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News

속보

더보기

[주간추천주] 증권가 "롯데케미칼, 내년 역시 수익 개선 기대"

기사입력 : 2016년12월25일 09:00

최종수정 : 2016년12월26일 06:34

실적 개선 기대 종목들 위주로 추천 받아

[뉴스핌=조한송 기자] 이번 주(12월 26일~30일) 국내 증권사 6곳은 주간 추천주로 10개 종목을 제시했다. 이 중 롯데케미칼은 현대증권, 대신증권, 하나금융투자 등 3곳의 증권사로부터 러브콜을 받았다.

먼저 현대증권은 롯데케미칼에 대해 “4분기는 본래 비수기임에도 불구하고 이번에는 환율 상승과 납사 반등에 따른 스프레드 강세로 양호한 실적 달성이 기대된다”며 “내년 실적 역시 조인트벤처인 현대케미칼이 본격 가동하며 원재료 확보에 따른 추가적인 수익성 개선이 기대된다”고 봤다.

대신증권은 롯데케미칼의 긍정적인 업황에 주목했다. 회사 측은 “미국 에탄크래커(EEC) 중심으로 에틸렌 설비 증설이 지연돼 에틸렌 체인의 강세가 지속되고 있는 상황”이라며 “다운스트림 수요는 매우 견조하며 인도의 경기 호조에 따라 수요 증가는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봤다.

하나금융투자 역시 유가 하락에 따른 에틸렌 사이클이 지속할 것이라며 롯데케미칼을 추천주로 제시했다.

아모레G, 한솔케미칼 등 자회사의 선전으로 실적 개선이 기대되는 종목을 추천하는 움직임도 눈에 띈다.

하나금융투자는 아모레G를 추천하며 “자회사인 이니스프리와 에뛰드의 압도적 실적 모멘텀이 기대된다”며 “12MF 주가수익비율(PER) 역시 19배로 밸류에이션(평가가치) 저점 구간에 해당한다”고 사유를 들었다.

대신증권은 한솔케미칼을 추천하며  “최근 인수한 자회사 Tapex 이익이 반영되기 시작해 이익성이 강화됐다”며 “ 삼성전자의 양자점발광다이오(QLED) TV가 내년 1월 공개될 예정인데 한솔케미칼이 퀀텀닷 재료를 독점으로 공급하므로 이 과정에서 최대 수혜를 받을 것”이라고 언급했다.

한편 유안타증권은 LG디스플레이의 4분기 실적에 대한 기대감을 드러냈다.

회사 측은 “초고화질(UHD) TV 패널 공급부족 심화와 북미 지역 모바일 매출 비중 확대 등으로 4분기 영업이익 전분기 대비 50% 증가할 전망”이라며 “내년도 애플의 곡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휴대폰 출시와 더불어 OLED TV 부문 주문 지속 등으로 영업이익이 올해 대비 62% 증가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밖에도 KB금융, POSCO 등이 증권가 추천주 리스트에 이름을 올렸다.

 

[뉴스핌 Newspim] 조한송 기자 (1flower@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日 태평양 연안에 쓰나미 경보·대피령 [서울=뉴스핌] 오영상 기자 = 일본이 러시아 캄차카 반도에서 발생한 지진으로 인해 태평양 연안 지역에 발령했던 쓰나미 주의보를 '쓰나미 경보'로 상향 조정했다. 주의보가 경보로 상향 조정됨에 따라 일본 정부는 태평양 연안 쓰나미 경보 지역에 대피령을 내렸다. 일본 기상청은 홋카이도에서 와카야마현에 걸친 태평양 연안 지역에 쓰나미 경보를 발령했다. 그 외 지역은 주의보가 내려진 상태다. 예상되는 쓰나미 높이는 최대 3미터이다. 지역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북부 제외), 아오모리현 태평양 연안, 이와테현, 미야기현, 후쿠시마현, 이바라키현, 지바현 구주쿠리·외해안, 지바현 내만 등이다. 쓰나미의 가장 빠른 도달 예상 시각은 홋카이도 태평양 연안으로, 오전 10시경으로 예상된다. 30일 오전 8시 25분쯤 러시아 캄차카 반도 근해에서 규모 8.7의 지진이 발생했다. 이 지진으로 홋카이도 구시로시 등에서도 진도 2의 흔들림이 관측됐다. 기상청은 경보나 주의보가 해제될 때까지 바다에 들어가거나 해안가에 접근하지 말 것을 당부하고 있다. 일본 태평양 연안부의 쓰나미 경보 지역(빨간색 부분). 노란색은 주의보 [출처=웨더뉴스] goldendog@newspim.com 2025-07-30 10:15
사진
[단독] 내달 12일 정부조직개편안 발표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국정기획위원회의 정부조직개편안 발표가 오는 8월 12일 이뤄질 전망이다. 해체가 유력해보였던 금융위원회는 존치 가능성이 높아졌다.  당초 금융위원회의 금융정책 기능을 기획재정부로 이관하고, 남은 기능은 금융감독원과 통합해 금융감독위원회를 신설하는 안이 거의 확실시됐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전 금융위의 정책과 감독기능을 분리할 뜻을 밝혔고, 이재명 정부의 인수위원회 격인 국정기획위도 이 같은 안을 확정해 대통령실에 보고했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제33회 국무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29 photo@newspim.com 30일 뉴스핌의 취재를 종합하면 최근 국정기획위의 분위기는 다소 바뀌고 있다. 이재명 대통령이 금융위의 부동산 대출 규제와 중대재해 예방 제안에 대해 연이어 긍정 평가를 내놓은 것이 변화의 배경으로 작용하고 있다. 국정기획위도 정부조직개편안에 대한 재논의를 결정하고 다양한 의견을 수렴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 분위기 변화의 이유는 전문성과 업무 능력 때문이다. 이재명 정부가 출범한 지 두달이 되어가는 상황에서 금융위원회의 정책에 대한 대통령의 평가가 높아졌다. 이 대통령은 지난 15일 국무회의에서 "적절한 대출 규제로 부동산 안정 효과를 보고 있는 것 같다"고 금융위원장을 칭찬한 것에 이어, 지난 29일 국무회의에서는 김병환 금융위원장이 제안한 중대재해 예방 방안에 대해 "기준을 만들어서 대출과 투자에 불이익이 주는 것은 상장회사에 상당한 타격이 돼 효과가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금융 관련 전문성과 현안 대응력, 정책의 일관성을 위해 금융위를 존치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으며, 현재 국정기획위가 채택한 금융정책과 감독의 완전 분리가 중복 규제, 책임 회피 가능성이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여당 내에서는 금융위가 오히려 기획재정부가 맡고 있는 국제금융 기능까지 관할하는 법안까지 발의됐다. 윤준병 의원은 지난 7월 17일 발의한 정부조직개편안에는 이 같은 내용을 포함했다. 윤 의원은 "기획재정부는 거대 공룡과 같은 조직이니 분리하는 것이 효율적이지만 금융 부문은 국제금융과 국내금융을 하나로 묶어서 한 기관이 전문성을 갖고 하는 것이 의미가 있겠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물론 윤 의원이 경제와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기획재정위나 정무위원회 소속이 아닌 국회 농림해양수산식품위원회 소속인데다 국정기획위 내에서도 금융 파트를 담당하는 경제 1분과 위원이 아니라는 점에서 발의된 정부조직개편안의 영향력은 크지 않다는 분석도 있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국회 정무위원회 의원들은 대부분 금융위의 분리안에 대한 입장을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정부와 여당에서는 키를 대통령실이 쥐고 있다는 평가가 많다. 대통령실에 의해 정부조직안이 만들어지면 여당에서 이를 비토할 가능성은 거의 없다는 것이다. 한 금융위원회 관계자는 최근 정부조직개편안 추이에 대해서는 입장을 밝히지 않았지만, "금융위원회는 그동안 계엄이나 탄핵 상황에서도 부지런히 일해왔다. 최근에는 이 같은 노력들을 조금씩 인정받는 느낌도 든다"고 말했다. 국정기획위원회가 8월 14일 임기를 마치는 가운데, 임기 종료일 직전인 12일 경에 정부조직개편안을 발표할 것이라는 이야기가 여당에서 나온다. 금융정책을 담당하는 금융위원회가 존치될지, 아니면 기획재정부와 금융감독원으로 나눠질지 금융가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dedanhi@newspim.com 2025-07-30 14:4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