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일본

속보

더보기

[팬데믹 현황] 일본, 신규 확진 711명...2주 만에 700명 이상(11일 0시 기준)

기사입력 : 2020년09월11일 08:14

최종수정 : 2020년09월11일 08:14

[서울=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10일 일본에서는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711명 발생했다. 하루 신규 확진자가 700명 이상을 기록한 것은 약 2주 만이다.

도쿄(東京)에서는 신규 확진자가 276명 확인됐다. 도쿄의 하루 신규 확진자가 250명 이상 발생한 것은 지난 8월 27일(250명) 이후 2주 만이다. 30대가 71명으로 가장 많았고, 이어 40대가 57명으로 뒤를 이었다. 중증화 위험이 높은 60대 이상은 43명이었다.

한편, 도쿄도는 이날 전문가들로 구성된 코로나19 모니터링 회의를 열고, 감염 경계 레벨을 최고 단계인 "감염이 확산되고 있다"에서 한 단계 아래인 "감염 재확산에 경계가 필요하다"로 낮췄다.

회의에서는 7일간 평균 확진자 수가 9일 시점에서 148.6명으로 전주 183.1명에 비해 감소했고, 긴급사태 선언 기간의 최고치였던 167.0명도 밑돌고 있다며 한 단계 인하를 결정했다.

도내 23개구의 술을 제공하는 음식점과 노래방에 9월 15일까지 단축 영업을 요청한 것에 대해서는 예정대로 15일 종료할 방침을 결정했다.

도쿄도의 코로나19 모니터링 회의 [사진=NHK 캡처]

이밖에 오사카(大阪)부에서 92명, 가나가와(神奈川)현 112명, 후쿠오카(福岡)현 24명, 아이치(愛知)현 36명, 사이타마(埼玉)현 30명, 지바(千葉)현에서 28명의 신규 확진자가 확인됐다.

이로써 11일 0시 현재 일본 내 누적 확진자 수는 7만4755명으로 늘어났다. ▲일본 국내 확진자(전세기 귀국자, 공항 검역 등 포함) 7만4043명 ▲ 크루즈선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712명을 더한 것으로, NHK가 공개한 각 지자체 확진자 수를 취합한 수치다.

사망자는 후쿠오카현에서 3명, 오사카부와 지바현, 홋카이도(北海道), 이시카와(石川)현에서 1명씩 모두 7명이 발생했다.

일본 내 누적 사망자 수는 1432명으로 늘어났다.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탑승자 13명 ▲일본 내 확진자 1419명이다.

일본 내 확진자의 지역별 현황을 보면 ▲도쿄 2만2444명 ▲오사카부 9324명 ▲가나가와현 5740명 ▲후쿠오카현 4893명 ▲아이치현 4799명 ▲사이타마현 4199명 ▲지바현 3295명 ▲효고(兵庫)현 2421명 ▲오키나와현 2259명(미군 확진자 제외) ▲홋카이도 1860명 순이다.

그 외 ▲교토(京都)부 1607명 ▲이시카와현 722명 ▲이바라키(茨城)현 593명 ▲기후(岐阜)현 569명 ▲구마모토(熊本)현 557명 ▲나라(奈良)현 542명 ▲군마(群馬)현 505명 ▲시즈오카(静岡)현 503명 ▲시가(滋賀)현 467명 ▲히로시마(広島)현 464명 순이었다.

[도쿄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마스크 쓰고 출근길에 나선 도쿄 시민들. 2020.07.31 goldendog@newspim.com

10일 시점에서 일본 내 확진자 중 인공호흡기를 부착했거나 집중치료실에서 치료를 받고 있는 중환자는 전일보다 4명 줄어든 198명이다.

한편, 증상이 개선돼 퇴원한 사람은 전일보다 735명 늘어난 6만5494명이다. ▲다이아몬드 프린세스호 탑승자가 659명 ▲일본 국내 확진자가 6만4835명이다.

코로나19 감염 사실을 확인할 수 있는 PCR검사(유전자증폭 검사)는 지난 8일(속보치) 하루 1만5185건이 진행됐다.

goldendo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