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후 2시 6분 37.1도, 1시간 뒤 37.8도로 기록 경신
서울 등 일부 지역에 곳에 따라 소나기 내려
[서울=뉴스핌] 최수아 기자 = 8일 오후 서울 기온이 38도에 육박하며 7월 상순 역대 최고 기온을 기록했다. 앞서 전날 서울 전역에는 폭염 경보가 발효됐다.
무인 자동기상관측장비(AWS)에 따르면 이날 오후 5시 기준, 서울(종로구 서울기상관측소 기준) 낮 최고기온은 37.8도(오후 3시 9분)까지 올랐다. 이는 기상 관측 이래 7월 상순 역대 최고 기록이다. 역대 서울 최고 기온은 1위가 1939년 7월 9일 36.8도로, 86년만에 새 기록으로 갈아치운 것이다. 2위는 2019년 7월 6일 36.1도다.
![]() |
8일 오후 서울 기온이 38도에 육박하며 7월 상순 역대 최고 기온을 기록했다. [사진=최수아 기자] 2025.07.08 geulmal@newspim.com |
앞서 이날 오후 2시 6분 서울 기온이 37.1도로 올라 7월 상순 서울 역대 최고 기록을 세웠으나, 오후 기온이 더 오르면서 다시 '대기록'을 세운 것이다.
이날 서울 최고기온인 37.8도는 서울의 평년 최고기온은 28.8도보다 9도 높은 기온이다. 오후 5시 8분, 저녁이 다가온 시간에도 서울 낮 기온은 37.3도로 확인됐다. 일부 지역에는 곳에 따라 소나기가 내리고 있다.
이날 수도권 최고기온은 ▲인천 35.6도 ▲수원 36.7도 ▲이천 36.8도 등 대체로 35도를 넘는 무더운 날씨를 보였다.
기상청에 따르면 전국 62개 지점 평균 폭염일수는 평년 기준 4.1일이나, 전날(7일)까지 3.3일을 기록했다. 영덕, 의성, 구미, 영천, 거창, 합천, 밀양, 산청, 정읍, 울산, 포항, 대구 등은 7월 첫번째 주 내내 폭염이 발생했다.
서울 등 국내 서쪽 지역에 발효된 폭염경보는 일 최고 체감온도 35도를 넘는 상태가 이틀 이상 계속되거나 더위로 광범위한 지역에서 중대한 피해가 예상될 때 발령된다. 올해 서울 폭염경보는 '역대급 더위'를 기록했던 지난해보다 18일 빠르게 발효됐다.
![]() |
[서울=뉴스핌] 고다연 기자 = 2025.07.08 gdy10@newspim.com |
이는 태백산맥을 넘어 건조해진 바람이 서쪽으로 이동하며 뜨거운 지면을 따라 데워지는 현상 때문이다. 한반도에 동풍이 불면서 태백산맥에 서쪽에 위치한 서울을 비롯한 지역들은 당분간 낮은 뜨거운 무더위가 계속되고 밤에도 기온이 크게 내려가지 않는 열대야가 지속되겠다.
기상청은 "서쪽지역의 경우 고기압 가장자리에서 불어오는 동풍이 백두대간을 넘어 불며 더욱 기온이 올라 동쪽보다 덥겠다. 반면에 동쪽은 비교적 선선한 동풍이 불어오며 더위가 조금 완화될 가능성도 있겠다"고 밝혔다.
특히 무더운 날씨가 이어지며 초여름부터 폭염과 열대야가 발생했다. 지난달 18일 강릉에서 올해 첫 열대야를 시작으로 19일 대전·대구·광주 등 전국 12개 지점에서 역대 가장 이른 열대야가 기록됐다.
연일 계속되는 열대야와 폭염으로 온열질환 피해도 급속히 증가하고 있다. 질병청에 따르면, 지난 5월 15일부터 전국 의료기관 517곳 응급실을 대상으로 온열질환 감시체계를 가동한 이래 지난 6일까지 누적 온열질환자는 모두 875명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같은기간과 비교하면 온열질환자가 469명에서 859명으로 83.2% 증가한 것이다. 올해 온열질환 추정 사망자는 7명으로 지난해 2명과 비교하면 2배 이상 늘었다.
![]() |
[서울=뉴스핌] 고다연 기자 = 2025.07.08 gdy10@newspim.com |
geulmal@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