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연구개발팀 홍승환 책임연구원 공로 인정받아
국내 자율주행 데이터 표준화 및 무료 공개 기여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카카오모빌리티가 국내 자율주행 산업 발전과 데이터 생태계 활성화 공로로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상 표창을 받았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 4일 일산 킨텍스에서 열린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1단계 성과공유회에서 AI 연구개발팀 홍승환 책임연구원이 '자율주행 인공지능 데이터 기술 개발·표준화·공개 활성화'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아 과기정통부 장관상을 수상했다고 9일 밝혔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레벨4 자율주행 기술 구현을 위해 과기정통부와 정보통신기획평가원,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단(KADIF)의 '자율주행 지능학습 데이터 수집·가공 핵심기술 개발' 사업에 참여해 고도화된 자율주행용 AI 학습 데이터를 안정적으로 생성·관리·배포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
![]() |
지난 4일 일산킨텍스에서 열린 '자율주행기술개발혁신사업' 1단계 성과공유회에서 카카오모빌리티 홍승환 책임연구원(오른쪽)이 수상 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송창종 디바이스AX혁신팀장과 기념사진을 촬영하고 있다. [사진=카카오모빌리티] |
특히 지난 2월 사업의 일환으로 구축한 '자율주행 AI 학습용 데이터셋'을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의 'AI 나눔' 플랫폼에 무료로 공개하며 국내 자율주행 연구개발 활성화에 기여해왔다.
해당 데이터셋은 국내 도로환경에서 수집한 데이터를 기반으로 사람, 차량, 자전거 등 움직이는 3D 동적 객체와 신호등, 표지판 등 2D 정적 객체를 인지·판단할 수 있도록 총 15만 건(프레임) 이상으로 구성됐다. 이를 통해 국내 스타트업과 학계는 저작권 문제없이 자율주행 AI 모델 개발에 활용할 수 있게 됐다.
카카오모빌리티는 지난해 8월 이 데이터셋 일부를 활용해 과기정통부 주최로 열린 '제1회 자율주행 인공지능 챌린지'를 개최하기도 했다. 당시 연구자, 개발자, 학생, 스타트업 등 총 279개 팀이 참가해 자율주행 기술의 저변을 확대하고 역량을 키웠다는 평가를 받았다.
장성욱 카카오모빌리티 미래이동연구소장은 "융합형 자율주행 학습 데이터 공개로 국내 자율주행 기술 고도화와 미래 모빌리티 산업 발전에 기여해 뜻깊다"며 "국내 대표 모빌리티 플랫폼으로서 자율주행 기술이 일상 속에 자연스럽게 자리 잡도록 기술 개발과 생태계 조성에 앞장서겠다"고 말했다.
한편, 카카오모빌리티는 국내 선도 자율주행 업체들과 협력해 강남·세종·판교·서울·대구·제주 등 다양한 지역에서 여러 형태의 자율주행 서비스를 실증했다. 지난해 9월에는 서울시의 자율주행자동차 운송플랫폼 민간사업자로 선정돼 서울시의 자율주행 대시민 서비스 일체를 '카카오 T' 앱에서 통합 제공하고 있다. 카카오모빌리티는 데이터 기반 서비스 설계 노하우와 풍부한 운영 관리 역량을 바탕으로 자율주행 기술 발전과 서비스 상용화를 지속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