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라이브
KYD 디데이
중국 나우앤퓨처

속보

더보기

중국 소비자고발 3.15 완후이 타깃은 폭스바겐, 한국 칫솔 표준 미달 지적

기사입력 : 2018년03월16일 15:36

최종수정 : 2018년03월16일 16:39

폭스바겐 투아렉 중국 리콜 3만 대
일본 한국산 칫솔 표준 미달 지적, 식품 안전 가짜 제품 고발 多
공유자전거 쿠치 환불 안된 보증금 10억 위안

[뉴스핌=홍성현 기자] 중국 소비자의 날을 맞아 15일 저녁 방송된 2018년 ‘3∙15 완후이(晩會)’에서는 폭스바겐 자동차 엔진 결함이 최대 이슈였다. 그밖에 △일본 및 한국산 칫솔의 표준 미달 △공유자전거 보증금 환불 △식품 안전 문제 등이 완후이에서 지적됐다.

이번 3∙15 완후이는 ‘품질소비와 더 나은 삶(品質消費美好生活)’을 주제로, 짝퉁 식품 문제와 공공안전 문제에 특히 주목했다. 또 올해 양회(兩會, 전국인민대표대회와 전국정치협상회의)에서 ‘가짜 제품 근절’이 주요 이슈로 떠오름에 따라 가짜 상품 문제에도 무게가 실렸다.

3·15 완후이(晩會) <사진=바이두>

**3·15 완후이(晩會): 중국 정부 부처와 국영 중국중앙텔레비전(CCTV) 공동 주관으로 1991년부터 매년 소비자의 날(3월 15일) 생방송으로 진행하는 소비자 고발 프로그램이다. 

폭스바겐 설계 결함, 중국 리콜 대상 3만 대

올해 3.15완후이의 첫 번째 고발 대상은 세계적인 자동차 브랜드 폭스바겐이었다. 폭스바겐 투아렉 모델 엔진에 물(수분)이 침투해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지적됐다. 조사 결과 공기흡입구(에어인테이크) 설계 결함으로 인한 문제인 것으로 밝혀졌다.

당초 폭스바겐 투아렉에 결함이 있다는 소비자 불만 접수가 빗발치자, 폭스바겐은 “엔진 고장은 설계상의 문제와는 관련이 없다”며, ‘배수 밸브 제거’를 해결 방안으로 제시했다. 그러나 이 방식은 물가 주행 시 또 다른 문제를 야기한다고 소비자들은 지적했다.

폭스바겐은 3∙15 완후이를 일주일 앞둔 지난 3월 7일에서야 “일부 투아렉 차량을 리콜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폭스바겐 측은 “2018년 4월 30일부터 2014년 12월 21일부터 2017년 11월 12일 사이 생산된 일부 2015-2018년식 투아렉 모델을 회수한다”고 발표했다. 사측 통계에 따르면, 중국 대륙에는 회수 대상 차량이 3만 3142대에 달한다.   

제품 결함 문제가 지적된 폭스바겐 자동차 <사진=바이두>

◆ 일본 한국 수입산 칫솔 기준 미달

이번 3·15 완후이에서는 일본 한국 등 수입산 칫솔도 블랙리스트에 올랐다. 이날 방송에서는 중국인 장(張) 모 씨가 한국 모 브랜드 칫솔을 사용한 뒤 치아 주변에서 피가 나는 등 부작용을 겪었다는 불만을 랴오닝(遼寧) 출입국 검역국이 접수했다고 밝혔다. 랴오닝 검역국 조사에 따르면 일본, 한국산 칫솔의 60% 이상이 기준치에 부합되지 않는 불합격 제품인 것으로 집계됐다.

중국 국가 표준에서는 칫솔모의 날카로운 부분을 제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칫솔모 끝 날카로운 부분이 제거되지 않은 채 유통될 경우 소비자의 잇몸 손상이나 출혈을 야기할 수 있다는 설명이다. 방송에서는 일본, 한국에서 수입된 칫솔 중 상당수가 국제 표준 불합격이라고 지적했으며, 지금까지 중국 표준 불합격으로 리콜 처리된 일본 한국 등 수입산 칫솔이 51만 6000개에 달한다고 언급했다.

수입 칫솔 문제점을 지적하는 3·15 완후이 방송 화면 <사진=바이두>

◆ 공유자전거 ‘쿠치’ 환불 안된 보증금 1천7백억 원

공유자전거업체 쿠치(酷騎單車)의 보증금 환불(환급) 문제도 이날 전파를 탔다. 방송 화면에 등장한 소비자는 “쿠치 자전거 보증금을 돌려 받을 방법이 없다”며 “이건 거의 회사가 공개적으로 도둑질을 한 셈”이라고 불만을 제기했다.

CCTV 완후이 방송에 따르면 2017년부터 공유자전거 보증금 환불 문제가 상당수 업체에서 불거졌다. 고객서비스 담당부문에 연락이 되지 않거나 심지어는 아무런 설명 없이 ‘야반도주’하는 사건도 일어났다.

중국 소비자협회 조사에 따르면, 현재 공유자전거 업체 34곳이 도산해 보증금을 환불받지 못한 소비자들의 불만이 폭주하고 있다. 이 가운데 쿠치의 상황이 가장 심각하다는 설명이다. 쿠치와 관련해 접수된 소비자 불만 건수는 21만 건에 달하며, 금액은 10억 위안(약 1700억 원)이 넘는다.

공유자전거 쿠치(酷騎單車)의 자전거 <사진=바이두>

◆ 식품 안전 중시, 짝퉁 제품 집중 고발

올해 완후이에서는 식품 안전 및 짝퉁 제품에 관한 고발 비중이 높았다.

CCTV는 중국 3~4선(중소도시)와 농촌 지역 시장을 중심으로 짝퉁 제품이 횡행하고 있음을 지적했다. 산둥(山東) 짜오좡(棗莊)시 여러 업체가 호두 땅콩 음료 등 시중에 유행하고 있는 음료를 가짜로 제조해 판매하고 있으며, 심지어는 포장 디자인까지 전부 모방하는 경우도 있다고 고발했다.

일례로 캉위안식품(康源食品) 창고를 조사한 결과 호두 과육 관련 재료가 발견되지 않았고, 사측 관계자도 지금까지 호두 과육 대신 땅콩 잼과 호두 향을 첨가해왔다고 시인했음을 밝혔다. 제품에 ‘호두 과육 첨가’라고 표기했지만 실제로는 호두 과육이 들어가지 않는 것으로 판명된 것. 15일 방송 이후 캉위안식품은 관련 제품을 회수조치 하겠다고 발표했다.

현지 매체 보도에 따르면 허위사실 표기, 디자인 모방 등 위법 행위가 드러난 해당 업체들은 시장감독관리부처로 넘겨져 처분을 받을 예정이다.

중노년층을 주 소비층으로 한 수입 건강보조식품이 안고 있는 문제점도 고발됐다. 중국 식품 약품 관리국(食品藥品管理局)이 공안국(公安局)과 공동으로 가짜 제품 소탕 작업을 실시한 결과 불법 사례가 39만 7000건에 달했고, 3800여 개 업체가 생산 중단 혹은 영업 정지 처분을 받았다.

 

[뉴스핌 Newspim] 홍성현 기자 (hyun2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가덕도신공항 시공사 교체되나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장기간 표류한 부산 가덕도신공항 사업의 정상화를 위해 국토교통부가 우선협상대상자로 선정된 현대건설 컨소시엄(현대건설, 대우건설, 포스코이앤씨 등) 교체 가능성을 제기하면서 시공사가 전면적으로 바뀔지 주목된다. 2029년 개항이 사실상 물 건너가면서 국토부가 사업 진행에 속도를 내야 한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시공사측은 공사기간 연장, 공사비 증액을 포함한 게약조건 변경을 요구하고 있다. 일각에서는 가덕도신공항 공사 입찰 당시에도 우선협상대상자가 수의계약으로 결정된 만큼 국토부가 재입찰을 진행해도 대체 시공사를 찾기 어려울 것이란 관측이 나온다. 결국 양측이 자신들의 주장을 굽히지 않을 경우 상당기간 평행선을 달릴 가능성이 큰 상황이다.   가덕도신공항 공사 개요 및 국토교통부, 현대건설 컨소시엄 간 부지조성공사 기본설계 조건 입장 차이. [그래픽=김아랑 미술기자] ◆ 현대건설 "국토부 공기·공사비 못 맞춰… 안전 1순위" 8일 업계에 따르면 국토부는 가덕도신공항 기본설계안 변경 사유를 담은 시공단 입장을 기다리고 있다. 타당성이 입증되지 않을 경우 수의계약 취소까지 거론되는 상황이지만, 어느 쪽을 선택하든 개항 연기는 막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대건설 컨소시엄은 이번 주 중으로 정부에 공사기간을 기존 7년에서 9년으로 연장해야 하는 사유를 담은 설명자료를 제출할 예정이다. 컨소시엄은 지난주 국토부에 기본설계도서를 제출하면서 공사기간을 108개월로 제시했다. 국토부는 즉각 입찰공고에 제시된 공기(84개월)보다 2년이 더 필요한 구체적 사유와 설명자료 제출 등을 요구했다. 가덕도신공항 공사는 부산 강서구 가덕도 일대 666만9000㎡에 활주로와 방파제 등을 포함한 공항 시설 전반을 건설하는 10조5300억원의 규모 사업이다. 당초 2035년 6월 개항으로 추진됐지만 '2030 부산 세계 박람회'(엑스포) 유치 국면을 맞아 5년 이상 당겨졌다. 엑스포 유치가 무산된 후에도 정부의 가덕도신공항 조기 개항 방침은 그대로 유지됐다. 현대건설은 최대 깊이 60m에 달하는 대심도의 연약 지반을 매립해야 하는 공항 부지 특성상 지반 개량을 위해 해상 구조물인 케이슨을 설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케이슨은 육상에서 만든 뒤 해상으로 옮겨 바다에 가라앉힌 다음 안에 흙이나 모래를 채우는 방식으로 설치한다. 이 과정에서 약 7개월의 기간이 소요될 전망이다.  사업지 주변은 태풍이 발생하면 파도가 12m에 이르는 먼바다에 해당하는 지역이기에 높은 파도에 대비한 안전 시공법도 적용해야 한다. 한국개발연구원(KDI)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에도 "파랑의 영향을 크게 받는 12월~2월이나 태풍이 빈번하게 발생하는 7월에는 해상작업일수가 한 달에 10일 미만"이라며 "해상운반, 거치, 케이슨 속채움 등의 해상작업이 어렵다"고 적혀 있다. 현대건설 관계자는 "6개월간 250여 명의 인력을 투입해 사업성을 재검토한 결과 안전과 품질을 최우선으로 설계하려면 108개월이 필요하다는 결론을 냈다"며 "현재로서는 기본설계를 변경할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공사비 역시 정부가 내놓은 10조5000억원보다 최소 1조원을 증액해야 한다는 뜻도 내비쳤다. ◆ 형평성 안 맞아 시공단 바꾼단 국토부… 업계 반응은 "글쎄" 부산시는 즉각 입장문을 내고 "적정 공사 기간과 현장 여건, 시공 역량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시민이 납득할 수 있는 건설 계획을 제시해달라"며 "지역의 기대를 저버리는 일이 없도록 신속히 착공할 수 있는 대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반발했다. 국토부도 강경한 입장으로 맞섰다. 컨소시엄이 기본설계 기간을 준수하지 않으면 재입찰을 진행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언급했다. 국토부 관계자는 "즉시 TF(태스크포스)를 가동하고, 분야별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회의를 구성해 차회 입찰방식 등을 신속하게 검토하겠다"고 말했다.  박상우 국토부 장관 또한 지난달 29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전체회의에서 "현대건설이 국토부가 내건 조건에 맞춰 기본설계를 보완해온다면 그에 맞춘 조치를 하겠지만, 그렇지 않다면 '플랜B'를 가동할 수밖에 없다"며 재입찰 검토에 힘을 실었다. 사업자 선정 과정에서부터 공기 준수를 주요 요건으로 내세운 만큼 현 컨소시엄의 요구를 수용하는 것은 입찰 의사를 보였다가 포기한 타 건설사와의 형평성에 위배된다는 분위기다. 업계에선 국토부가 현대건설 컨소시엄에 실격 처분(DQ)을 내리고 재입찰을 진행하는 것보다 공기 협의를 하는 방향이 사업 속도를 높이는 데에 더욱 유리할 것이란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공항 건설 자체가 고난도인데다 해상 매립까지 수반하는 공사임에도 주어진 기간이 과도하게 짧다 보니 선뜻 손을 드는 회사를 찾기 어려울 가능성이 커서다. 최초 입찰 때도 이 같은 이유로 네 차례나 입찰이 유찰된 바 있다. 당시 공동도급 제한 조건이 과도하게 까다롭다는 비판이 일었다. 공사 규모가 10조원 이상인데 10대 건설업체 중 2개 업체를 초과해 컨소시엄을 구성할 수 없어 공사를 마치기 위한 위험 부담과 비용이 크다는 목소리가 커지자, 국토부는 3개사까지 참여 가능한 것으로 조건을 수정했다. 건설업계 관계자는 "공기가 당초 계획보다 절반가량 줄어든 데다 해안가 공사라 지반 침하 문제도 있어 난도가 매우 높다"며 "금액을 떠나 이런 공사는 위험 부담이 커서 참여하려는 회사가 많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전문가 또한 공사기간 연장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시점이라는 주장을 제기하고 있다. 박영강 동의대 명예교수는 "파도가 많은 외해에 속하는 가덕도 앞바다에 플로팅(해상에 부유하는 구조물을 설치하는 방식)과 같은 획기적인 공법을 적용하는 데에도 신중을 기해야 한다"고 말했다. 여훈구 KDI 재정투자평가실장은 "해외 유사공항 사례에서 보듯이 해상공항은 사업기간이 6~9년 정도 소요된다"며 "통상 매립공사에 가장 많은 시간과 비용이 소요되고 연약지반 처리, 호안공사(매립지 테두리를 만드는 공사) 등에도 다수의 인력이 장기간 사용되는 편"이라고 설명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2025-05-08 06:00
사진
콘클라베 첫날 교황 선출 실패...검은 연기 [뉴욕 런던=뉴스핌]김근철· 장일현 특파원=새 교황 선출을 위해 7일(현지시간) 시작된 콘클라베(추기경단 비밀 회의)에서 교황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날 오후 9시쯤 콘클라베가 열리고 있는 바티칸시티 시스티나 성당 굴뚝 위로 검은 연기가 피어올랐다. 이는 이번 콘클라베에 참여하는 추기경 133명의 첫 투표에서 선거인단 3분의 2 이상인 최소 89명의 지지를 얻은 후보가 없었다는 의미다. 새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가 열리고 있는 바티칸시티 시스티나 예배당의 지붕 굴뚝에서 7일(현지시간) 밤 교황 선출 실패를 알리는 검은 색 연기가 나오고 있다. [사진=로이터 뉴스핌] kckim100@newspim.com 콘클라베에서 추기경단의 3분의 2 이상 지지로 새 교황이 선출되면 교황청은 투표 용지를 태워 시스티나 성당 굴뚝에 흰 연기를 피우고, 아니면 검은 연기로 투표 결과를 알린다. 첫날 회의에 새 교황 선출이 이루어지지 않았기 때문에 추기경들은 시스티나 성당에 계속 머물면서 8일부터는 오전과 오후 각각 두 차례, 하루 최대 네 차례 투표해 제267대 교황을 뽑게 된다. 지난 2013년에는 다섯 번째 투표에서 프란치스코 교황이 선출됐다. 콘클라베는 가톨릭 규정에 따라 교황이 선종한 뒤 15∼20일 사이에 시작한다. 콘클라베 방식의 교황 선출은 1274년 그레고리오 10세가 정립했다. 정치적 외압이나 영향을 차단하기 위해 추기경들을 한곳에 몰아넣고 차기 교황을 뽑을 때까지 밖으로 나오지 못하게 했다. 시스티나 성당은 19세기 후반부터 콘클라베 장소로 사용되고 있다. 콘클라베에서는 모든 추기경이 후보인 동시에 유권자이다. 따로 후보를 정하지 않은 채 각자 적합하다고 생각하는 인물을 적어 내며, 3분의 2 이상 득표자가 나올 때까지 미켈란젤로의 '최후의 심판' 벽화가 있는 제단 앞에서 비밀 투표를 반복한다. kckim100@newspim.com 2025-05-08 04:5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