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최근 발표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의 여파로 분양시장 분위기가 급격히 냉각되고 있다. 수도권은 규제지역 확대의 직격탄을 맞으며 26.9포인트 하락했고 비수도권 역시 수도권 규제 여파와 '똘똘한 한 채' 현상 확산으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세를 보였다.
![]() |
| [사진=주택산업연구원] |
6일 주택산업연구원에 따르면 이달 아파트 분양전망지수는 전월보다 전국 평균 19.4포인트(p) 하락한 72.1로 나타났다. 수도권은 26.9p(100.2→73.3), 비수도권은 17.7p(89.6→71.9) 하락할 전망이다.
수도권은 서울이 26.3p(111.1→84.8), 경기가 27.4p(97.1→69.7), 인천이 27.1p(92.3→65.2)로 모두 큰 폭으로 하락 전망됐다.
주산연 관계자는 "지난달 발표된 '10·15 주택시장 안정화 대책'에서 서울 및 경기 일부지역을 투기과열지구·조정대상지역 및 토지거래허가구역으로 지정하는 등 규제지역을 대폭 확대하는 동시에 주택수요를 억제하기 위한 고강도 규제를 시행한데 따른 영향"이라며 "초강력 규제에 더해 보유세 등 세제 개편 가능성까지 거론되면서 서울을 비롯한 수도권 전역의 아파트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있어 당분간 분양 시장전망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고 설명했다.
비수도권에서는 ▲울산 35.7p(107.1→71.4) ▲강원 34.4p(90.0→55.6) ▲충북 33.3p(88.9→55.6) ▲전남 27.8p(77.8→50.0) ▲전북 24.2p(90.9→66.7) ▲제주 23.2p(87.5→64.3) ▲충남 17.3p(92.3→75.0) ▲세종 16.7p(100.0→83.3) ▲경남 13.2p(84.6→71.4) ▲광주 11.0p(82.4→71.4) ▲부산8 10.5p(90.5→80.0) ▲대전 7.7p(100.0→92.3) ▲대구는 1.1p(87.5→86.4) 하락 전망됐다. 경북은 8.3p (75.0→83.3) 상승 전망됐다.
주산연 관계자는 "규제의 직접적 영향을 받은 수도권에 비하여 하락폭은 작지만 수도권의 강력한 규제 여파와 똘똘한 한 채 현상 가속화로 다주택자의 비수도권 주택 매도가 증가할 것으로 우려되면서 비수도권 또한 대부분 지역에서 하락 전망된 것"이라고 말했다.
11월 분양가격 전망지수는 지난달 대비 6.2p 하락했다. 대출규제로인한 수요 위축과 함께 신규 주택 건설물량 감소로 건설 자재와 인력 수요가 줄어들면서 공사비 부담이 완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영향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전월 대비 9.7p 하락하고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8.9p 상승한 것으로 조사됐다.
분양물량 전망지수는 79.7로, 10·15 대책 시행 이후 아파트 매수 심리가 위축되고 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주간 아파트 매매가격지수 상승폭이 전주 대비 절반 수준으로 줄어드는 등 집값 상승세가 둔화된 영향으로 풀이된다.
미분양물량 전망지수는 98.5를 기록했다. 최근까지 이어져 온 분양가 상승세와 대출규제 강화가 맞물리면서 수도권을 중심으로 실수요자들이 청약 대신 관망세로 전환할 것이라는 전망이 반영된 결과로 풀이된다.
min72@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