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러시아와 중국이 2일(현지시간) '시베리아의 힘 2' 가스관 건설을 위한 양해각서(MOU)를 체결했다.
러시아 국영가스기업 가스프롬의 알렉세이 밀러 최고경영자(CEO)는 이날 몽골을 경유해 중국으로 가스를 보내는 '시베리아의 힘2' 가스관 건설에 관해 법적 구속력 있는 각서를 체결했다고 밝혔다.
그는 새 가스관이 건설되면 극지대의 야말 가스전으로부터 30년간 연간 500억㎥의 가스를 몽골을 거쳐 중국에 공급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기존 '시베리아의 힘' 가스관을 통한 대중국 가스 공급량을 연 380억㎥에서 440억㎥로, 2027년 가동할 극동 사할린 섬 가스관을 통한 가스 수송도 연 100억㎥에서 120억㎥로 늘리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밀러 CEO의 발표는 2일 베이징에서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간 양자회담과 오흐나 후렐스후 몽골 대통령이 함께한 3국 정상회담이 개최된 후에 나왔다.
밀러 CEO는 북부 러시아의 보바넨코보(Bovanenkovo)와 카라사베이(Kharasavey) 가스전에서 시베리아와 몽골을 거쳐 중국으로 보내는 '시베리아의 힘 2' 건설 프로젝트가 "세계에서 가장 크고 자본 집약적인 사업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가스 공급 가격은 정해지지 않았으나 현재 유럽에 부과하는 가격보다 낮을 것"이라고 밝히고 "가스관 건설 공사 분담 비율은 추후에 별도로 합의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우크라이나 '특별군사작전'에 따른 서방 제재로 유럽 시장을 잃은 러시아 입장에서 중국과의 가스 협력 확대는 새로운 에너지 수입원 확보다. 또한 세계 최대 에너지 소비국인 중국으로선 러시아로부터 에너지를 더욱 저렴하면서도 안정적으로 공급받게 돼 에너지 안보를 강화하는 측면이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분석했다.
러시아는 유럽 가스 시장을 잃은 뒤 중국으로 에너지 수출을 확대하고 있다. 가스프롬은 그간 시베리아의힘 2 가스관 합의를 위해 노력해왔다.
옥스퍼드 에너지 연구소의 중국에너지 연구 책임자인 미찰 메이단은 "시베리아의 힘 2 가스관 협력 발표는 에너지 지정학 측면의 큰 전환점"이라며 "이것이 전하는 메시지는 이제 혼자가 아닌 중국이 더 이상 미국의 제재나 서방의 생각에 연연할 필요가 없다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러시아와 중국은 베이징 정상회담에서 22개의 합의 문서에 서명했다. 그 중에 가스프롬과 중국국영석유기업(CNPC)간 전략적 협력협정이 포함돼 있다.
![]()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이 2일 정상회담에 앞서 악수를 나누고 있다. [신화사=뉴스핌 특약] 조용성 특파원 = 2025.09.02 ys1744@newspim.com |
kongsik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