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57억원 투입 11.2㎞ 구간 정비 예정
지하개발 사업장·대형 공사 현장 관리 철저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 용산구는 최근 전국적으로 발생하고 있는 땅꺼짐 사고에 대응하기 위한 체계적인 대응을 강화하고 있다고 28일 밝혔다.
땅꺼짐은 지하 토사가 유실되거나 지하수 변화로 인해 빈 공간이 드러나는 현상으로, 다양한 원인에 의해 발생한다. 주요 원인으로는 하수도관 손상, 집중호우, 굴착·터널 공사 등이 있으며,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최근 5년간 땅꺼짐 사고의 1위 원인은 하수관 손상으로 45.5%에 달한다.
![]() |
용산구는 3월부터 땅꺼짐 사고 예방을 위해 3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로를 대상으로 폐쇄회로텔레비전(CCTV) 조사용역을 진행하고 있다. [사진=용산구] |
용산구는 '노면 하부 공동조사용역'을 통해 매년 GPR(지표투과 레이더)를 활용, 도로 아래 보이지 않는 위험 요소를 정밀 탐사하고 있다. 이 조사는 5개년 계획으로 진행되며, 위험 요소가 발견될 경우 즉시 복구를 시행한다.
지난 2년 동안 약 216㎞를 조사하며 22곳에서 공동을 발견했고, 신속한 보수작업이 완료됐다. 특히 지난해 9월에는 갈월동 남영삼거리 인근에서 직경 0.4m, 깊이 1m의 공동을 사전에 발견해 긴급 보수를 실시, 사고를 예방했다. 올해는 87㎞ 구간에 대한 공동탐사를 진행하며, 5월 초부터 본격적인 조사에 나설 예정이다.
용산구 전체 하수관로(373km) 중 65%인 244km가 30년 이상 된 노후 관로이며, 50년 이상 된 구간도 약 49.6%에 달한다. 이에 따라 구는 최근 5년간 897억 원을 들여 75km를 정비했으며, 올해는 157억 원을 투자해 11.2km를 추가적으로 정비할 계획이다.
올 들어 3월에는 8억 원의 예산을 통해 30년 이상 된 노후 하수관로 110km와 도로상의 하수맨홀 9799곳에 대한 안전점검을 실시하고 있다.
안전점검은 CCTV를 활용해 하수관의 구조적 안전성과 결함을 평가하고 유지 관리방안을 마련한다. 점검 후 긴급 보수가 필요한 구간은 즉시 복구하며, 서울시와 협의해 복구비를 지원받아 신속하게 정비할 예정이다.
용산구는 관내 32개소 지하개발 사업장에 대해 지하안전영향평가를 점검하고, 주변 도로·시설물에 대한 지반 탐사를 통해 지반침하를 예방하고 있다. 대형 굴착 공사현장에서는 정기 점검과 지반 탐사를 통해 침하 사고를 방지하는 데 힘쓰고 있다고 구는 덧붙였다.
구 관계자는 "올해 땅꺼짐 사고 대응 예산으로 70억 원을 확보했다"며 위험 지역에 대한 주기적인 순찰을 통해 신속히 대응할 것이라고 전했다.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땅꺼짐은 눈에 보이지 않는 위협이지만, 사전 대응과 철저한 관리로 충분히 예방할 수 있다"며 "앞으로도 구민들이 안심하고 생활할 수 있는 도시 환경을 만들기 위해 모든 행정 역량을 집중하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