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최수아 인턴기자 =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심판 선고를 오는 4일 오전 11시 진행하기로 밝힌 가운데 양대노총이 윤 대통령의 파면 결정을 요구하며 24시간 철야 집중행동에 돌입했다.
민주노총과 한국노총은 1일 오후 6시 서울 광화문 동십자각에서 공동 집회를 열고 헌법재판관 전원의 파면 인용을 요구했다.
![]() |
[서울=뉴스핌] 이호형 기자 = 민주노총·한국노총 양대 노총이 1일 오후 서울 광화문 월대 앞에서 24시간 철야 집중행동 선포 결의대회를 연 가운데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2025.04.01 leemario@newspim.com |
양경수 민주노총 위원장은 "이제 마지막 고비다"라며 "반드시 윤 대통령을 파면하겠다는 게 철야농성에 임하는 우리의 자세"라고 말했다.
이어 "우리의 절박함이 조금이라도 느슨해졌을 때 저들은 그 틈을 파고들었다"며 "아직 투쟁이 필요한 시점이다. 최선을 다해 투쟁하자"고 강조했다.
김동명 한국노총 위원장은 "검찰도 내란 공범, 법원도 내란 공범, 내란 세력으로 인해 헌재의 시간이 지체됐다"며 "선고 기일이 지정됐지만 최종 결정까지 객관적 상황은 변하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더 큰 긴장감을 가지고 헌재가 최종 파면 결정을 내릴 때까지 각오를 다지겠다"며 "헌법을 짓밟은 윤 대통령이 복귀한다면 한국 사회는 파멸되고 공동체는 철저하게 파괴될 것"이라고 했다.
양대노총은 연대사에서 "너무 늦었지만, 강력한 투쟁으로 선고기일이 드디어 지정됐다"며 "(헌법재판관 전원인) 8대0 파면 만장일치 파면을 위해 밤을 새우고, 모든 것을 바치는 마음으로 하겠다"고 밝혔다.
또 "지금부터 격전의 시간이라는 엄중한 각오로 더 투쟁해 압도적인 승리를 가져오자"라며 "철야 투쟁은 물론 거리에서 할 수 있는 모든 것을 하겠다"고 재차 강조했다.
이어 "다시는 내란이 반복되지 않고 헌정 질서를 회복하도록 헌재를 압박하겠다"고 했다.
양대노총은 집회 후 1700여개 시민단체가 모인 윤석열 퇴진 비상행동(비상행동) 집회에 참여한 뒤, 종로구에 있는 헌법재판소까지 행진한다. 이후 서울 안국역 인근에서 철야 농성 및 24시간 철야 집중행동 집회를 이어간다.
chogi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