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협상, 기업 손해 강요 않겠다는 대통령 의지 확고
[서울=뉴스핌] 김종원 선임기자 박찬제 기자 =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16일 한미 간의 후속 관세협상 상황과 관련해 "우리 국익이라고 표현하지만 한국 기업들이 손해 보는 것을 정부가 강요하지 않겠다는 이재명 대통령의 의지는 확고하다"고 다시 한 번 분명히 했다.
이 관계자는 "빠른 시간 안에 협상을 타결해야 한다는 목표는 분명히 있다"면서 "다만 협상 시한에 쫓겨 한국 기업들이 크게 손해를 볼 수 있는 일을 대통령이 사인 할 수는 없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이날 대통령실에서 기자들과 만나 이 대통령이 현재 경제와 민생에 최우선적으로 집중하고 있으며, 그 다음으로 한미 간의 관세협상에 에너지를 쏟고 있다고 설명하면서 이같이 말했다.
![]() |
이재명 대통령이 16일 오전 취임 후 처음으로 정부세종청사에서 국무회의를 직접 주재하면서 국가균형발전에 대한 발언을 하고 있다. [사진=KTV] |
특히 이 관계자는 "협상 시한에 쫓겨 심대한 국익과 관련한 대통령의 역할을 포기하지 않겠다는 의지는 분명히 확고하다"고 거듭 밝혔다.
이 관계자는 "이게 추상적으로는 국익이지만 세부적으로 들어가면 모두 우리 기업들의 이익과 직결돼 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미국이 한국 기업에 자기 나라에 와서 투자하라고 해서 가는데 한국 기업들이 손해 볼 일을 한국 정부가 대신 사인 할 수는 없다"고 분명히 했다.
특히 이 관계자는 "기업의 이익은 기업의 판단이고 한국에서 기업이 돈을 벌게 해주는 것과 똑같이 미국에 가서도 한국 기업들이 돈을 벌어야지 미국에 돈 퍼주러 갈 수는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이 관계자는 "그런 측면에서 대한민국 정부가 기업들에 미국이 원하는 대로 해주라고 강요할 수는 없다는 것이 대통령의 확고한 생각"이라면서 "이것은 모두 기업의 이익과 연결돼 있는 일들"이라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특정 국가와 협상이 이렇게 장기간 교착 상태로 오래된 경험이 처음이어서 매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분명한 것은 국익을 중심으로 해서 협상에 임하겠다고 한 이 대통령 언급을 이해해 줬으면 한다"고 거듭 밝혔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