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팝 아이돌 산업이 벌써 5세대에 접어들었다. 절제된 사운드와 감성 중심의 음악, 플랫폼 기반의 실시간 소통, 그리고 버추얼 아이돌 부상까지. 아이돌은 더 이상 특정 세대의 우상이 아닌, 글로벌 문화와 기술, 복합 콘텐츠로 진화하고 있다. 이 같은 변화는 대중음악의 의미를 어떻게 바꾸고 있을까. 또 AI 기반 '버추얼 아이돌'은 음악 산업을 어떻게 변화시킬 수 있을 지 살펴봤다.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AI 기술의 발전은 이제 문화예술계를 넘어 K팝 산업의 한복판에 안착했다. '버추얼 아이돌'로 불리는 AI 기반 가상 아이돌 그룹들이 실제 아이돌 못지않은 팬덤과 영향력을 확보하며 아이돌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
버추얼 아이돌은 말 그대로 현실이 아닌 가상 세계에서 활동하는 아이돌이다. 버추얼이란 '가상의, 실제가 아닌'이라는 뜻을 가진 영어 단어 'Virtual'에서 유래한 말로, 실제 현실이 아닌 컴퓨터나 온라인 등의 과학 기술을 통해 가상 세계에 존재한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인기 버추얼 아이돌 그룹 '플레이브'. [사진=블래스트 엔터테인먼트] 2025.05.02 moonddo00@newspim.com |
AI 버추얼 아이돌은 딥러닝 기반 보컬 합성, 모션 캡처, 실시간 방송 시스템 등을 통해 현실 아이돌과 유사한 활동을 펼친다. 모션 캡처는 사람의 몸에 센서를 부착하거나 적외선을 통해 움직임을 디지털 형태로 변환하여 사람의 모션을 기록하는 기술이다. 이들은 팬들과의 실시간 소통을 가능하게 하는 온라인 공연, 스트리밍 방송 등을 활용해 기존 아이돌들이 선보였던 무대 경험을 그대로 구현한다.
이를 통해 K팝의 새로운 트렌드를 이끌고 있으며 팬들은 이들 가상 아이돌을 현실의 스타들처럼 응원하고 소셜 미디어를 통해 직접 소통한다.
버추얼 아이돌의 대중적 등장은 2020년 데뷔한 SM엔터테인먼트의 걸그룹 '에스파'로부터 본격화됐다. 에스파는 각 멤버의 '아이(ae)'라는 가상 자아를 세계관에 포함시키며 현실과 가상이 교차하는 신개념 세계관을 만들었다. 이를 시작으로 멤버 전원이 가상 인간으로 구성된 '플레이브', '이세계아이돌' 등의 그룹이 등장해 본격적인 버추얼 아이돌 시대를 알렸다.
특히 2023년 데뷔한 5인조 그룹 플레이브는 유튜브, 방송, 음원 플랫폼을 넘나들며 팬덤을 확장해 왔다. 디지털 싱글 '펌 업 더 볼륨(Pump Up The Volume!)'은 발매 6시간 만에 멜론 탑100 1위를 기록하고 멜론 누적 스트리밍 20억회를 달성해 빌리언스 클럽 실버 클럽에 입성하는 등 음원 부문에서 좋은 성적을 기록하고 있으며 유튜브 구독자는 100만 명을 돌파했다. 또, 음악 방송에서의 1위 차지와 각종 시상식에서의 수상은 더 이상 이들이 실험적 존재가 아님을 증명했다.
인터넷 방송인 우왁굳이 기획한 오디션을 통해 결성되어 2021년 데뷔한 6인조 그룹 이세계아이돌 역시 데뷔앨범 RE : WIND가 멜론 TOP100 차트 80위, 벅스 1위, 가온 다운로드 차트 1위 등의 기록을 세우는 등 좋은 성적을 이어가고 있다.
이처럼 AI 기반 아이돌은 무한한 확장성과 안정적인 콘텐츠 생산력을 기반으로 기존 아이돌 산업과는 다른 방식의 성장 전략을 구사하고 있다. 감정 소모와 체력 소진 없이도 연속적인 활동이 가능하며 팬들과의 교류 또한 기술을 통해 실시간으로 이루어진다. 기술 친화적인 Z세대와 알파세대의 관심은 가상 존재에 자연스럽게 이어지고 있다.
![]() |
[서울=뉴스핌] 최문선 인턴기자 = 인기 버추얼 아이돌 그룹 '이세계아이돌'. [사진=패러블 엔터테인먼트] 2025.05.02 moonddo00@newspim.com |
우려의 시선도 존재한다. 인간 아이돌과의 경계가 흐려지는 데 따른 정체성 문제, 감정 이입의 진정성, 그리고 무엇보다 인간 노동을 대체할 가능성에 대한 고민이 그 중심에 있다. 특히 AI 기술을 통해 만들어진 콘텐츠가 '창작'으로서 어떤 가치를 가질 수 있는 지에 대한 논의도 지속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버추얼 아이돌은 이제 단순한 실험 단계를 넘어 K팝 산업의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주목받고 있다.술 친화적인 Z세대·알파세대의 팬층을 고려할 때 이들의 존재감은 앞으로 더욱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
서국한 버추얼휴먼산업협회 협회장은 뉴스핌과의 인터뷰를 통해 "버추얼아이돌 산업의 성장 동력은 버추얼 유튜버이다. 일본에서 시작한 버추얼유튜버문화는 한국에 들어오면서 K팝 시스템 즉 보컬, 안무 트레이닝부터 K팝 작곡 및 음악 프로듀싱까지 글로벌로 인정된 시스템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버추얼아이돌이라는 새 장르를 만들었다. 앞으로 버추얼아이돌은 K팝 시스템에 의한 성장동력을 기반으로 더욱 확장될 것이다"라고 내다봤다.
K팝을 넘어 다른 문화 콘텐츠로의 확장 가능성에 대해선서 회장은 "지금은 주춤하고 있는 메타버스 산업으로 확장될 가능성이 높다. 코로나 팬데믹으로 시작된 메타버스 산업은 공간을 만드는 것에만 주력해 왔다. 그러기에 실제 가상공간에서 콘텐츠를 즐기고 소통하려고 하는 이유가 없었기 때문에 실패했지만 앞으로 버추얼아이돌이 메타버스 공간에 들어와 활동하게 된다면 그 영역은 무한한 확장으로 이어질 거라 생각된다"라며 "AI 기술과 더불어 안사람(버추얼을 연기하는 사람)이 없어도 아이돌의 세계관을 가진 버추얼아이돌 IP가 메타버스 공간에서 생활할 수 있기에 이를 보고자하고 소통하고자 하는 여러 팬덤들이 가상공간에서 생태계를 만들 것이라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moonddo0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