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출 79조원, 영업이익 6.6조원 기록
갤럭시 S25 흥행에 MX사업부 맹활약
메모리 반도체 반등…파운드리는 '글쎄'
[서울=뉴스핌] 김정인 기자 = 삼성전자가 올해 1분기 잠정 실적으로 6조6000억원의 영업이익을 발표했다. 스마트폰 신제품 갤럭시 S25의 흥행에 힘입어 시장 기대치를 웃도는 실적을 거둔 것이다. 특히 모바일경험(MX)·네트워크 사업부는 반도체, 디스플레이, 가전 부문이 부진한 가운데 홀로 상승세를 이어가며 삼성전자 전체 실적을 견인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삼성전자는 8일 2025년 1분기 연결기준 매출 79조원, 영업이익 6조6000억원의 잠정 실적을 발표했다. 전기 대비 매출은 4.24%, 영업이익은 1.69% 증가했다. 전년 동기와 비교하면 매출과 영업이익은 각각 9.84% 증가, 0.15% 감소했다. 매출은 1분기 기준으로 역대 최대치다.
◆ 갤럭시 S25가 효자
이번 실적은 시장 기대치를 크게 뛰어넘은 어닝 서프라이즈다. 증권가에서는 5조원 안팎의 실적을 점쳤지만, 이날 발표된 잠정실적은 이를 1조원 넘게 웃돌았다.
![]() |
갤럭시 S25 시리즈. [사진=삼성전자] |
잠정실적인 만큼 세부 실적은 공개되지 않았지만, 갤럭시 S25의 흥행에 힘입어 MX·네트워크 사업부가 4조원대의 영업이익을 거둔 것으로 추정된다. 이는 2021년 1분기 이후 처음으로, 애초 증권가 예상치였던 3조원대를 훌쩍 넘긴 수준이다.
특히 지난 2월 출시된 갤럭시 S25 시리즈의 흥행이 MX사업부의 실적을 견인했다. 갤럭시 S25 시리즈는 출시 21일 만에 국내 판매 100만 대를 돌파했으며, 고가 모델인 울트라가 전체 판매의 46%를 차지해 수익성 개선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이 나온다.
![]() |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사진=삼성전자] |
◆ DS 영업이익 1조원대 전망
메모리 반도체 부문 역시 중국의 교체 수요 정책과 미국발 관세 리스크에 대비한 재고 확보 수요가 맞물리며 견조한 흐름을 보인 것으로 분석된다. 반도체를 담당하는 디바이스솔루션(DS) 부문 전체 영업이익은 약 1조원대로 예상되며, 이는 기존 전망치인 5000억원대를 크게 상회한다. 반면 파운드리 등 비메모리 분야는 여전히 적자를 면치 못한 것으로 알려졌다.
가전과 TV 사업은 글로벌 경쟁이 심화된 가운데서도 실적이 소폭 개선된 것으로 전해졌다. 시장에서는 삼성전자가 이번 1분기를 저점으로 삼고, 고대역폭메모리(HBM) 등 인공지능(AI) 반도체를 중심으로 2분기부터 본격적인 반등에 나설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다만 트럼프 전 대통령의 관세 정책으로 인한 불확실성은 여전히 변수로 남아 있다. 특히 삼성전자 스마트폰 생산의 절반가량이 이뤄지는 베트남이 미국으로부터 46%의 상호관세를 부과받은 점은 리스크로 지목된다.
kji01@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