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부동산 정책

속보

더보기

이건희 회장 소유 '트라움하우스5차', 올해 보유세 1억 넘는다

기사입력 : 2020년03월19일 11:40

최종수정 : 2020년03월19일 11:40

공시가격 2위 한남더힐, 올해 보유세 9829만원…작년비 47% 껑충
3위 삼성동 아이파크, 4~6위보다 보유세 낮아…보유세 증가폭은 1위

[서울=뉴스핌] 김성수 기자 =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소유한 서울 서초구 '서초동 트라움하우스 5차'가 올해 공시가격 상승으로 보유세 부담이 1억원을 넘길 전망이다.

19일 우병탁 신한은행 부동산투자자문센터 팀장(세무사)이 전국 공시가격 10위권 공동주택 소유자가 1주택자, 만 59세 미만, 5년 미만 보유로 1주택자 종부세 세액공제가 없다고 가정하고 시뮬레이션한 결과, 트라움하우스 5차 소유자의 올해 보유세는 1억884만9696원으로 집계됐다. 작년 보유세(8720만3808원)보다 24.82% 상승한 수치다.

트라움하우스 5차의 올해 공시가격은 전년대비 1.86% 오른 69억9200만원으로 전국 1위다. 정부가 공동주택 중 연립주택 가격을 별도 공시하기 시작한 지난 2006년 이후 15년 연속 최고가를 기록하고 있다.

보유세는 재산세, 도시지역분재산세, 지방교육세, 종합부동산세, 농어촌특별세를 합한 수치다. 트라움하우스5차 소유자의 올해 재산세는 1615만800원으로 작년(1584만3600원)보다 1.9% 증가한다. 종부세는 6966만2880원으로 작년(5202만1440원)에서 33.9% 증가한다.

트라움하우스 5차 소유자가 올해 5년 보유로 20% 세액공제를 받는다고 가정하면 보유세는 전년대비 23.3% 오른 9213만605원으로 집계된다. 이 경우 재산세는 세액공제가 없을 때와 동일하며 종부세가 4161만7152원에서 5573만304원으로 33.9% 오른다.

이 연립주택은 재벌가 인사들이 소유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3개동, 18가구 규모며 서리풀공원과 가깝고 최고급 자재를 사용해 초고가 공동주택의 대표 주자로 꼽힌다.

공시가격 2위인 한남동 한남더힐은 올해 보유세가 9829만7184원으로 작년보다 47.71% 오른다. 종부세 20% 세액공제가 있을 경우 보유세는 8337만3139원으로 작년보다 45.68% 오른다.

한남더힐은 사실상 국내 최고가 아파트로 꼽힌다. 이 아파트에는 구광모 LG 회장, 연예인 안성기·이승철·한효주씨가 살고 있으며 방탄소년단 숙소도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10위권 주택 중 일부는 공시가격이 더 높은데도 보유세는 더 저렴하게 나왔다. 올해 공시가격 기준 전국 3위인 강남구 삼성동 아이파크의 보유세는 8665만9200원이다. 4위 청담동 마크힐스이스트윙(9293만9592원), 5위 청담동 마크힐스웨스트윙(9285만6096원), 6위 삼성동 상지리츠빌카일룸(8677만7088원)보다 보유세가 낮은 것.

또한 7위 상지리츠빌카일룸(7901만3832원), 8위 반포동 아크로리버파크(7443만720원)의 보유세는 9위 청담동 효성빌라 청담101(8416만7520원)보다 보유세가 낮다.

10위권 공동주택 중 보유세가 올해 가장 크게 증가한 아파트는 삼성동 아이파크다. 삼성동 아이파크는 올해 보유세 상승폭이 48.55%에 이른다. 그다음으로 보유세 상승폭이 높은 것은 아크로리버파크(48.49%)다.

전문가들은 올해 공시가격이 더 높은 아파트가 보유세는 더 적게 나온 이유는 ▲상위 10위권 주택의 순위가 작년과 바뀌었고 ▲세 부담 상한이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세 부담 상한은 직전연도 금액의 150% 수준이다.

우병탁 세무사는 "삼성동 아이파크는 작년 공시가격이 50억4000만원으로 마크힐스이스트윙(53억4400만원), 마크힐스웨스트윙(53억6800만원)보다 낮았다"며 "올해 삼성동 아이파크 공시가격(65억6000만원)이 두 아파트를 역전해서 보유세를 더 높게 매기려 해도 작년 보유세의 150% 상한에 걸리게 된다"고 말했다. 

이어 "상지리츠빌카일룸(48억3200만원), 아크로리버파크(45억1200만원)도 작년 공시가격이 효성빌라 청담101(50억4800만원)보다 낮았기 때문에 비슷한 효과가 발생한다"며 "다만 워낙 고가주택 간 순위가 엎치락뒤치락한 것이다 보니 보유세 형평성 논란을 제기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고 덧붙였다.

국토부는 올해 1월 1일 기준 공동주택 1383만가구 공시가격(안)의 소유자 열람 및 의견청취 절차를 오는 19일부터 다음달 8일까지 시행한다.

공동주택 공시가격 결정·공시 이후에는 다음달 29일~오는 5월 29일까지 1개월간 이의신청 접수를 받는다. 이후 재조사·검토과정을 거쳐 오는 6월 말쯤 조정·공시할 방침이다.

 

sungsoo@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