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PHI 2025서 '신사업' 본격화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대웅제약은 지난달 28일부터 30일까지 독일 프랑크푸르트에서 열린 세계 최대 제약·바이오 전시회 '2025 CPHI Worldwide'에 참가해 혁신 제형 플랫폼과 바이오시밀러 기술을 앞세워 글로벌 파트너링 및 시장 확장에 나섰다고 3일 밝혔다.
이번 전시회에서 대웅제약은 위식도역류질환 치료제 '펙수클루(Fexuclu)'와 당뇨병 치료제 '엔블로(Enblo)' 등 주력 신약은 물론, GLP-1 마이크로니들 패치와 바이오시밀러 등 차세대 기술을 중심으로 글로벌 계약 논의를 진행했다. 특히 지난해 밀라노에서 열린 CPHI 2024의 성과를 바탕으로 한층 강화된 글로벌 파트너십 구축에 주력했다고 설명했다.
![]() |
| CPHI 2025, 대웅제약 부스 전경 [사진=대웅제약] |
이번 전시회에서 핵심적으로 소개된 기술은 마이크로니들(미세바늘) 패치 기반의 약물전달 플랫폼이다. 이 기술은 피하 주사제를 대체할 수 있는 패치형 제형으로, 통증을 최소화하고 자가 투여가 가능해 환자 순응도를 높일 수 있다.
최근 생체이용률이 크게 개선되면서 글로벌 파트너사들로부터 높은 관심을 받고 있으며, 현재 세마글루타이드(GLP-1 유사체) 기반 비만치료제를 비롯해 성장호르몬, 보툴리눔 톡신 등 다양한 적응증으로 확장 중이다. 대웅제약은 이를 기반으로 혁신 제형 분야의 글로벌 사업화 기반을 강화할 계획이다.
또한 회사는 바이오시밀러를 차세대 핵심 사업군으로 육성하고 있다. 유럽과 미국 등 선진 시장을 중심으로 자체 개발, 공동개발, 라이선스 인·아웃, CDMO 협력 등 다각적인 사업모델을 전개하고 있으며, 최근 바이오시밀러 분야 최고 전문가인 홍승서 박사를 BS사업본부장으로 영입해 조직 역량을 강화했다. 대웅제약은 장기적으로 자사의 혁신 제형 플랫폼을 접목해 바이오시밀러를 '바이오베터(Biobetter)'로 발전시키는 전략도 추진 중이다.
대웅제약은 펙수클루와 엔블로를 앞세워 미국, 유럽, 중남미, 러시아, 중동, 아프리카 등 선진국 및 신흥 시장에서 글로벌 파트너십을 확대하고 있다. 두 제품은 '1품 1조' 전략 실현의 핵심 제품군으로, 이번 전시회에서도 다수의 국가 및 글로벌 제약사들과 활발한 협의를 이어갔다.
이와 함께 자회사 대웅바이오도 대웅제약과 함께 부스를 운영하며 글로벌 CDMO(위탁개발생산) 사업과 원료의약품 수출 확대에 나섰다. 행사 기간 동안 글로벌 잠재 고객사 25곳과 미팅을 진행하며 신규 고객 확보를 추진했고, 약 174억 원 규모의 원료의약품 수출 확대를 목표로 글로벌 공급망 다변화 및 연구 역량 강화를 병행했다.
'CPHI Worldwide'는 전 세계 150개국 이상에서 2500개 이상의 글로벌 제약기업이 참가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제약산업 전시회로, 약 4만 명의 업계 전문가와 투자자, 규제기관, 파트너사가 참석한다. 전시 부스 운영과 기술 발표 세션, 1대1 비즈니스 미팅 등 다양한 협력 프로그램이 함께 진행된다.
박성수 대웅제약 대표는 "이번 CPHI 참여는 단순한 기술 홍보를 넘어 글로벌 파트너들과 구체적인 사업 논의가 이뤄지는 성과 중심의 전시였다"라며, "마이크로니들 기반 혁신 제형과 바이오시밀러 등 미래 성장동력을 앞세워 글로벌 헬스케어 시장 공략에 속도를 낼 것"이라고 밝혔다.
sy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