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문화·연예 전시·아트

속보

더보기

대구아트페어 Diaf로 명칭 바꿔 25일 개막...국제화 강화

기사입력 : 2022년11월20일 01:43

최종수정 : 2022년11월25일 15:56

올해 15회째 독일, 영국 등 9개국 129개 화랑 참가
K팝아트의 오늘(윤진섭 기획) 등 부대행사 풍성
젊은 신규 컬렉터 겨냥한 작품과 아트토크 눈길

[서울 뉴스핌] 이영란 편집위원 = 올해로 15회째를 맞는 대구아트페어가 Diaf(디아프)로 명칭을 바꿔 25일 대구광역시 엑스코에서 막을 올린다. 기존 대구아트페어에서 Diaf로 이름을 바꾼 것은 지역의 아트페어에서, 보다 국제성을 강화한 글로벌 아트페어로의 변신을 이루기 위해서다.

큐비즘 작가 피카소의 뒤를 이어 '심리적 큐비즘'을 창안한 미국의 유명 작가 조지 콘도. 2022 Diaf에는 조지 콘도의 또다른 작품이 출품된다. [사진제공=Diaf].

2022 Diaf에는 한국을 비롯해 독일·일본·영국·미국·프랑스·싱가폴 등 9개국에서 총 129개 갤러리가 참가한다. 서울에서는 국제갤러리, 갤러리바톤, 이화익갤러리, 313아트프로젝트, 더컬럼스, 갤러리가이아, 갤러리2, 갤러리반디트라소, 갤러리세인, 스마트갤러리 등이 참가한다. 부산에서는 조현화랑, 소울아트스페이스 등이 참여하며 대구에서는 리안갤러리, 우손갤러리, 갤러리 전, 갤러리신라, 갤러리분도 등이 참여하는 등 국내를 대표하는 갤러리 120곳이 Diaf에 부스를 차린다. 해외에서는 양 갤러리, 토무라리, 야리라거 갤러리, 갤러리 클로제 등 9개 화랑이 참가한다.

[서울 뉴스핌] 이영란 기자=2022 Diaf 포스터. 대구아트페어는 올해부터 Diaf(디아프)로 명칭을 전면 변경하고 글로벌화를 추진한다.[사진=Diaf]. 2022.11.19 art29@newspim.com

참여 갤러리들은 국내외 1200여 작가의 작품 5000여점을 전시 판매한다. 박수근, 유영국, 백남준, 박서보, 정상화, 변시지, 이우환, 이건용, 이배, 박선기, 남춘모, 양혜규 등 국내 유명 작가들의 작품이 나온다. 또 데이비드 호크니, 다니엘 뷔렌, 조지 콘도, 루이스 부르주아, 조엘 매슬러, 애니쉬 카푸어, 쿠사마 야요이, 이미 크노벨, 알렉스 카츠, 로즈 와일러, 헤르난 바스 등 해외 유명 작가들의 작품도 소개된다.

[서울 뉴스핌]이영란 기자=갤러리 전이 선보이는 반 레이 작품. [사진=Diaf] 2022.11.20 art29@newspim.com

특별전과 부대 이벤트가 어느 때보다 풍성한 것이 2022 Diaf의 특징이다. 특별전으로는 작가이자 큐레이터인 윤진섭이 기획한 'K-팝아트의 오늘'이 주목된다. 권오상, 김기라, 김승현, 김준, 김지희, 김채연, 마리킴, 손현수, 아트놈, 윤기원, 이동기, 찰스 장, 홍경택, 홍지윤 등 14명의 아티스트들의 작품이 한자리에 모인다. 국내외 미술계에서 왕성히 활동하며 한국현대미술의 경쟁력을 선보여온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지난 10년간 나타난 한국 팝아트의 변화와 미래를 가늠해보는 기획전이다.

[서울 뉴스핌]이영란 기자=국제갤러리가 선보이는 유영국 작품 'Work'. [사진=Diaf] 2022.11.20 art29@newspim.com

갤러리 대표와 함께 하는 '아티스트 토크'도 관심을 모은다. 참가 갤러리 대표와 소속 아티스트가 다양한 주제로 이야기를 나누는 오픈 토크 프로그램으로 서울 갤러리세인의 정영숙대표(예술경영학 박사)를 비롯해 총 3개 갤러리의 대표들이 4명의 소속 아티스트들과 심층 토크를 나눈다.

[서울 뉴스핌]이영란 기자=리안갤러리가 선보이는 이건용 작품.'Bodyscape 76-1'. 2022, Acrylic on canvas, 150x171cm.[사진=Diaf] 2022.11.20 art29@newspim.com

컬렉터들이 직접 참여하는 토크 프로그램과 강연도 다채롭게 펼쳐진다. 유튜버로 왕성하게 활동 중인 이소영 미술칼럼니스트와 젊은 컬렉터인 노재명 등이 참여하는 '영 컬렉터스 토크'는 기대를 모으는 프로그램이다. 특별전 기획자인 윤진섭 평론가가 김기라, 아트놈 작가와 함께 하는 팝아트 토크쇼와 정우철 도슨트, 성종화 컬렉터(의사)의 강연도 열린다.

[서울 뉴스핌]이영란 기자=갤러리세인이 선보이는 김영환의 템페라화 '조용한 풍경'. 145x112cm. 2022 [사진=Diaf] 2022.11.20 art29@newspim.com

Diaf는 올해부터 '온라인 뷰잉룸'(OVR·Online Viewing Room)도 선보인다. Diaf에 참가하는 모든 화랑들의 출품작을 시공간 제약 없이 감상하고, 구입문의도 할 수 있다. OVR은 VIP관람객을 대상으로는 지난 17일 오픈했고, 일반 관람객에게는 25일부터 오픈된다. Diaf가 폐막하고도 OVR은 12월 4일까지 자유롭게 관람할 수 있다.

전병화 대구화랑협회 회장(갤러리 전 대표)은 "글로벌 아트페어를 지향하며 올해부터 기존 대구아트페어에서 Diaf로 명칭을 바꾸고, 페어의 전반적인 수준을 글로벌 스탠다드에 맞추고자 했다"며 "MZ세대 컬렉터를 겨냥해 인플루언서로 구성된 MZ운영위원을 투입해 새로운 젊은 컬렉터를 적극 공략하고, 작가및 컬렉터 등과 직접 소통하는 토크 프로그램도 준비했다"고 말했다.

[서울 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 2022 Diaf에 참가하는 서울의 갤러리가이아가 선보이는 김명진의 회화 'Edge walker- A Space Odyssey',162x130cm,2022 [사진=Diaf] 2022.11.25 art29@newspim.com

이어 "Diaf는 올해부터 온라인 뷰잉룸을 시행하고, 해외 갤러리 비중을 늘리는 등 국제화의 시동을 본격적으로 꾀했으니 많은 호응을 기대한다"고 밝혔다. Diaf는 24일 VIP프리뷰를 시작으로 25~27일 일반관람을 시행한다.

art29@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사진
민주 42.3%·국힘 39.7%…오차 범위 내 역전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더불어민주당의 지지율이 청년층·수도권 등 보수 결집으로 힘을 받았던 국민의힘 지지율을 오차 범위 안에서 역전한 것으로 조사됐다. 20~30대 청년층과 서울·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집권 여당에 대한 호감도가 줄어든 영향으로 분석된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일부터 19일까지 이틀 동안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자동 응답시스템(ARS) 조사에서 '어느 정당을 지지하거나 약간이라도 더 호감을 가지고 있냐'는 질문에 민주당 지지율은 직전 조사(41.4%) 대비 0.9%포인트(p) 오른 42.3%로 나타났다. 국민의힘 지지율은 직전 조사(43.2%) 대비 3.5%p 하락한 39.7%다. 같은 기간 조국혁신당은 4.5%에서 3.5%로 1%p 떨어졌다. 개혁신당은 1.5%에서 2.3%로 0.8%p 올랐다. 진보당은 0.7%로 지지율에 변동이 없었다. '지지 정당 없음'은 5.9%에서 7.6%로 1.7%p 늘었다. '기타 다른 정당'은 2.3%에서 3.1%로 0.8%p 상승했다. '잘모름'은 0.5%에서 0.6%로 0.1%p 올랐다. [서울=뉴스핌] 한태희 기자 = 2025.02.20 ace@newspim.com 연령별로 보면 만 18~29세와 60대 이상은 국민의힘에 대한 지지도가 높았다. 30~50대는 민주당을 더 지지했다. 만 18~29세 정당 지지도를 보면 국민의힘 39.6%, 민주당 36.9%, 개혁신당 7.9%, 조국혁신당 3.6%, 기타 다른 정당 1.9%, 지지 정당 없음 9.5%, 잘모름 0.6%등이다. 직전 조사와 비교하면 민주당은 35.5%에서 36.9%로 1.4%p 올랐고 국민의힘은 46.3%에서 39.6%로 6.7%p 떨어졌다. 30대는 민주당 41.3%, 국민의힘 35.2%, 개혁신당 2.7%, 조국혁신당 1.4%, 진보당 1.3%, 기타 다른 정당 5.3%, 지지 정당 없음 11.4%, 잘모름 1.3% 등이다. 직전 조사 대비 민주당은 39.9%에서 41.3%로 1.4%p 상승했고 국민의힘은 41.1%에서 35.2%로 5.9%p 하락했다. 40대는 민주당 52.2%, 국민의힘 32.9%, 조국혁신당 3.8%, 개혁신당 2.9%, 진보당 0.5%, 기타 다른 정당 1.1%, 지지 정당 없음 1.1% 등이다. 50대는 민주당 50.2%, 국민의힘 27.8%, 조국혁신당 6.4%, 진보당 1.4%, 기타 다른 정당 4.5%, 지지 정당 없음 9.7% 등이다. 60대는 국민의힘 51%, 민주당 38.4%, 조국혁신당 3.2%, 개혁신당 0.5%, 기타 다른 정당 2.7%, 지지 정당 없음 3.7%, 잘모름 0.5% 등이다. 70대 이상은 국민의힘 54.7%, 민주당 31.5%, 조국혁신당 1.8%, 진보당 1.3%, 개혁신당 0.7%, 기타 다른 정당 3.2%, 지지 정당 없음 5.1%, 잘모름 1.7% 등이다. 지역별로 보면 직전 조사와 비교해 서울과 경기·인천 등 수도권에서 민주당이 국민의힘을 역전했다. 반대로 대전·충청·세종에서는 국민의힘이 민주당보다 앞섰다. 서울은 민주 42.5%, 국민의힘 37.4%, 조국혁신당 3.0%, 개혁신당 2.2%, 진보당 2.0%, 기타 다른 정당 3.5%, 지지 정당 없음 9.5% 등이다. 경기·인천은 민주 43.5%, 국민의힘 36.9%, 조국혁신당 4.1%, 개혁신당 3.2%, 진보당 0.3%, 기타 다른 정당 2.5%,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9% 등이다. 대전·충청·세종은 국민의힘 45.2%, 민주당 41.7%, 개혁신당 1.9%, 조국혁신당 0.8%, 기타 다른 정당 4.4%, 지지 정당 없음 6.0% 등이다. 강원·제주는 민주당 42%, 국민의힘 31.4%, 개혁신당 7.3%, 조국혁신당 4.3%, 진보당 2.4%, 기타 다른 정당 8.1%, 지지 정당 없음 4.4% 등이다. 부산·울산·경남은 국민의힘 47.1%, 민주당 34.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2.0%, 기타 다른 정당 2.1%, 지지 정당 없음 8.8%, 잘모름 1.1% 등이다. 대구·경북은 국민의힘 57.3%, 국민의힘 29.1%, 조국혁신당 3.8%, 기타 다른 정당 3.1%, 지지 정당 없음 6.7% 등이다. 광주·전남·전북은 민주당 63.7%, 국민의힘 22.1%, 조국혁신당 3.9%, 진보당 1.9%, 개혁신당 1.0%, 기타 다른 정당 2.3%, 지지 정당 없음 3.1%, 잘모름 2.0% 등이다. 성별로 보면 남성은 민주당 41.1%, 국민의힘 38.7%, 조국혁신당 4.2%, 개혁신당 3.3%, 진보당 1.1%, 기타 다른 정당 2.4%, 지지 정당 없음 8.6%, 잘모름 0.6% 등이다. 여성은 민주당 43.5%, 국민의힘 40.7%, 조국혁신당 2.9%, 개혁신당 1.4%, 진보당 0.4%, 기타 다른 정당 3.8%, 지지 정당 없음 6.7%, 잘모름 0.7% 등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윤석열 대통령에 대한 탄핵이 기각될 수 있다는 예상과 극우 인사 준동, 국민의힘까지 힘을 합치며 (보수) 세력이 뭉치는 밴드왜건 효과로 국민의힘 지지율이 상승했으나 이제는 (보수 결집이) 정점에 이르렀다"며 "윤석열 대통령의 헌법재판소 법정 발언에 반감이 생기고 일부 극우 인사들이 밖에서 탄핵 무효를 외치는 게 중도층에는 꼴불견으로 비춰지고 있다"고 분석했다. 이어 "극우 인사들의 준동이 해도 너무 한다는 생각을 하는 사람이 늘며 국민의힘 지지율이 정점에서 하향 추세를 보이고 있다"고 부연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무작위 전화걸기(RDD)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8.1%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ce@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