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풀 체인지급 변화…SUV 강자 기아 '더 뉴 스포티지' 공개

기사입력 : 2024년11월05일 08:30

최종수정 : 2024년11월05일 08:30

기아 '더 뉴 스포티지' 출시
ccNc, OTA 지원, 편의사양 기본 탑재해 상품성 강화
가솔린 모델 2836만원부터, 하이브리드는 3458만원 시작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기아는 5일 '더 뉴 스포티지'를 공개하고 본 계약에 돌입했다. 더 뉴 스포티지는 지난 2021년 공개된 5세대 스포티지의 상품성 개선 모델으로 풀 체인지에 가까운 상품 경쟁력을 확보했다.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기아는 4일 서울시 성동구 XYZ 서울에서 '더 뉴 스포티지' 모델을 선공개했다. 사진은 더 뉴 스포티지 하이브리드 모델. [사진=조수빈 기자] 2024.11.04 beans@newspim.com

기아는 지난 4일 서울시 성동구 XYZ 서울에서 '더 뉴 스포티지' 모델을 선공개했다.

이날 행사에 참석한 정우정 기아 국내사업본부장 부사장은 "1993년 대한민국 스포츠유틸리티차량(SUV) 시장의 새로운 지평을 열며 31년간 국내 자동차 산업과 함께 성장해 온 스포티지는 기아의 글로벌 베스트셀링 모델이라는 자부심으로 빛나고 있다"며 "이번 스포티지는 풀 모델 체인지에 준하는 혁신적인 변화를 담았다"고 강조했다.

◆크게 바뀐 전면부·주행 성능…편의 사양 기본 탑재로 상품성↑

가장 큰 변화는 외관이다. 더 뉴 스포티지는 '역동적인 도심형 SUV'라는 기존 이미지를 계승하면서 감각적이고 하이테크한 디자인 요소를 적용했다. 전면부는 기아의 최신 패밀리 룩인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을 적용한 수직형상의 주간 주행등을 중심으로 웅장한 분위기를 연출했으며, 다이내믹 웰컴 라이트 기능을 통해 미래지향적인 느낌을 더했다.

측면부는 그릴의 수평형 패턴과 조화를 이루면서도 역동적인 느낌을 주는 신규 휠을 적용했고 후면부는 스타맵 시그니처 라이팅을 적용한 LED 리어 콤비네이션 램프와 와이드한 범퍼로 전면부와의 통일감을 줬다.

사용자 편의를 고려해 소프트웨어 기반 차량(SDV)의 첨단 인포테인먼트 사양을 기본으로 탑재하면서 전반적인 상품성을 강화했다. 차세대 인포테인먼트 시스템 ccNc가 적용된 파노라믹 커브드 디스플레이, 정전식 센서를 활용한 스티어링 휠 그립 감지(HOD), 위험 상황을 진동으로 알려주는 진동 경고 스티어링 휠 등이 기본 적용됐다. 무선 소프트웨어(OTA) 적용으로 편의성도 높였다.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기아는 4일 서울시 성동구 XYZ 서울에서 '더 뉴 스포티지' 모델을 선공개했다. 사진은 더 뉴 스포티지 내부. [사진=조수빈 기자] 2024.11.04 beans@newspim.com

국내에 출시된 기아 모델 중 최초로 운전자의 상태를 모니터링해주는 운전자 전방 주시 경고 카메라를 탑재했으며, 주행 시 시선 이동을 최소화하는 헤드업 디스플레이(HUD)를 신규 적용했다.

주행 성능도 대폭 변화했다. 1.6 가솔린 터보 모델에는 8단 자동변속기가 적용돼 더욱 부드러운 변속감을 구현한다. 연비도 기존과 유사한 수준으로 유지했다.

손용준 기아 국내상품1팀 팀장은 "국내 소비자들의 경우 연비보다는 부드러운 주행 성능에 대한 니즈가 크다고 판단해 자동 변속기를 적용하게 됐다"며 "다만 자동 변속기의 경우 듀얼 클러치 변속기(DCT)보다는 연비가 떨어진다는 부분이 있었는데 연비 개선 매뉴얼을 통해 기존 차와 동일한 연비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하이브리드 모델의 경우 모터 출력을 개선하고 패들 쉬프트를 통해 회생제동 단계를 조절할 수 있도록 지원했다. 도로상황과 내비게이션 정보에 따라 회생제동 단계를 자동으로 제어하는 스마트 회생제동 시스템과 부드러운 가속으로 영유아에게 편안한 승차감을 제공하는 영유아 운전 모드를 적용해 주행 편의성을 높였다.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기아는 4일 서울시 성동구 XYZ 서울에서 '더 뉴 스포티지' 모델을 선공개했다. 사진은 더 뉴 스포티지 가솔린 모델. [사진=조수빈 기자] 2024.11.04 beans@newspim.com

◆하이브리드 모델, 세제 혜택 적용하면 3300만원대

가격은 1.6 가솔린 터보 모델은 ▲프레스티지 2836만원 ▲노블레스 3195만원 ▲시그니처 3460만원 ▲X-Line 3525만원이다. 2.0 LPi 모델은 ▲프레스티지 2901만원 ▲노블레스3260만원 ▲시그니처 3525만원 ▲X-Line 3590만원이다.

1.6 가솔린 터보 하이브리드 모델은 환경친화적 자동차 세제혜택 전 기준으로 ▲프레스티지 3458만원 ▲노블레스 3777만원 ▲시그니처 4042만원 ▲X-Line 4107만원이다. 세제 혜택 적용 후에는 평균 100만원 정도 저렴한 가격에 구매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가솔린 모델의 경우 전작 대비는 평균 200만원 정도 상승했으나 하이브리드 모델은 전작과 유사한 수준이다. 기아 관계자는 "엔트리 모델부터 기본 탑재된 운전자 보조, 편의 사양이 늘어나면서 일부 가격이 상승했다"고 설명했다. 가솔린, LPi 모델은 이달 중 고객 인도를 시작하고 하이브리드 모델은 환경친화적 자동차 고시 등재 완료 이후 순차 출고될 예정이다.

더 뉴 스포티지 X-Line 외장. [사진=기아]

기아는 'Open Road SUV'라는 브랜드 콘셉트를 담은 TV 광고, 넷플릭스 '오징어게임 시즌2' 협업 콘텐츠, 기아 언플러그드 그라운드 성수 콜라보 팝업 쇼룸 등을 통해 더 뉴 스포티지만의 차별화된 브랜드 경험을 제공한다.

전용 구매 프로그램도 선보인다. '스포티지 더블케어 프로그램'은 고객의 월 납입금 부담을 낮춰주는 K-Value할부와 신차 재구매 시 혜택을 제공하는 트레이드 인 혜택으로 구성돼 있다.

K-Value 할부는 현대카드 M 계열 카드로 선수율 1% 이상 결제 시 차량구매 대금의 최대 70%를 유예하고 36개월 동안 5.3%의 금리가 적용되며 만기 시점에 기아 신차를 재구매하면 중고차 잔가 70%를 보장한다. 또한, 기아 인증중고차에 차량 매각 후 기아 신차를 재구매하면 트레이드 인 혜택을 통해 10~30만원의 할인을 적용 받을 수 있다.

기아 관계자는 "스포티지는 기아를 대표하는 준중형 SUV로 30여 년간 고객들의 사랑을 받아왔다"며 이번 더 뉴 스포티지는 고객들의 의견을 적극 반영해 상품성을 개선하고 다양한 신규 편의 사양을 추가함으로써 더욱 완성도 높은 모델로 거듭났다"고 말했다.

beans@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