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문화·연예일반

속보

더보기

[컬처톡] 복잡다단한 인간 내면 들여다보는 연극,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기사입력 : 2021년10월13일 07:14

최종수정 : 2021년11월02일 15:20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연극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가 20세기 초반 미국 남부지방의 적나라한 사회상과 더불어 좌절, 욕망, 무기력으로 점철된 인간의 내면을 조명한다.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가 현재 대학로 홍익대학교 대학로 아트센터 대극장에서 공연 중이다. 미국의 유명 극작가 테네시 윌리엄스의 원작을 기반으로, 이번 시즌엔 박해미, 김예령, 고세원, 임강성, 임주환, 태항호, 오현철 등이 출연한다. 극의 내용은 충격적이고, 서사는 불친절하지만 TV 화면에서 만나던 익숙한 배우들이 실제 무대 연기에 도전했단 점에서 색다른 매력이 느껴진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2021 연극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공연 장면 [사진=컴퍼니다] 2021.10.12 jyyang@newspim.com

◆ 낯설고 생경한 분위기가 가득한 무대…임주환의 탄탄한 기본기

로렐 지방에서 교사로 일하던 블랑쉬(김예령)는 충격적인 사건에 휘말리며 뉴올리언스에 사는 동생 스텔라(임예나)의 집으로 가게 된다. 그의 남편은 폴란드 출신 노동자 스탠리(임주환)는 허영이 가득한 블랑쉬를 못마땅해 한다. 블랑쉬는 갈 곳이 없는 처지로 동네 노총각인 미치(태항호)를 꼬드기지만 모욕적인 과거가 폭로되면서 파국을 맞는다. 극중 모든 인물은 속물적이고 각자의 욕망을 고스란히 드러내며 관객들에게 묘한 거부감을 안긴다.

주연인 블랑쉬는 극을 이끄는 것은 물론, 시작과 끝을 담당하는 만큼 가장 중요한 인물이자 역할이다. 블랑쉬는 몰락한 지주 집안의 딸로 교사로 살면서 과거 사랑에 대한 트라우마로 문란한 사생활을 즐기다 파멸을 맞는다. 김예령은 매사에 꿈꾸듯 허상을 좇거나 인지부조화에 빠진 듯한 블랑쉬의 캐릭터를 구현해낸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2021 연극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공연 장면 [사진=컴퍼니다] 2021.10.12 jyyang@newspim.com

임주환의 스탠리는 뜻밖의 발견이다. 2004년 데뷔한 그는 무려 17년 경력의 배우답게 꽤 탄탄한 기본기를 보여준다. 연극 무대가 처음임에도 브라운관이나 영화 등 다른 장르에서 익숙한 일상톤을 벗어나, 연극톤 발성과 연기를 제법 훌륭하게 구사한다. 스탠리는 가정폭력, 처참한 도덕관, 속물 근성 등 부정적인 면이 도드라지는 인물. 그럼에도 블랑쉬를 향한 강한 적대심과 불호를 통해 인물 자체의 특성을 관객에게 납득시킨다.

◆ 오프닝 공연의 한계?…더 발전될 공연을 기대하며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는 미국에서 1947년 초연됐으며 이듬해 퓰리처상을 수상하며 작품성을 인정받은 작품이다. 이번 시즌 공연은 기존의 캐스트를 거의 찾아볼 수 없고, 반가운 얼굴들이 다수 나선 데다 무대 소품 하나하나, 잦은 암전 등 모든 면에서 조금은 어수선한 분위기를 아직 벗어나지 못했다. 물론 지난 8일에 막을 올려 한달 반이나 기간이 남은 만큼 앞으로 나아질 여지는 얼마든지 있다.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2021 연극 '욕망이라는 이름의 전차' 공연 장면 [사진=컴퍼니다] 2021.10.12 jyyang@newspim.com

그럼에도 이 작품을 통해 생각해볼 점은 분명히 있다. 집안이 몰락했지만 허영심을 버리지 못하고 인지부조화에 빠진 블랑쉬, 임신 중에 뺨을 맞아도 현실적으로 남편이 필요한 스텔라, 고된 노동을 하며 삶을 이어가지만 술과 도박, 폭력의 굴레에 빠진 스탠리를 통해 당시 미국인들의 처지와 삶의 단면을 들여다볼 수 있다. 특히 폴란드 출신을 비하하는 '폴락'이란 단어에 펄펄 뛰던 스탠리가 가장 '폴락'같은 최악의 짓을 저지르는 장면이 인상적이다.

개인적인 성적 트라우마로 인해 17세 소년과 부적절한 관계를 맺은 블랑쉬의 복잡다단한 내면이 표현되는 방식도 낯설지만 새롭다. 허영심과 허언증에 시달리는 블랑쉬를 사사건건 의심하며 무대 위 벌어지는 사건들이 과연 어디까지 진실인가 하는 의문이 찾아오는데, 이 역시도 작품을 보는 재미 중 하나다. 가장 속물적이고 더러운 과거를 지닌 블랑쉬(하얀색)의 이름, 그에 대응되는 흰 커튼 장식들도 상징적이다. 충격적인 사건을 덮고, 또 받아들이는 인물들을 통해 복잡다단한 인간 내면을 들여다보고 생각에 잠기게 된다. 오는 11월 21일까지 홍익대 대학로 아트센터에서 공연.

jyyang@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尹탄핵심판 '인용' 51.9% vs '기각' 44.8% [서울=뉴스핌] 김가희 기자 = 국민 과반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를 인용해야 한다고 응답한 여론조사가 7일 공개됐다. 기각 여론도 만만치 않았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의뢰로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가 지난 5일부터 6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동응답시스템(ARS) 조사 결과에 따르면 '헌법재판소가 윤석열 대통령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야 한다고 생각하느냐'는 질문에 응답자 51.9%는 '인용해야 한다'고 답했다. '기각해야 한다'는 답변은 44.8%였다. 격차는 7.1%포인트(p) 였다. '잘 모름'은 3.3%였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인용해야 한다 50.1%, 기각해야 한다 47.7%, 잘 모름 2.2% 였다. 여성은 인용해야 한다 53.6%, 기각해야 한다 42.0%, 잘 모름 4.3%였다.  연령별로는 ▲만 18세~29세(인용 52.5%, 기각 46.6%, 잘 모름 0.9%) ▲30대(인용 56.9%, 기각 41.0%, 잘 모름 2.1%) ▲40대(인용 68.7%, 기각 30.3%, 잘 모름 1.0%) ▲50대(인용 60.9%, 기각 36.0%, 잘 모름 3.0%)에서 인용 의견이 더 많았다. 반면 ▲60대(인용 42.8%, 기각 53.9%, 잘 모름 3.3%) ▲70대 이상(인용 25.5%, 기각 64.7%, 잘 모름 9.8%)은 기각 응답이 더 높게 나타났다. 지역별로는 대전·충청·세종에서 인용해야 한다는 응답(61.7%)이 가장 높았다. 기각은 37.4%, 잘 모름 0.9%였다. ▲광주·전남·전북(인용 56.5%, 기각 37.1%, 잘 모름 6.3%) ▲부산·울산·경남(인용 53.1%, 기각 42.5%, 잘 모름 4.4%) ▲서울(인용 51.2%, 기각 47.8%, 잘 모름 1.0%) ▲경기·인천(인용 50.5%, 기각 46.7%, 잘 모름 2.8%) ▲강원·제주(인용 47.2%, 기각 45.5%, 잘 모름 7.3%) ▲대구·경북(인용 42.7%, 기각 52.0%, 잘 모름 5.2%) 순이었다. 지지 정당별로 보면 ▲더불어민주당 지지자 90.5% ▲조국혁신당 지지자 93.0% ▲개혁신당 지지자 84.7% ▲진보당 지지자 86.5%가 탄핵이 인용돼야 한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 87.6%는 탄핵 기각을, 7.9%는 탄핵 인용을 주장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이번 조사 결과에 대해 "탄핵이 인용되면 대통령이 파면돼 권력 공백과 정국 혼란이 발생할 수 있지만, 국민의 민주주의 수호와 대통령의 중대한 잘못에 대한 바로잡기가 가능해질 수 있다는 여론이 우세했기 때문"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헌법재판소가 향후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소추안에 대해 어떤 결론을 내릴지는 법적 근거와 증거의 유무, 국가와 국민에게 미친 영향, 사회적 여론과 정치적 상황 등 여러 요인에 따라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탄핵 절차의 공정성과 투명성을 확보해 정치적 편향성을 최소화해야 국민의 신뢰를 얻을 수 있다"고 덧붙였다. 이번 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 활용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kgml925@newspim.com 2025-02-07 11:00
사진
정당지지율 국민의힘 43.2%·민주 41.4%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설날 전까지 10% 포인트(p) 가까이 차이를 보였던 국민의힘과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이 오차 범위 내 접전 양상으로 바뀐 것으로 나타났다. 상승세를 타던 국민의힘 지지율은 꺾였고, 떨어지던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회복됐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5~6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ARS(자동 응답시스템) 조사해 7일 발표한 결과 국민의힘 지지율은 43.2%로 집계됐다. 더불어민주당 지지율은 41.4%였다. 지난달 22일 발표된 조사와 비교해 국민의힘은 5.3%p 하락한 반면 민주당은 2.6%p 상승하면서 양당 지지율 격차는 9.7%p에서 1.8%p로 줄었다. 조국혁신당은 4.5%로 지난조사보다 0.7%p 상승했고, 개혁신당은 1.5%로 0.2%p 올랐다. 진보당은 0.7%(+0.3%p), '기타다른정당' 2.3%(+0.6%p), '지지정당없음' 5.9%(+4.2%p), '잘모름'은 0.5%(+0.4%p)로 기록됐다. 연령별로 보면 18~30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을, 40~50대는 민주당을 가장 많이 지지했다. 만 18세~29세는 국민의힘 46.3%, 민주당 35.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3.9%, 진보당 1.2%, 기타다른정당 3.4%, 지지정당없음 3.3%, 잘모름 1.2%였다. 30대는 국민의힘 41.1%, 민주당 39.9%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6%,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7%, 잘모름 0.8%였다. 40대는 민주당이 55.9%, 국민의힘 29.0%, 조국혁신당 5.1%, 개혁신당 0.5%,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7.4%였다. 50대는 민주당 47.0% 국민의힘 35.3%, 조국혁신당 7.2%, 개혁신당 2.3%,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0.4%, 지지정당없음 6.4%였다. 60대는 국민의힘 53.7%, 민주당 35.7%, 조국혁신당 2.8%, 진보당 0.5%,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4%였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6.9%, 민주당 31.6%, 조국혁신당 1.9%, 진보당 1.0%,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4.8%였다. 국민의힘은 지역별로 서울과 경기·인천,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에서 높은 지지율을 기록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광주·전남·전북에서는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앞섰다. 서울은 국민의힘 47.2%, 민주당 38.5%, 조국혁신당 1.4%, 개혁신당 0.4% 진보당 1.4%, 기타다른정당 2.8%, 지지정당없음 8.3%였다. 경기·인천은 국민의힘 43.3%, 민주당 39.7%, 조국혁신당 4.0%, 개혁신당 1.5%, 진보당 0.9%, 기타다른정당 3.3%, 지지정당없음 6.0%, 잘모름 1.4%였다. 대전·충청·세종은 민주당 53.5%, 국민의힘 36.5%, 조국혁신당 4.5%, 개혁신당 0.8%, 기타다른정당 2.0%, 지지정당없음 2.6%였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59.4%, 국민의힘 33.3%, 조국혁신당 2.4%, 지지정당없음 4.9%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4.4%, 민주당 35.2%, 조국혁신당 9.0%, 개혁신당 1.8%, 기타다른정당 1.5%, 지지정당없음 8.1%였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60%, 민주당 28.4%, 조국혁신당 3.7%, 개혁신당 2.8%, 통합진보당 1.5%, 기타다른정당 1.7%, 지지정당없음 1.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54.6%, 국민의힘 28.4%, 조국혁신당 6.9%, 개혁신당 3.5%, 기타다른정당 1.0%, 지지정당없음 5.5%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국민의힘 46.0%, 민주당 38.1%,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5%, 진보당 0.8%, 기타다른정당 2.1%, 지지정당없음 6.7%였다. 여성은 민주당 44.6%, 국민의힘 40.5%, 조국혁신당 5.2%, 개혁신당 0.5%, 진보당 0.6%, 기타다른정당 2.5%, 지지정당없음 5.1%, 잘모름 0.9%였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국민의힘 지도부가 단체 면회를 가는 등 모습이 민주당 지지층을 결집시켰고, 일부 중도층도 야권으로 이동하면서 국민의힘 지지율은 큰 폭으로 하락한 반면 민주당 지지율은 소폭 상승했다"며 "여론은 언제든 변화할 수 있음을 보여준 결과"라고 분석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07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