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GAM 일반

속보

더보기

[홍콩증시 오전장 요약] 코로나 치료제·반도체株 강세, 혼조 마감

기사입력 : 2022년01월18일 14:36

최종수정 : 2022년01월18일 14:36

※ 본문 글자 크기 조정

  • 더 작게
  • 작게
  • 보통
  • 크게
  • 더 크게

※ 번역할 언어 선택

홍콩항셍지수 24183.54 (-34.49, -0.14%)
국유기업지수 8481.01 (+17.13, +0.20%)
항셍테크지수 5749.66 (+25.16, +0.44%)

[서울=뉴스핌] 구나현 기자 = 18일 홍콩 증시의 3대 지수는 오전 혼조 마감했다.

홍콩항셍지수는 전 거래일보다 0.14% 하락한 24183.54 포인트를 기록했고,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기업 주식의 주가를 반영한 국유기업지수(HSCEI, H주지수)는 0.20% 오른 8481.01포인트를, 홍콩증시에 상장된 중국 대표 기술주의 주가를 반영한 항셍테크지수(HSTECH)는 0.44% 뛴 5749.66포인트를 기록했다.

섹터별로는 코로나 치료제 테마주, 반도체, 인터넷 섹터가 강세를 주도했다. 이외에도 전력, 스포츠 용품, 부동산, 담배, 금, 교육, 서비스형소프트웨어(SaaS, Software as a Service) 테마주 등 대부분 주가 상승 흐름을 보였다. 반면 클라우드 컴퓨팅, 모바일 게임, 가스 등 섹터는 약세를 연출했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홍콩항셍지수 1월 18일 오전 장 주가 추이

◆ 상승섹터: 코로나 치료제 테마주, 반도체, 인터넷

(1) 코로나 치료제 테마주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전 세계적으로 오미크론 확진자가 빠르게 증가하자 코로나 치료제 수요 확대에 대한 기대감도 커지고 있다.

국제 통계 사이트인 월드오미터(Worldometer)에 따르면 베이징 현지시간 18일 6시 30분 기준,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3억 3074만 1447명(사망 556만 2195명)으로 보고됐다.

중국에서도 코로나19 감염사태가 사그라들지 않고 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는 17일 하루 동안 중국 코로나19 신규 확진자가 171명 발생했다고 발표했다. 그중 중국 본토 확진자는 127명, 외부 유입은 44명이다.

▷관련 특징주:

브리 바이오사이언시스(騰盛博藥-B·2137): 23.150 (+0.700, +3.12%)
가례제약(歌禮製藥-B·1672): 5.550 (+0.200, +3.74%)
심시어 파마슈티컬 그룹(先聲藥業·2096): 11.420 (+0.400, +3.63%)

(2) 반도체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파운드리 가격 인상에 따른 수익 개선 기대감이 상승세를 이끈 주된 배경이 됐다.

17일 현지 매체에 따르면 세계 1위 반도체 파운드리(위탁생산) 업체 TSMC가 파운드리 가격을 전격 인상했다. 지난해 6월 TSMC는 2022년부터 파운드리 서비스 가격을 최대 20%까지 인상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중신건투(中信建投)는 반도체 수급불균형은 여전히 진행 중이라며 2022년에도 반도체 공급난이 이어져 추가적인 가격 인상에 나설 가능성이 있다고 전했다.

▷관련 특징주:

중신 국제집성전로제조(中芯國際·0981): 19.360 (+0.680, +3.64%)
화훙 반도체(華虹半導體·1347): 42.200 (+0.800, +1.93%)
상해복단마이크로전자(上海復旦·1385): 23.450 (+0.250, +1.08%)

(3) 인터넷

▷상승 자극 재료 및 이유:

중국 인터넷 기업의 플랫폼 개방 확대 소식이 호재로 작용했다.

지난해 알리바바와 텐센트가 산하 플랫폼 접근을 허용한 데 이어 최근 중국 최대 포털사이트 바이두도 플랫폼 개방을 확대하겠다고 발표했다.

바이두는 17일 메이투안, 샤오훙수(小紅書), SF익스프레스(順豐), 씨트립(攜程), 즈후(知乎) 등 기업 10곳과 상호 플랫폼을 개방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로써 사용자는 바이두 미니 앱을 이용해 플랫폼 간 결제 등 서비스를 별도의 다운로드 없이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다.

앞서 지난해 9월 중국 공업신식화부(공신부)는 인터넷 기업의 독점 구도를 깨기 위해 플랫폼 기업의 상호 생태계 개방을 촉구하는 방침을 발표한 바 있다.

▷관련 특징주:

JD 헬스 인터내셔널(京東健康·6618): 66.100 (+1.550, +2.40%)
바이두(百度集團-SW·9888): 148.900 (+1.400, +0.95%)
메이투안(美團-W·3690): 218.400 (+1.800, +0.83%)

gu1218@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송미령 "美 쌀 수입 쿼터 조정 불가능"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28일 미국산 쌀 수입 쿼터 조정 가능성에 대해 "불가능하다"고 밝혔다. 송미령 장관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종합감사에 출석해 '미국이 요구하면 수입 쌀 쿼터를 우리 마음대로 조정할 수 있는지' 묻는 강명구 국민의힘 질의에 이같이 답했다. 앞서 조현 외교부 장관은 외통위 국감에 출석해 쌀 수입과 관련해 국가별 쿼터를 늘릴 수 있다는 취지로 발언한 바 있다. [서울=뉴스핌] 김학선 기자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14일 서울 여의도 국회에서 열린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국정감사에서 의원질의에 답하고 있다. 2025.10.14 yooksa@newspim.com 이에 강 의원은 "정부에서 지금까지 쌀과 소고기 농축산물에 대해서는 추가적인 시장 개방이 전혀 없다고 계속 얘기해 오는데 이상하게 외교부 장관은 또 다른 이야기를 하고 있다"며 "대미 협상팀으로부터 쌀 쿼터가 조정될 수 있다는 논의를 들은 적 있냐"고 물었다. 송 장관은 "국가별 쿼터는 저희 마음대로 조정할 수 없다"며 "쌀과 소고기는 처음부터 레드라인(한계선)이라고 강력하게 이야기했다"고 설명했다. 다만 협상 과정에서 농식품부가 패싱된 것 아니냐는 지적에는 "전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중국으로 수출이 막힌 미국산 대두를 한국이 추가 수입할 가능성이 있냐는 질의에는 "미·중 간 이야기에서 아마 추측을 한 것 아닌가"싶다며 "전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답했다. 이어 윤준병 더불어민주당 의원도 "외교부 장관과 관련된 얘기가 꽤 있는데 이번 관세 협상에서 쌀 추가 개방은 없다는 건 명확한 것이냐"고 질의했다. 이에 송 장관은 "협상 과정에서 미국이 여러 얘기를 했을 수도 있지만 결과적으로는 의제로 채택되지 않았고, 공식적인 협의에서는 논의가 안 된 걸로 알고 있다"며 "쌀 추가 개방이 없다는 이재명 정부의 원칙이 유지되고 있다"고 덧붙였다. plum@newspim.com 2025-10-28 12:05
사진
북한, 어제 서해상 순항미사일 도발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28일 해상에서 함대지 순항미사일을 시험 발사하는 도발을 감행했다.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29일 미사일총국의 발표를 인용해 이같이 전하면서 "함상 발사용으로 개량된 순항미사일들은 수직 발사돼 서해 해상 상공의 설정된 궤도를 따라 7800초(2시간 10분) 간 비행해 표적을 소멸했다"고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영종 통일전문기자 = 북한이 28일 서해상에서 함대지 순항미사일 도발을 한 사실을 알리면서 29일 공개한 사진. [사진=조선중앙통신] 2025.10.29 yjlee@newspim.com 국무위원장 김정은은 참관하지 않았고 북한군 최고 간부 중 하나인 박전청 노동당 중앙군사위 부위원장 겸 비서인 박정천과 김정식 당 제1부부장, 장창하 미사일 총국장 등이 현장을 지켜본 것으로 중앙통신은 전했다. 이번 도발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경주 아태경제협력체(APEC) 정상회의를 계기로 한국을 방문하면서 김정은과 만나겠다는 의사를 강력하게 밝히고 있는 상황에서 이뤄졌다. 김정은은 지난 24일 6.25참전 중국인민지원군 '열사묘'를 방문한 이후 나흘째 공개활동을 보이지 않고 있으며 관영 매체들도 트럼프의 제안에 반응을 보이지 않고 있다. 우리 정부와 군 당국은 북한의 미사일 도발 상황을 평양 선전매체들의 보도가 나올때까지 공개하지 않았다. 미사일 도발을 참관한 박정천은 "전쟁억제 수단들의 적용 공간을 부단히 확대해나갈 데 대한 당 중앙의 전략적 기도대로 우리 핵 무력을 실용화하는 데서 중요한 성과들이 이룩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국가수반(김정은을 지칭)은 이미 강력한 공격력으로써 담보되는 억제력이 가장 완성된 전쟁 억제력이고 방위력이라고 정의했다"면서 "우리는 자기의 전투력을 끊임없이 갱신해나가야 하며 특히 핵 전투태세를 부단히 벼리는 것은 우리의 책임적인 사명이고 본분"이라고 말했다. 박정천은 5000톤급 신형 구축함인 최현호와 강건호의 운용훈련과 무기체계 강습실태를 살펴본 것으로 중앙통신은 덧붙였다. yjlee@newspim.com 2025-10-29 06:50
기사 번역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종목 추적기

S&P 500 기업 중 기사 내용이 영향을 줄 종목 추적

결과물 출력을 준비하고 있어요.

긍정 영향 종목

  • Lockheed Martin Corp.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안보 지원 강화 기대감으로 방산 수요 증가 직접적. 미·러 긴장 완화 불확실성 속에서도 방위산업 매출 안정성 강화 예상됨.

부정 영향 종목

  • Caterpillar Inc. Industrials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시 건설 및 중장비 수요 불확실성 직접적. 글로벌 인프라 투자 지연으로 매출 성장 둔화 가능성 있음.
이 내용에 포함된 데이터와 의견은 뉴스핌 AI가 분석한 결과입니다. 정보 제공 목적으로만 작성되었으며, 특정 종목 매매를 권유하지 않습니다. 투자 판단 및 결과에 대한 책임은 투자자 본인에게 있습니다. 주식 투자는 원금 손실 가능성이 있으므로, 투자 전 충분한 조사와 전문가 상담을 권장합니다.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