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업 대신 준법투쟁 선택, 안전운행으로 대체
서울시, 출근길 혼잡 대비 지하철 운행 확대
노사 갈등 지속, 향후 파업 가능성 배제 못 해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29일 오후부터 시작된 서울지방노동위원회 조정 회의에도 불구, 서울 시내버스 노사간 임금협상이 30일 오전 2시 최종 결렬됐다.
노사는 전날 오후 5시께부터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 회의를 열었으며 9시간가량 이어진 마라톤 협상에도 불구하고 결국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 |
[서울=뉴스핌] 최지환 기자 = 서울시버스운송사업조합과 서울시버스노동조합이 서울지방노동위원회에서 조정 회의를 진행중인 29일 오후 서울 강서공용차고지에 시내버스 등 버스가 주차되어 있다. 서울시 버스 노동조합은 이번 조정 회의 합의 불발 시 내일(30일) 첫차부터 파업을 예고한 바 있다.2025.04.29 choipix16@newspim.com |
노사 간 핵심 쟁점은 임금 인상 여부와 통상임금의 범위였다. 정기 상여금을 통상임금에 반영해야 한다는 노조 측 입장과, 통상임금 자체를 낮춰야 한다는 사측의 주장이 평행선을 달린 것으로 알려졌다. 노조는 다만 전면 파업은 유보하고, 사측과 서울시에 성실 교섭을 촉구한다는 입장이다.
막판 협상이 불발로 끝나면서 노조는 이날 오전 4시부터 준법투쟁(안전운행)에 돌입한다. 준법투쟁은 횡단보도 앞 우선 멈춤 실시 등 규정을 준수하며 운행하는 방식으로 운행이 지연되거나 배차 간격이 벌어질 수밖에 없다. 출근길 시민들이 불편을 겪을 것으로 예상된다.
서울시는 파업에 따른 시내버스 전면 운행중단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으나, 준법투쟁에 따른 운행 속도 저하, 배차 간격 증가 등 시내버스 이용 불편이 예상되는 만큼, 지하철 등 대체교통수단의 적극적인 이용을 당부했다.
서울시는 노조 준법투쟁이 끝날 때까지 비상수송대책을 추진한다. 지하철의 출근 주요 혼잡시간 운영을 현행 오전 7~9시에서 오전 7~10시로 1시간 연장하고, 1~8호선과 우이신설선의 열차 투입을 47회 늘린다. 각 자치구별로 오전 출근 시간대에 무료셔틀버스도 운영한다.
여장권 서울시 교통실장은 "파업이라는 최악의 상황은 피했으나 여전히 노사 간 갈등이 진행 중으로, 향후 파업으로 쟁의행위가 변경될 가능성도 있는 만큼, 조속한 시일 내에 원만한 노사 합의가 도출되도록 총력을 기울일 것"이라고 밝혔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