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에 50% 관세 매긴 트럼프 "더 많은 세컨더리 관세 나올 것"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러시아 원유 수입을 이유로 인도에 대해 50%의 새 관세율을 발표한 가운데, 중국 역시 같은 사안으로 관세 대상이 될 수 있다고 밝혔다.
6일(현지시간) 백악관에서 트럼프 대통령은 '중국에도 같은 조치를 취할 계획이 있냐'는 질문에 "그럴 수도 있다. 아직 확답은 못 하겠지만, 인도 외에 다른 나라들도 관세 대상이 될 수 있다. 그중 하나가 중국일 수 있다"고 말했다.
이날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가 러시아산 석유를 계속 구매하는 것에 대한 대응으로 추가 관세 25%를 부과하는 행정명령에 서명했다. 이로써 인도에 부과되는 전체 관세는 기존 25%에 더해 50%로 올라갔다.
행정명령에는 러시아산 석유를 직·간접적으로 수입하는 다른 국가에 대해서도, 상무장관이 해당 사실을 발견할 경우 관련 부처와 협의해 제재 조치를 권고할 수 있도록 하는 조항이 포함돼 있다. 이에 따라 러시아 원유 수입 규모가 큰 중국도 잠재적인 관세 대상이 될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왜 중국보다 인도에 먼저 조치를 취했느냐는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인도 관세 발표가) 겨우 8시간 전의 일"이라며 "앞으로 더 많은 세컨더리 관세를 보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국과 중국은 현재 관세 휴전 상태를 유지하고 있으나, 러시아 변수로 인해 양국 관계가 다시 긴장 국면에 접어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된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스티브 위트코프 특사와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 간 회담에서 "큰 진전이 있었다"고 밝혔지만, 구체적인 회담 결과는 언급하지 않았다.
BCA 리서치의 수석 전략가 맷 거트켄은 전날 배런스와의 인터뷰에서 "현재 미·중 무역 협상은 사실상 미·러 협상에 인질로 잡힌 상태"라고 분석하며, "러시아가 결국 외교적 해법을 수용할 가능성은 있지만, 그 전까지의 긴장 고조와 부정적 뉴스는 중국과의 갈등 심화로 이어질 수 있다"고 전망했다.
![]() |
6일(현지시간) 백악관 오벌 오피스(대통령 집무실)에서 진행된 애플의 미국 내 투자 계획 발표 행사에서 발언하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
kwonji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