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TXT, 흑화된 소년 '굿 보이 곤 배드'…"미니 4집도 명반으로 불리길"

기사입력 : 2022년05월09일 16:11

최종수정 : 2022년05월09일 16:11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이번 앨범을 통해 첫 이별로 흑화된 소년들의 감정을 다양한 장르로 녹여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나 9일 서울 광진구 광장동에 위치한 예스24 라이브홀에서 네 번째 미니앨범 '미니소드2: 썰스데이스 차일드(minisode 2: Thursday's Child)' 발매 기념 쇼케이스를 열고 "오랜만에 돌아온 만큼 열심히 준비했으니 많은 사랑 부탁드린다"며 소감을 밝혔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9일 오후 서울 광진구 예스24라이브홀에서 열린 미니 4집 'minisode 2: Thursday's Child' 발매 기념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포토타임을 가지고 있다. 'minisode 2: Thursday's Child'는 '꿈의 장'과 '혼돈의 장'에 이어 다음 시리즈로 넘어가기 전 발표하는 앨범으로, '첫 이별'을 경험한 뒤 느끼는 소년의 복합적인 감정, 그리고 이를 통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조금 더 알아 가는 소년의 모습을 그린다. 이번 앨범에는 타이틀곡 'Good Boy Gone Bad'를 포함해 총 5곡이 수록된다. 2022.05.09 pangbin@newspim.com

이번 타이틀곡 '굿 보이 곤 배드(Good Boy Gone Bad)'는 록 사운드가 가미된 하드코어 힙합 장르 곡으로 영원할 것만 같았던 첫사랑이 깨진 후 순수했던 소년이 분노와 상실의 감정에 휩싸이게 되는 모습을 직관적이고 임팩트 있는 멜로디에 담았다.

이날 수빈은 "이번 앨범은 '혼돈의 장'을 마무리하고 다음 시리즈로 넘어가기 전에 보여드리는 앨범이다. 첫 이별로 인한 복합적인 감정인 현실 부정, 체념, 분노, 상실감 등을 담아냈다"며 "이별을 겪으며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조금 더 알아 가는 소년의 모습을 보여드릴 예정"이라고 소개했다.

이어 태현은 "K팝을 사랑하는 분들이라면 좋아할 요소가 많다고 생각한다. 총 5곡이 수록됐고, 모든 곡에 멤버들이 참여해서 의미가 남다른 것 같다"고 덧붙였다.

휴닝카이는 타이틀곡에 대해 "록 사운드가 가미된 곡이다. 첫 이별을 겪은 소년이 분노하고 결국에 흑화한다는 내용이다. 새로운 이별 송이 될 것 같다"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9일 오후 서울 광진구 예스24라이브홀에서 열린 미니 4집 'minisode 2: Thursday's Child' 발매 기념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타이틀곡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minisode 2: Thursday's Child'는 '꿈의 장'과 '혼돈의 장'에 이어 다음 시리즈로 넘어가기 전 발표하는 앨범으로, '첫 이별'을 경험한 뒤 느끼는 소년의 복합적인 감정, 그리고 이를 통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조금 더 알아 가는 소년의 모습을 그린다. 이번 앨범에는 타이틀곡 'Good Boy Gone Bad'를 포함해 총 5곡이 수록된다. 2022.05.09 pangbin@newspim.com

또 "콘셉트를 보고 '올 게 왔구나' 싶었다. 이별이라는 테마 역시 성장 과정에서 빠질 수 없는 테마라고 생각한다. 새로운 콘셉트를 하면서 제가 몰랐던 모습을 발견하기도 했다"고 말했다.

연준은 지난 앨범 타이틀곡 '루저 러버(LO$ER=LO♡ER)'에 이어 이번 '굿 보이 곤 배드' 랩 메이킹에 참여했다. 그는 "지난 곡에 이어 이번에도 랩 메이킹에 참여할 수 있어 영광이다. 제가 하고 싶은 이야기를 들려드릴 수 있어서 기분이 좋다. 이번 곡은 해보지 않았던 장르라 더 열심히 하고 싶었다. 제 목소리와 분위기에 잘 맞는 노래가 나온 것 같아서 만족스럽다"고 말했다.

타이틀곡은 이별 후 흑화된 소년들의 모습을 담아냈다. 단순히 슬퍼하는 것이 아닌 분노와 체념, 상실감 등 복합적인 감정이 담겼다. 그러다보니 더욱 화려해진 퍼포먼스가 특징이다.

이에 수빈은 "타이틀곡 앞 글자를 따서 'GBGB 댄스'라고 이름을 붙였는데, 이전 곡들이 다섯 명이서 하나의 큰 그림을 그리는 퍼포먼스가 위주였다면, 이번에는 각 잡은 군무 위주가 포인트이다. 소년의 삐뚤어진 마음을 표현했는데 타이틀곡의 방향성을 잘 보여주는 것이 특징"이라고 설명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9일 오후 서울 광진구 예스24라이브홀에서 열린 미니 4집 'minisode 2: Thursday's Child' 발매 기념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minisode 2: Thursday's Child'는 '꿈의 장'과 '혼돈의 장'에 이어 다음 시리즈로 넘어가기 전 발표하는 앨범으로, '첫 이별'을 경험한 뒤 느끼는 소년의 복합적인 감정, 그리고 이를 통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조금 더 알아 가는 소년의 모습을 그린다. 이번 앨범에는 타이틀곡 'Good Boy Gone Bad'를 포함해 총 5곡이 수록된다. 2022.05.09 pangbin@newspim.com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컴백과 동시에 7월 서울에서 첫 월드투어 '액트: 러브 시크(ACT : LOVE SICK)'를 개최한다. 이에 범규는 "저희가 너무나도 기다리던 시간이고, 모아와 함께 하는 시간이기 때문에 지금도 열심히 준비하고 있다. 여러 도시를 다니면서 많은 팬들을 만나고, 저희가 받은 에너지를 모아에게 돌려줄 수 있는 시간이 됐으면 좋겠다"며 팬들에 대한 애정을 드러냈다.

특히 태현은 "오프라인 공연은 너무 자신이 있기 때문에, 오프라인 공연에서는 더욱 날라다니는 그룹이라는 걸 알려드리고 싶다"며 자신감을 내비쳤다.

'4세대 리더'라고 불리는 만큼 투모로우바이투게더를 향한 관심은 뜨겁다. 이번 앨범은 선주문량이 144만 7000장을 돌파하며 자체 기록을 경신했다.

이에 연준은 "아직 앨범이 발매도 안됐는데 이렇게 많은 사랑을 주셔서 감사하다. 이번 활동과 투어를 통해 그 사랑에 보답할 수 있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투모로우바이투게더가 9일 오후 서울 광진구 예스24라이브홀에서 열린 미니 4집 'minisode 2: Thursday's Child' 발매 기념 미디어 쇼케이스에서 타이틀곡 무대를 선보이고 있다. 'minisode 2: Thursday's Child'는 '꿈의 장'과 '혼돈의 장'에 이어 다음 시리즈로 넘어가기 전 발표하는 앨범으로, '첫 이별'을 경험한 뒤 느끼는 소년의 복합적인 감정, 그리고 이를 통해 자신과 자신을 둘러싼 세상을 조금 더 알아 가는 소년의 모습을 그린다. 이번 앨범에는 타이틀곡 'Good Boy Gone Bad'를 포함해 총 5곡이 수록된다. 2022.05.09 pangbin@newspim.com

그간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지금까지 '5시 53분의 하늘에서 발견한 너와 나', '9와 4분의 3 승강장에서 너를 기다려', '어느날 머리에서 뿔이 자랐다' 등 독특한 곡 제목을 자랑했다. 그에 비해 이번 타이틀곡 제목은 평범하다.

휴닝카이는 "제목이 독특하고 길었는데, 처음에 곡 제목이 나왔을 때 평범하다고 느꼈다. 그런데 곡을 들으니 오히려 곡의 무드랑 잘 맞더라. 지금도 만족하고 있다"며 웃었다.

끝으로 투모로우바이투게더는 "'혼돈의 장' 시리즈를 많은 분들이 명반이라고 칭해주셔서 자부심을 느꼈다. 첫 이별을 다양한 장르, 소재로 녹인 만큼 이번 앨범도 명반으로 불리고 싶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 노래는 믿고 들을 수 있고, 무대는 믿고 볼 수 있는 무대라는 이야기를 듣고 싶다"고 말했다.

투모로우바이투게더의 네 번째 미니앨범 '미니소드2: 썰스데이스 차일드'에는 타이틀곡 '굿 보이 곤 배드'를 포함해 '오프닝 시퀀스(Opening Sequence)', '트러스트 펀드 베이비(Trust Fund Baby)', '론리 보이(Lonely Boy, 네 번쨰 손가락 위 타투)', '썰스데이스 차일드 헤즈 파 투 고(Tursday's Child Has Far To Go)'까지 5곡이 수록됐다.

alice0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