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KAIST와 전략적 오픈 R&D 본격화
자율형 에이전트·Responsible AI·Physical AI 등 핵심 과제 집중
KT, GPU·데이터·AI 모델 제공…'믿:음 2.0' 적극 활용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KT는 3일 서울대, KAIST와 산학 공동연구를 위한 협력 확대를 공식화하고, 서울 서초구 KT 우면연구센터에서 킥오프 워크숍을 개최했다고 밝혔다. 행사에는 KT 오승필 기술혁신부문장, 배순민 AI Future Lab장, 서울대 장병탁 AI연구원장, KAIST 김기응 교수 등 100여 명이 온·오프라인으로 참석했다.
이번 공동연구는 KT의 전략적 오픈 R&D 일환으로, 자율형 에이전트, Responsible AI, Physical AI, 인간 피드백 기반 강화학습, 추론 효율화 등 실제 사업과 직결될 핵심 과제를 중심으로 추진된다. KT는 GPU, 데이터, AI 모델 등 연구 인프라를 제공하며, 특히 한국적 AI 모델 '믿:음 2.0'을 연구 실행에 적극 활용한다.
서울대는 인간 중심 신뢰 기반 AI 연구를 위해 ▲자율형 에이전트 추론 ▲인간 피드백 강화학습 ▲RAI 평가 기준 개선 ▲사용자 상호작용 Actionable AI 개발 등을 담당한다. KAIST는 대규모 언어모델 효율성과 정확도를 높이는 프롬프트 최적화 기술을 집중 연구한다.
![]() |
사진은 지난 2일 서울 서초구 KT 우면연구센터에서 열린 워크숍에 참석한 관계자들이 기념촬영을 하는 모습. [사진=KT] |
KT는 이번 연구 성과를 '믿:음 2.0' 고도화에 접목해 자율형 에이전트와 Responsible AI 등 자사 AI 라인업을 강화하고, 공공·법률·금융·교육·의료 등 산업 현장에 적용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데이터-모델-서비스로 이어지는 정교한 AI 생태계를 구축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선도한다는 전략이다.
오승필 KT 기술혁신부문장은 "산학 협력은 KT가 직면한 핵심 문제 해결과 빠른 사업 적용을 위한 실질적 과제로 구성됐다"며 "국내 AI 산업 전반에 긍정적 파급 효과를 줄 것"이라고 말했다.
KT는 앞으로도 학계와 협력을 강화해 AI 기술의 깊이와 폭을 확장하며, 국내 대표 AICT 기업으로서 혁신을 선도해 나갈 방침이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