로 은행업에 뛰어들고 있다고 밝혔다. 

25일 중국 증권시보(證券時報)는 부동산 기업의 은행 진출붐은 작년 말부터 시작돼 현재 업계 1위 완커(萬科)와 7위 헝다(恒大) 등 대기업, 신후중바오(新湖中寶) 등 중소 부동산 업체를 포함해 30여개 부동산 기업이 은행 사업에 진출했다고 전했다.

부동산 기업이 은행 사업에 뛰어드는 가장 큰 요인은 유동성 부족에 대한 우려가 증폭되고 있기 때문이다. 일부 업계 전문가들은 세상의 모든 것은 '흥하면 쇠한다'는 근본 이치가 있듯이 2013년 과열됐던 부동산 시장이 2014년들어 돌연 냉각조짐을 나타내면서 부동산 업계의 황금기가 퇴조하고  있다는 우려를 표출했다.

이처럼 최근들어 부동산 시장 전망의 불확실성이 증대되자 기업들이 금융 사업 진출을 통한 돌파구 모색에 나선 것. 전문가들은 부동산 기업에게 가장 큰 리스크는 유동성 리스크라며, 은행에 투자하는 주 요인도 자금이 많이 필요한 업계 특성상 보다 안정적인 유동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라고 설명했다.

왕스(王石) 완커그룹 회장은 "부동산은 금융과 매우 밀접한 관계가 있는 업종"이라며 "수시로 고가에 땅을 매입하는 부동산 개발업체로서는 충분한 자금확보가 필수"라고 강조했다.

이를 반영하듯 완커부동산은 '기초투자자'자격으로 작년 11월, 당시 홍콩증시 상장을 추진하고 있던 중국 본토 도시상업은행인 '후이상(徽商)은행'의 기업공개(IPO)에 참여했다. 완커부동산이 후이상은행 투자에 들인 자금은 27억 위안(약 4600억원)이다.

안후이(安徽)성 허페이(合肥)시에 본사를 두고 있는 후이상은행은 중국 중부지역 최대 도시상업은행으로 영업실적이나 수익률 측면에서 기타 도시상업은행보다 우수하다는 점이 완커가 후이상은행을 선택한 배경인 것으로 전해진다.

후이상은행의 IPO자료에 따르면 2012년 12월 31일 기준, 이 은행의 총자산 규모는 3242억 위안(약 56조원), 대출총액과 예금총액이 각각 1638억 위안(약 28조원)과 2395억 위안(약 42조원)으로 중부지역 도시상업은행 중 1위인 것으로 드러났다. 후이상은행은 작년 11월 12일 홍콩 증시 상장에 성공하면서, 최초로 H주에 상장한 중국 본토 중부 도시상업은행이 됐다.

완커에 이어 올 1월 말에는 헝다부동산이 주식회사형 상업은행인 '화샤(華夏)은행' 지분 투자에 나서 눈길을 끌었다. 헝다는 33억 위안을 투자해 화샤은행 지분 4억300만주(화샤은행 총 주식수의 4.522%)를 매입, 4대 주주로 올라섰다. 화샤은행의 나머지 3대 주주는 중국 8위 철강업체인 서우강(首鋼)그룹과 도이치뱅크, 국가전력망(国家电网, State Grid)이다.

이밖에 최근들어 광저우 국유 부동산 기업인 웨수(越秀)그룹도 116억 위안을 투자, 홍콩촹싱(創興)은행 지분 75%를 인수했다. 

부동산 대기업 뿐만 아니라 작년 신후중바오가 도시상업은행인 원저우(溫州)은행 지분을 매입하는 등 중소부동산 업체의 금융권 진출도 활발한 모습을 보이고 있다.

펑황망(鳳凰網) 등 중국 매체는 이들 부동산 업체 대부분이 지분 참여한 은행의 대주주 또는 주요 주주에 올라있으며 현재 부동산 상장사 중 30여곳이 금융업에 진출, 올해에는 부동산 기업의 은행 진출 러시가 더욱 활발할 것이라고 전했다.

금융업계 전문가는 "부동산 기업이 지분 투자에 참여하게 되면 자금조달 비용을 줄일 수 있고 유동성을 개선할 수 있어 부동산 업체의 토지 매입과 사업 확장에 유리할 뿐만 아니라, 대출규제 등 정책적 리스크가 가져올 충격을 경감할 수 있다"며 "부동산 기업의 은행 지분 투자 참여는 향후 부동산 업체의 새로운 자금조달 루트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업 자체가 투자수익률이 높은 업종이라는 점도 부동산 기업들이 금융업 진출에 열을 올리는 주 요인으로 분석된다.

부동산 서비스업체인 이하우스 차이나(E-House China) 관계자는 "주택시장 성장세가 둔화됨에 따라 부동산 업체가 다원화 경영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이 때, 부동산과 관련성이 높은 금융업이 신 성장동력으로 떠오르고 있다"며 "금융업계 수익률과 성장성이 안정적이라는 점이 가장 큰 메리트"라고 말했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명태균, 오늘 김건희 특검 출석 [서울=뉴스핌] 김영은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 등에 연루된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가 김건희 특별검사(특검) 소환조사에 31일부터 이틀간 출석한다. 명씨 측 관계자는 전날 "뇌물공여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 피의자로 소환됐다"며 "출석하기 앞서 현장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 등에 연루된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가 특검 소환조사에 31일부터 이틀간 출석한다. 사진은 지난 4월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으로 출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는 명씨 모습. [사진=정일구 기자] 앞서 특검팀은 지난 21일 명씨에게 지난 28일 출석하라고 통보했지만 명씨 측은 불응했다. 당시 명씨 측은 개인 일정 등을 이유로 출석 요구서 수령을 거부했다. 공천개입 의혹은 윤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20대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명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받은 대가로 같은 해 6월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공천받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측이 여론조사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방식으로 금전적 이득을 취했다고 본다. 이에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겐 뇌물 수수를, 명씨에겐 뇌물 공여 혐의 등을 적용했다. 특검팀은 이와 함께 2024년 22대 총선을 앞두고 김 여사가 김상민 전 부장검사를 김 전 의원 선거구였던 경남 창원 의창에 공천되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명씨 측은 지난 2월 입장문을 통해 김 여사가 당시 김 전 의원에게 김 전 검사의 당선을 지원하라는 말을 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특검팀은 전날 2022년 6월 지방선거 및 재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대표였던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에 대한 2차 압수수색까지 단행하며 해당 의혹 관련 자료 확보에 착수했다. 지난 27일에는 해당 의혹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이던 윤상현 의원을 소환조사하며 '김 전 의원 공천과 관련해 그가 윤 전 대통령과 통화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5일에는 윤 전 대통령 부부에 명씨를 처음 소개하고, 명씨와 공천개입 의혹 관련 문자를 주고받은 인물로 지목된 함성득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특검팀은 이를 토대로 명씨에게 윤 전 대통령 부부가 공천 과정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등을 질의하며 구체적 진술을 확보할 예정이다. yek105@newspim.com 2025-07-31 07:24
사진
트럼프 "韓, 관세 15%...3500억달러 투자"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30일(현지시간) 미국과 한국이 포괄적인 무역합의를 도출했다며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는 15%로 최종 타결됐다고 밝혔다. 한국은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와 미국산 에너지 1000억달러 구매를 약속했고, 미국에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 시장 등을 완전 개방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단을 접견한 뒤,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과 한국이 완전하고 포괄적인(Full and Complete) 무역합의를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대해서는 1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합의했으며, 미국산 제품에는 한국 측이 어떤 관세도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라고 알렸다. 그는 이번 합의를 통해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는, 그리고 대통령인 내가 직접 선정한 투자 프로젝트에 총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은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1,000억 달러어치 구매하기로 했으며, 또한 한국은 자국의 대미 투자 목적을 위한 대규모 투자도 약속했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 투자금액은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한국 대통령이 향후 2주 이내 백악관에서 열릴 양자회담을 위해 방미할 때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한다"라며 "우리는 한국이 미국과의 무역에 완전히 개방되며,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오늘 참석한 무역 대표단에 감사를 전한다"며 "이들을 만나 그들의 나라의 위대한 성공에 대해 논의한 것은 영광이었다"고 덧붙였다. 지난 29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귀국행 에어포스원에 탑승하기 전 취재진을 향해 손 동작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wonjc6@newspim.com 2025-07-31 07:5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