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슈미르 총기 테러 이후 인도-파키스탄 갈등 격화
인도 대외무역총국 "국가안보·공공정책 위해 제한"
[서울=뉴스핌] 이성화 기자 = 영유권 분쟁지 인도령 카슈미르에서 발생한 총기 테러로 인도와 파키스탄 간 긴장감이 고조되는 가운데 인도가 파키스탄으로부터 상품 수입과 선박 입항 등을 금지하기로 했다.
4일(현지시간) 로이터 통신 등은 인도 상무부 산하 대외무역총국(DGFT)이 전날 파키스탄에서 오는 상품 수입을 금지했다고 보도했다.
![]() |
[암리차르 로이터=뉴스핌] 홍우리 특파원 = 4월 26일(현지 시간) 인도 암리차르 인근 아타리-와가 국경 검문소에서 인도 국경안보군(BSF) 병사가 인도를 떠나려는 파키스탄인의 여권을 검사하고 있다. 2025.05.02 hongwoori84@newspim.com |
대외무역총국은 관련 통지문에서 "이번 제한 조치는 국가안보와 공공정책을 위해 부과된 것"이라고 밝혔다.
인도 해운총국(DGS)도 파키스탄 국적 선박의 인도 항구 입항과 인도 국적 선박의 파키스탄 항구 입항을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해운총국은 "인도의 자산·화물과 관련 인프라의 안전을 보장하고 공공과 인도 해운업의 이익을 위해 이번 명령을 발령했다"고 설명했다.
인도 당국은 또 파키스탄 유명 인사들의 사회관계망서비스(SNS) 계정에 대해 인도 내 접근을 차단했다. 이에 따라 인도 국민은 크리켓 국민스타 출신의 임란 칸 전 파키스탄 총리, 유명 발리우드 영화배우 파와드 칸과 아티프 아슬람 등의 인스타그램 계정에 접속할 수 없게 됐다.
앞서 지난달 22일 인도령 카슈미르 지역의 휴양지인 파할감 인근에서 관광객 등을 상대로 한 총기 테러가 발생해 26명이 사망하고 17명이 다쳤다.
인도 정부는 이번 사건이 파키스탄 정부가 지원하는 무장세력의 소행으로 벌어졌다고 보고 파키스탄으로 흘러가는 인더스강 물줄기를 방해하지 않기로 한 '인더스강 조약' 효력을 중단한 데 이어 인도 내 파키스탄인 비자를 취소하는 등 제재에 나섰다.
파키스탄 정부도 연루 의혹을 부인하며 인도 항공기의 영공 진입 금지, 무역 중단, 인도인 비자 취소 등으로 맞서고 있다.
이런 가운데 양국의 사실상 국경선인 실질 통제선(LoC)에서는 연일 소규모 교전이 이어지고 있다.
shl2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