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북 안동에서 개 700마리 불에 타 죽어
재해 발생 시 반려동물 지원 '사각지대'
동물단체-수의사회 등 '원스톱' 인프라 구축
정부 "지역 동물보호센터 국비 지원 검토"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정부가 재난상황 시 동물을 구조하고 보호할 수 있는 지침을 새롭게 만들어 체계적인 관리에 나설 방침이다. 최근 영남지역을 중심으로 발생한 대형 산불 등 재난 발생 시 반려동물 지원은 '사각지대'에 놓여있다는 지적을 수용하면서다.
또 주부부처인 농림축산식품부는 지역 거점별 동물보호센터에 국비를 지원해 재난 발생 시 동물 구조·보호를 용이하게 하겠다는 복안을 세웠다.
3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농식품부는 이번 영남산불 피해 집계가 끝나는 대로 '재난상황 동물 구조·보호 대응 매뉴얼' 수립에 착수한다.
![]() |
[안동=뉴스핌] 최지환 기자 =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계속 이어지는 27일 경북 안동시 하회마을 인근 남후면 야산이 산불로 불타고 있다. 2025.03.27 choipix16@newspim.com |
지난달 21일 경북 의성에서 시작해 경북 인근 11개 시군으로 번진 영남산불로 인한 농작물 피해는 지난달 30일 기준 여의도 면적의 11.8배에 해당하는 3414ha(1ha는 1만㎡)로 추산됐다.
다만 반려동물 피해는 집계되지 않았다. 지금까지 산불·홍수·지진 등 대규모 재난 발생 시 반려동물 구조·보호 매뉴얼이 전무했기 때문이다.
정책이 사각지대에 놓이면서 반려동물 피해는 극심했다. 경북 안동의 한 개사육농장에서는 주인이 홀로 대피하면서 개 700마리가 불에 타 죽는 참사가 벌어졌다.
마당 개를 기르는 시골 풍습 역시 반려동물 피해를 더욱 키웠다. 주인들은 반려동물 목줄을 풀지 않은 채 도망갔고, 홀로 남은 반려동물은 그대로 목숨을 잃었다. 가까스로 구조됐지만,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었다.
이처럼 산불피해 지원 대책이 사람을 중심으로 설계됐다는 비판이 일자 주무부처인 농식품부가 대응 매뉴얼 수립에 착수했다.
농식품부는 우선 산불 피해 집계가 끝나는 대로 반려동물 단체와 수의사회, 한국동물약품협회, 펫 사료협회 등을 하나로 묶어 재난에 대응할 수 있는 '원스톱' 인프라를 구축한다.
![]() |
[영덕=뉴스핌] 정일구 기자 = 경북 의성에서 발생한 산불이 영덕까지 확산된 가운데 26일 오후 경북 영덕군 지품면의 산불 피해를 입은 한 민가에 개가 집을 지키고 있다. 2025.03.26 mironj19@newspim.com |
또 현재 재난보호소는 사람과 동물이 같이 들어갈 수 없는 상황을 고려해 동물을 격리·보호할 수 있는 임시 보호소 지정을 추진한다.
특히 농식품부는 재난 대응 인프라의 거점 역할을 할 지자체 동물보호센터에 재난 대응을 위한 예비비를 비축하는 방안을 검토한다.
전국 동물보호센터는 2023년 말 기준 총 228곳으로 이중 지자체가 직접 운영하는 곳은 70곳, 위탁 운영은 157곳으로 나타났다.
동물보호센터 인력은 총 984명이며 운용비용은 373억9000만원이다. 다만 동물보호센터 운영비용은 지자체가 전액 부담해 중앙정부 재정지원은 0원이다.
농식품부 담당자는 "동물보호센터 내역사업으로 재난 대응 자금을 지원하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며 "이번 계기로 반려동물 지원 대책을 조금 더 업그레이드시키겠다"고 강조했다.
농식품부는 이르면 올해 하반기까지 매뉴얼 초안을 마련하고, 국비 지원안은 내년 예산안 편성 과정에서 반영을 시도할 계획이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