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분기 누적 순익 15% 급감, 손보 손해율·생보 예실차 악화로 본업 부진
실손보험 손해율 119%…업계 "두 자릿수 인상 불가피" 당국 "인상 최소"
자동차·실손보험 등 협상 본격화…지방선거 앞두고 정부 물가 부담 '고심'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보험사들의 3분기 누적 순이익이 전년 대비 15% 이상 감소하면서 내년 보험료 인상 논의가 다시 수면 위로 떠올랐다. 손해보험사들은 손해율 급등, 생명보험사들은 예실차 악화로 본업 수익성이 떨어지며 "가격 정상화가 불가피하다"는 입장을 내놓고 있다.
20일 금융감독원이 발표한 '2025년 1~9월 보험회사 경영실적(잠정)'에 따르면 생보사 22개사와 손보사 31개사를 합산한 당기순이익은 11조2911억원으로 전년 동기보다 15.2%(2조191억원) 감소했다.
손보사의 순이익은 6조4610억원으로 전년 대비 19.6%(1조5800억원) 줄었다. 투자이익이 8808억원 증가했지만 자동차보험·장기보험 손해율 상승 등으로 보험손익이 2조7478억원 감소한 영향이다. 생보업계 역시 손실부담비용 확대와 예실차 악화로 순익이 8.3% 감소했다.
![]() |
|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2025.11.19 yunyun@newspim.com |
업계는 실적 부진의 배경으로 정부의 보험료 인상 억제 기조를 지목한다. 실손의료보험 손해율이 110%를 넘고 자동차보험도 자연재해·정비공임 인상·한방 과잉진료 등의 영향으로 비용이 늘었지만 금융당국이 민생 부담을 이유로 인상에 제동을 걸어왔기 때문이다.
통상 보험료는 보험업계 자율로 결정되지만 실손보험은 4000만명 이상이 가입한 국민형 상품, 자동차보험은 의무가입 상품이어서 금융당국이 물가와 민생 부담을 고려해 인상 폭을 관리하고 있다. 실제 소비자물가지수(CPI)에도 보험료가 반영되기 때문에 당국은 인상률이 물가에 미치는 파급효과를 우려한다.
이 같은 규제 속에서 보험사들의 손해율은 꾸준히 악화되고 있다. 금감원에 따르면 실손보험 손해율은 ▲2023년 118.4% ▲2024년 116.2% ▲올해 상반기 119%로 3년째 110%대를 유지하고 있다. 지난해 기준 세대별 손해율은 3세대(128.5%), 4세대(111.9%), 1세대(97.7%), 2세대(92.5%) 순이다.
자동차보험도 손해율이 급등하며 인상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손해보험사들은 2022년 이후 3년 연속 자동차보험료를 인하했다. 평균 인하율은 ▲2022년 1.2% ▲2023년 1.9% ▲2024년 2.5%였다. 지난해에도 인상 필요성이 제기됐으나 물가 부담을 이유로 결국 인하가 결정됐다.
그 결과 손보협회에 따르면 올해 9월 기준 주요 5개사(삼성화재·DB손보·현대해상·KB손보·메리츠화재)의 자동차보험 손해율은 93.2%, 전년 대비 7.1%포인트 상승했다. 연말에는 손해율이 높아지는 경향이 있어 업계는 자동차보험 부문에서만 7000억~8000억원 규모의 적자를 예상하고 있다.
이런 가운데 업계 1위인 삼성화재가 지난 13일 3분기 실적 컨퍼런스콜에서 내년 보험료 인상 가능성을 공식 언급했다. 삼성화재 관계자는 "최근 4년 동안 요율을 인하했는데 내년도 손익에도 큰 영향을 미칠 것"이라며 "현재 합산비율 수준을 고려해 내년에 보험료를 인상하는 방안을 검토 중"이라고 밝혔다.
금융당국과 보험업계는 매년 11월 말부터 실손보험료 인상폭 조정을 위한 비공식 협의를 시작해, 12월 중순경 다음해 인상률을 확정한다. 올해도 이달 초 보험개발원이 각 보험사가 제출한 인상 요율에 대한 검증 작업에 착수했으며 그 결과를 바탕으로 인상률 협상이 진행될 예정이다. 자동차보험료도 보험개발원 검증 및 금융당국과 협의 등을 거쳐 1~2월 최종 확정 후 3월 신규 계약부터 적용된다.
다만 내년 지방선거를 앞두고 정부가 물가·민심 관리 기조를 강화할 가능성이 커 인상 폭이 예상보다 낮게 조정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다.
보험업계 관계자는 "자동차·실손보험 모두 구조적 적자가 이어지고 있어 현행 보험료로는 버티기 어려운 상황"이라면서도 "내년에는 일정 수준의 인상은 불가피하지만 정부의 정책 방향에 따라 최종 폭이 결정될 것"이라고 말했다.
yunyu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