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중국기업] (53) 증권판도 뒤흔들 '공룡' 신은만국

기사입력 : 2014년08월07일 15:41

최종수정 : 2014년08월07일 15:41

M&A통해 업계 3위 부상

[편집자주] 이 기사는 7월 29일 15시 09분 뉴스핌의 프리미엄 뉴스 ′안다(ANDA)′에서 표출한 기사입니다.

[뉴스핌=조윤선 기자] 증권사간 최대 규모의 인수합병(M&A) 소식에 중국 자본시장이 들썩이고 있다. 바로 업계 10위와 16위 증권사인 신은만국(申銀萬國)과 굉원(宏源)증권의 얘기다.

신은만국과 굉원증권은 합병 후 시가총액 722억 위안(약 12조원), A증시 상장 증권사 중 중신(中信)증권과 해통(海通)증권에 이어 업계 3위의 대형증권사로 도약할 전망이다.

시장의 뜨거운 관심을 반영하듯 신은만국과의 M&A 추진으로 2013년 10월 30일 거래가 잠정 중단됐던 굉원증권(000562.SZ)이 28일 9개월여만에 거래가 재개되자 주가가 10%가까이 폭등한 8.93위안으로 상한가를 기록했다. 같은날 홍콩에 상장한 신은만국(00218.HK) 주가도 무려 17.62%나 폭등했다.

그래픽: 송유미 기자.
◇업계 3위 대형증권사 탄생

중국 증권사간 최대 규모의 M&A가 드디어 결실을 맺게됐다. 굉원증권이 25일 저녁(현지시간) 자산 인수합병 초안을 발표, 작년 10월 30일부터 추진됐던 신은만국과 굉원증권간 자산 통합이 마무리되면서 새로운 금융지주회사 탄생을 눈앞에 두고 있다.

이번 M&A거래 관계자는 "인수합병 자산 규모가 크고 과정이 복잡해 새 회사가 정식 설립돼 상장하기까지 5개월 남짓이 소요될 것"이라고 밝혔다.

현재 신은만국과 굉원증권 합병 후 새 회사 명칭은 확정되지 않았지만, 기존 두 증권사의 이름이 그대로 보존될 것으로 전해진다.

인수합병 전 신은만국의 총 주식수량은 67억1600만주. 이번 M&A로 주식교환 합병이 이뤄지면 81억4100만주가 추가적으로 생겨나면서 총 주식수가 148억5700만주로 늘어난다.

신은만국 인수합병 주식 발행가 4.86위안으로 계산하면 시가총액은 722억 위안에 달해, 신은만국은 중신과 해통증권에 이어 3위 증권사로 도약할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신은만국의 대주주는 37억1896만7798주(55.38%)를 보유한 중앙후이진(中央匯金)으로 합병 과정에서 굉원증권 대주주인 중국건투(中國建投) 지분 48억8615만3294주를 더해 지분율이 55.38%에서 57.92%로 확대된다. 중앙후이진은 중국국부펀드 중터우(中投 CIC)의 자금운용 기관과 같은 곳이다.

중국건투는 중앙후이진의 자회사로 신은만국이 굉원증권을 흡수한 후 탄생할 새로운 신은만국 증권도 사실상 중앙후이진의 지배 아래 놓이게 됐다.

업계에서는 이번 M&A를 업계가 기다려 온 인수합병이라며 반기는 분위기다. 한 업계 관계자는 "이번 M&A는 양사에 모두 이롭다"며 "굉원증권은 회사 경영과 인력, 재무 등 문제를 해결하고 신은만국은 A주 상장사인 굉원증권 합병으로 본토 증시에 우회상장하면서 업계 상위권 증권사로 도약하게 됐다"고 평가했다.

뿐만 아니라 주로 상하이 등 장강삼각주(長三角) 지역에 집중되어 있던 사업을 인수합병을 통해 굉원증권의 주요 사업지역인 신장위구르자치구와 북방지역으로 확대할 수 있다는 점도 이점으로 거론됐다.

◇초대형 증권사 탄생, 증권업계 M&A 붐

2013년 증권사 경영실적 기준, 업계 10위를 차지하고 있는 신은만국은 굉원증권 인수를 통해 상위권 증권사로 거듭날 전망이다.

양사 M&A 후 새로운 신은만국의 영업수입(매출)은 88억 위안(약 1조4600억원), 순자산 수익률은 8.55%, 영업지점은 300개를 돌파, 고객 자금 잔고가 333억 위안(약 5조5200억원)에 달해 업계 1위를 차지할 것으로 예상된다.

총자산 규모는 919억 위안(약 15조원)으로 업계 5위권에 집입할 것이며, 순자산과 순자본 규모도 업계 4위로 올라서게 된다고 중국 매체는 전했다.

업계에서는 신은만국과 굉원증권이 M&A를 통해 연구와 자산관리, 고정수익, 신삼판(장외시장), 국제업무 등 분야에서 업계 선두입지를 더욱 공고히하게 될 것이라며 양사의 합병을 긍정적으로 평가했다.

신은만국과 굉원증권 뿐만 아니라 앞서 7월 7일 국태군안(國泰君安)증권의 상하이(上海)증권 인수와 22일 팡정(方正)증권과 민족(民族)증권 인수합병이 중국 은행감독관리위원회의 비준을 받는 등 증권사간 통합이 봇물을 이루고 있다.

이에 따라 업계 증권사간 순위에도 큰 변화가 생길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 증권업협회에 따르면 2013년 증권사 총자산 순위에서 중신증권이 총자산 규모 1929억3300만 위안으로 1위를 달리고 있으며, 해통증권과 국태군안증권, 광발(廣發)증권, 화태(華泰)증권 순으로 5위권에 포진해 있다.

증권사 애널들은 향후 증권업계 인수합병이 활발히 이뤄지면서 규모와 종합실력이 막강해진 증권사가 출현, 업계 순위에 일대 지각변동이 일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대주주 중앙후이진 M&A 최대 수혜자

이번 인수합병으로 가장 큰 수혜를 입는 것은 대주주 중앙후이진(中央匯金)이다.

현재 중앙후이진은 중국은하(銀河)금융홀딩스 지분 78.57%와 신은만국 지분 55.38%, 중진(中金)공사 지분 43.35%, 중신건투(中信建投) 지분 40%, 중투(中投)증권 지분 100%,  UBS증권 지분 14.01%를 소유하고 있다.

업계에서는 신은만국과 굉원증권의 합병을 중앙후이진의 내부 조정과 통합으로 보고 있다. 신은만국에 흡수되는 굉원증권의 대주주가 중신건투이고 중신건투의 대주주는 중앙후이진이기 때문이다.

신은만국 10대 주주에는 저장중국소상품성(浙江中國小商品城 600415.SH)그룹주식유한공사, 상하이동방명주(東方明珠 600832.SH)그룹주식유한공사, 상하이루자주이(陸家嘴 600663.SH)금융무역구개발주식유한공사, 상하이다장(大江 600695.SH)그룹주식유한공사 등 A주 상장사가 포함돼 있다.

증권사 애널들은 대형 증권사인 신은만국의 굉원증권 인수가 업계에 적지않은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고있다. 우선 신은만국을 비롯한 신은만국 지분을 보유한 회사들에 투자자들의 자금이 몰릴 것으로 예상되며, 증권업계 인수합병 바람 속에서 증권사 종목이 투자자들의 각광을 받을 것이란 전망이다.

실제로 신은만국의 10대 주주 중 하나인 상하이다장그룹주식유한공사(종목명칭: 다장구펀 大江股份) 주가가 28일 10.03% 급등하는 등 신은만국 지분을 보유한 업체의 주가도 큰 폭으로 뛰었다.

출처: 신은만국 2013년 재무보고서
◇중국 최초 주식회사제 증권사

신은만국증권주식유한공사(약칭 신은만국)는 상하이신은(申銀)증권공사와 상하이만국(萬國)증권공사가 1996년 7월 16일 합병해 설립된 증권사다.

신은만국은 중국 최초의 주식회사제 증권사로 2013년 기준, 중국 21개성(省)과 4개 직할시, 4개 자치구의 78개 도시에 155개 달하는 증권영업점을 운영하고 있다.

이 중 상하이 지역에만 53개의 증권영업점을, 상하이를 제외한 기타 지역에 102개의 증권영업점을 두고 있다. 2013년 말 기준, 신은만국 그룹 직원수는 총 5330명에 달하는 것으로 집계됐다.

신은만국은 산하에 5개 국내 자회사와 1개 국외 자회사를 두고 있다. 국내 자회사에는 상하이신은만국증권연구소, 신만릉신(申萬菱信)펀드관리유한공사, 신은만국선물유한공사, 신은만국투자유한공사, 신은만국혁신증권투자유한공사가 있고, 역외 자회사로 신은만국(홍콩)그룹유한공사를 두고 있다.

2013년 신은만국은 전년 동기대비 28% 늘어난 51억2600만 위안(약 8500억원)에 달하는 매출을 달성했다.

그 중에서 증권 중개거래 업무 순매출은 30억6300만 위안(약 510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41.53%가 늘어 전체 증권사 중 7위를 차지했다. 고객 자산관리 업무 수입은 3억5500만 위안(약 590억원)으로 전년 동기대비 180.88%가 증가, 업계 4위에 올랐다.

신은만국은 해외사업에도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 1993년 홍콩 현지 상장사 인수를 통해 홍콩 증시에 우회상장한 신은만국(홍콩)유한공사가 성업 중에 있으며, 일본과 한국에 대표처를 설립하고 싱가포르와 대만 등지로도 사업을 확장했다.

이밖에 2013년말 기준, 신은만국이 중개업무를 담당하고 있는 QFII(적격 외국인 투자자) 고객은 44개 기관으로 2013년 초에 비해 14곳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뉴스핌 Newspim] 조윤선 기자 (yoons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딥시크 부당하게 데이터 수집했을 수도" [뉴욕=뉴스핌] 김민정 특파원 = 미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오픈AI는 중국 딥시크(DeepSeek)가 부당하게 회사의 데이터를 수집했을 가능성을 제기했다. 29일(현지시간) 뉴욕타임스(NYT)에 따르면 오픈AI는 딥시크가 오픈AI 기술로 생성한 데이터를 사용해 자체 시스템에 비슷한 기술을 훈련했을 가능성이 있다고 밝혔다. AI 업계에서 훈련에 사용되는 디스틸레이션(distillation) 기법은 흔하지만, 오픈AI는 서비스 약관에 같은 시장에서 경쟁할 기술을 만들어내기 위해 오픈AI의 시스템이 생성해 낸 데이터를 사용하지 못한다고 명시하고 있다. 오픈AI의 리즈 부르주아 대변인은 NYT에 보내 이메일에서 "우리는 중국의 조직들이 미국 AI 모델을 복제하기 위해 디스틸레이션으로 알려진 것을 포함한 방법을 사용해 활발히 작업 중이라는 사실을 알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그것을 인지하고 있으며 딥시크가 부적절하게 우리 모델을 디스틸레이션 했다는 징조를 검토하고 있고 더 많은 것을 알게 되면 공유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딥시크는 지난주 R1 모델을 내놓으며 전 세계 AI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고 믿어온 실리콘밸리를 충격에 빠뜨렸다. 딥시크는 R1 모델 개발에 단 2개월의 시간과 600만 달러 미만의 자금이 소요됐다고 밝히며 그동안 실리콘밸리의 천문학적인 투자를 무색하게 했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딥시크의 개발이 긍정적이라면서도 미국 기업들에 경종을 울렸다고 평가했다. 이날 상원 인사청문회에 나선 하워드 러트닉 상무장관 지명자는 딥시크가 도난당한 미국 기술과 첨단 미국 반도체를 활용해 저렴하게 강력한 AI 모델을 개발할 수 있었다면서 미국이 AI 분야에서 리더십을 유지하기 위해 사이버 보안에 대한 미국 표준과 유사하게 글로벌 표준을 창출하기 위한 모델을 설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오픈AI 챗GPT와 딥시크.[사진=로이터 뉴스핌] 2025.01.28 mj72284@newspim.com mj72284@newspim.com 2025-01-30 03:07
사진
여야, 설 이후 전력망법 등 입법 본격화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설 연휴 이후 국회의 민생 행보에 관심이 집중된다. 우선 여야는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을 포함한 주요 에너지·산업 법안의 조속한 처리를 위해 협상에 들어갈 예정이다. '12·29 여객기 참사 진상규명과 피해자 및 유가족 피해 구제를 위한 특별위원회(여객기 참사 특위)'와 국정협의회 등도 본격 가동될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다사다난했던 2024년 갑진년(甲辰年)이 저물고 있다. '푸른 용의 해' 우리는 더 높게 비상하는 한 해가 되길 바랐지만 현실은 녹록지 않았다. 4·10 총선 결과로 22대 국회의 '여소야대' 국면부터 이상기후로 인한 농산물 등 물가 상승까지 서민들의 부담은 가중됐다. 초유의 12·3 비상계엄 사태와 이어진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 무안공항 여객기 참사까지 쉴 틈 없는 아픔의 연속이었다. 다가오는 2025년 을사년(乙巳年)은 푸른 뱀의 기운으로 우리 모두가 꺾이지 않고 희망의 한 해가 되길 기대해 본다. 사진은 서울 여의도 서울달에서 바라본 국회 모습. 2024.12.31 mironj19@newspim.com 29일 정치권에 따르면 여야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회에서 만나 '첨단산업 에너지 3법(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해상풍력발전 보급 촉진 특별법·고준위 방사성 폐기물 관리에 관한 특별법)' 처리에 공감대를 형성했다.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은 회동을 마친 뒤 "지난해 11월에 합의했던 법안이 있다"며 "처리하기로 합의했던 법안 63건 중 본회의에서 통과된 게 24건이고, 나머지 법안 39건은 아마 더불어민주당도 합의 처리하는 데 특별한 그것(이견)은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국가기간전력망 확충 특별법은 정부 차원의 개입으로 전력망 구축 사업 인허가 절차를 대폭 개선하는 것을 골자로 한다. 해상풍력 특별법은 민간사업자가 주도하던 해상풍력 사업을 정부 주도 방식으로 전환하는 내용이다. 고준위 방폐장법은 원자력 발전 과정에서 발생하는 고준위 폐기물(사용후핵연료)을 영구적으로 처리하기 위한 방안을 담고 있다. 다만 에너지 3법과 함께 '미래 먹거리 4법'으로 불리는 반도체산업 특별법은 '주52시간 근무제 예외(화이트칼라 이그젬션) 조항'을 두고 추가 논의가 필요한 상황이다. 국민의힘은 '반도체 산업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는 예외 조항이 필요하다'는 입장이지만, 민주당은 다음 달 초 토론회를 열고 최종 입장을 결정할 예정이다. 지난해 12월 29일 무안국제공항에서 일어난 제주항공 여객기 참사 관련 국회 특별위원회도 활동을 이어간다. 여객기 참사 특위는 오는 2월 6일 전체회의를 열고 국토교통부·행정안전부·보건복지부 등을 상대로 현안 질의를 실시할 계획이다. 이 밖에도 여야는 국정협의회 가동을 위한 논의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12·3 비상계엄 사태 후 국정 혼란 수습을 위해 마련된 국정협의회는 지난 9일 첫 실무회의를 열고 참석자 및 공식 명칭 등을 확정했다. 협의회 참석자는 최상목 대통령 권한대행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 우원식 국회의장, 권영세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 이재명 민주당 대표 등 4명이다. 그러나 여야가 추가경정예산(추경) 편성 등을 두고 이견을 좁히지 못하며 협의회는 사실상 좌초된 상태다. 양당 정책위의장은 지난 22일 국정협의회 실무 협의를 진행했으나, 성과를 얻지 못했다. 여야가 설 이후 본격적인 민생 행보에 나설 경우 협의회 가동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9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국회-정부-국정협의체 실무협의가 열리고 있다. 이날 실무협의에는 김상훈 국민의힘 정책위의장, 진성준 더불어민주당 정책위의장,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김범석 기획재정부 1차관 등이 참석했다. 2025.01.09 pangbin@newspim.com rkgml925@newspim.com 2025-01-29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