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현대서울·롯데백화점을 향한 테러 위협...정부·기업 '단호한 대응 원칙' 시급
[서울=뉴스핌] 남라다 기자 = "더현대서울에 폭발물을 설치했다." 지난 9일 오전, 한 온라인 커뮤니티에 올라온 이 문장 하나로 더현대서울은 1시간 넘게 마비됐다. 경찰과 보안요원이 매장 곳곳을 샅샅이 뒤졌지만 폭발물은 발견되지 않았다. 일요일 오전 11시, 가장 많은 고객이 몰리는 주말에 영업이 중단되면서 더현대서울은 오전 장사를 완전히 망쳤다.
이뿐만이 아니다. 전날에는 롯데백화점이 유사한 협박을 받았다. 서울 시내 10개 지점에 경찰이 동시에 투입됐고, 노원점에서는 영화관·식당을 닫고 100여 명을 긴급 대피시키는 소동까지 벌어졌다. 별다른 이상은 없었지만 시민들은 순식간에 불안감에 휩싸였다.
![]() |
| 남라다 산업부 차장 |
문제는 백화점과 같은 대규모 집객시설을 겨냥한 테러 협박이 최근 반복되고 있다는 점이다. 지난 8월에도 신세계·현대·롯데·스타필드를 향한 폭파 협박이 잇따랐는데, 3개월이 지난 지금도 테러 협박은 여전히 이어지고 있다. 유통업계는 성수기 여파까지 겹치며 우려를 감추지 못하는 분위기다. 특히 11월은 블랙프라이데이·광군제가 몰리는 유통업계 최대 성수기다. 이 시기에 테러 협박에 따라 매장 영업이 중단되면 타격은 더 커질 수밖에 없다. 업계는 "한 시간만 문을 닫아도 피해액이 수억 원"이라고 말한다. 소비 심리까지 흔들리면 충격은 배가된다.
이 같은 허위 협박이 이어지는 데는 낮은 처벌 수위가 한몫한다. 올해 3월 신설된 공중협박죄로 첫 판결을 받은 20대 남성은 벌금 600만원에 그쳤다. 폭파 의도 여부와 관계없이 공중협박은 중범죄지만 실제 처벌은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지적이다. 올 3월 이후 지난 6개월 동안 검찰에 접수된 59건 중 구속된 인원은 고작 2명(3.3%)에 불과했다.
영업 중단으로 발생하는 수억 원의 손실은 기업이 고스란히 감수하고, 협박 대응에 투입되는 경찰력과 비용은 결국 세금으로 충당된다. 허위 협박이 늘어날수록 부담은 기업과 공권력을 넘어서, 국민에게로 전가되는 셈이다.
그나마 최근 경찰이 신세계백화점을 협박한 20대에게 2000만 원대 손해배상을 청구하기로 한 것은 다행스럽다. 그러나 이 정도 조치로는 충분하지 않다. '장난'이라는 인식 아래 벌이는 범죄를 더 이상 가볍게 대해선 안 된다. 폭파 의도가 없어도 처벌을 강화하고, 허위 게시글과 거짓 신고에 대한 민·형사 책임을 명확히 해야 한다. "장난이었다"는 말로 빠져나가던 관행은 이제 끝내야 한다.
유통 기업들의 소극적 대응도 문제로 지적된다. 기업과 소비자 간 거래(B2C)를 근간으로 하는 기업 특성상 개인을 상대로 소송을 제기할 시 역풍을 우려해 법적 대응에 소극적 태도를 견지해왔다. 그러나 불특정 다수를 겨냥한 협박은 이미 '감내'의 수준을 넘어섰다. 백화점을 겨냥한 협박은 현장에서 쇼핑하던 시민들의 일상을 직접 겨눈 셈이다.
쇼핑은 사소한 소비 행위가 아니라 일상 생활을 지탱하는 기본적인 생활 활동이다. 이런 일상이 테러 위협에 흔들리면 불안은 순식간에 사회 전반으로 번지며 공동체 전체가 흔들린다. 지금 중요한 것은 관용이 아니라, 현실을 직시한 강력한 대응 원칙을 세우는 일이다. 불특정 다수를 겨냥한 테러 위협에는 정부와 기업 모두가 단호히 대응해, 시민의 안전을 지킬 수 있는 대책을 마련해야 할 때이다.
nrd@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