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미국·북미

속보

더보기

[팬데믹 현황] 누적확진 1억9848만명...네덜란드도 AZ백신 접종 중단 (15일 오후 1시26분)

기사입력 : 2021년03월15일 15:18

최종수정 : 2021년03월15일 15:18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전 세계 코로나19(COVID-19) 누적 확진자 수는 1억1984만명대를 기록 중이다. 누적 사망자 수는 265만명이 넘는다.

미국 존스홉킨스대학의 시스템사이언스·엔지니어링센터(CSSE) 코로나19 상황판에 따르면 한국시간 15일 오후 1시 26분 기준, 누적 확진자 수는 1억1984만8281명이다. 누적 사망자 수는 265만3641명이다.

15일 오후 1시 26분 기준 세계 코로나19 현황. [사진=존스홉킨스대 CSSE]

국가·지역별 누적 확진자는 ▲미국 2943만8222명 ▲브라질 1148만3370명 ▲인도 1135만9048명 ▲러시아 434만1381명 ▲영국 427만1710명 ▲프랑스 413만1874명 ▲이탈리아 322만3142명 ▲스페인 318만3704명 ▲터키 287만9390명 ▲독일 257만8842명 등이다.

국가·지역별 누적 사망자는 ▲미국 53만4880명 ▲브라질 27만8229명 ▲멕시코 19만4710명 ▲인도 15만8725명 ▲영국 12만5753명 ▲이탈리아 10만2145명 ▲프랑스 9만583명 ▲러시아 9만558명 ▲독일 7만3463명 ▲스페인 7만2258명 등으로 보고됐다.

◆ 파우치 "7월 4일께 CDC 지침 지금보다 훨씬 자유로울 것"

앤서니 파우치 미국 국립알레르기·전염병연구소(NIAID) 소장은 미 독립기념일인 오는 7월 4일에는 코로나19 지침이 "지금보다 훨씬 자유로울 것"이라고 알렸다.

14일(현지시간) CNN방송과 인터뷰한 파우치 소장은 "7월 4일까지 백신 배포가 이뤄지고 신규 감염 수준도 낮으면 지침은 지금보다 훨씬 자유로워질 것"이라고 말했다. 

비록 미 질병통제예방센터(CDC)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지침들을 완화할지에 대해서는 알지 못하지만 마스크 착용 의무화 해제나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가 여름에는 "상당한 수준으로 진행될 것"이라고 그는 덧붙였다.

현재 코로나19 지침은 가족 외 사람들과 접촉시 1.8m 거리두기를 유지하고, 마스크 착용을 권고하고 있다. 

전날 조 바이든 대통령도 독립기념일부터 소소한 일상으로 복귀가 가능할 것 같다고 발언한 바 있다. 

아워월드인데이터에 따르면 이날 기준 미국 내 백신 주사 접종 횟수는 1억570만회다. 100명 당 31.9명이 최소 한 차례 백신을 접종 받았다. 

◆ 네덜란드도 AZ백신 접종 중단

유럽서 아스트라제네카(AZ) 백신 접종을 중단하는 국가가 늘고 있다. 네덜란드가 14일(현지시간) AZ 백신 접종을 일시 중단한다고 밝혔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네덜란드 정부는 오는 29일까지 AZ백신 접종을 중단한다고 발표했다. 

보건 당국은 당초 향후 2주 동안 29만 도스 AZ백신을 접종할 계획이었다. 네덜란드는 1200만 도스를 선주문한 상황. 

이는 덴마크와 노르웨이에서 백신 부작용으로 의심되는 질환과 사망 사례가 보고되자 나온 예방조치다. 노르웨이에서는 간호사 등 의료종사자 3명이 백신을 맞고 혈전이 생겼거나 그로 인해 사망한 사례가 나왔다. 

AZ는 자사 백신이 혈전을 유발하는 부작용이 없다는 입장을 밝혔지만 의심사례는 계속 나오고 있다. 

이탈리아 북부 피에몬테주 보건 당국도 AZ백신을 맞은 50대 여성이 사망하자, 해당 일련번호의 백신 접종을 일시 중단했다.

현재까지 노르웨이, 덴마크, 오스트리아, 아이슬란드, 불가리아가 특정 제조단위 혹은 모든 AZ 백신 접종을 유보했다.

태국이 지난 12일 유럽 외 국가 최초로 AZ백신 접종을 연기하기도 했다.

 

wonjc6@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강선우 청문보고서 재송부 요청 [서울=뉴스핌] 박성준 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2일 국회에 국방부, 국가보훈부, 통일부, 여성가족부에 대한 인사청문 보고서 송부를 재요청했다. 강유정 대통령실 대변인은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금주 내에 임명을 마무리하고 신속한 국정 안정을 꾀하기 위해 기한은 오는 24일 목요일로 요청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서울=뉴스핌] 이재명 대통령이 지난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레젭 타입 에르도안 튀르키예 대통령과 전화 통화를 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현행 인사청문회법에 따르면 국회는 임명동의안 등이 제출된 날로부터 20일 이내에 청문 절차를 마무리해야 한다. 만약 국회가 이 기간 내에 청문보고서를 송부하지 않을 경우, 대통령은 그로부터 열흘 이내 범위에서 기한을 정해 국회에 송부를 재요청할 수 있다. 앞서 이 대통령은 논문 표절 논란이 불거진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명을 철회했으며, 보좌진 '갑질' 등 의혹이 불거진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임명 절차를 이어가기로 했다. 강 후보자와 관련해 야당뿐 아니라 시민사회단체들로부터도 반대 의견이 잇따르고 있다. parksj@newspim.com 2025-07-22 15:52
사진
[단독] '근로감독관법' 입법 초읽기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근로감독관 직무·권한·수사권 행사 기준 등 근로감독 업무 전반에 대해 체계적인 법적 근거를 마련하기 위한 근로감독관법 제정안이 발의될 예정이다.  이재명 대통령은 취임 이후 근로감독관 증원 의지를 꾸준히 밝혀왔다. 이 대통령 대선 공약에는 임기 내 근로감독관을 최대 1만명까지 늘린다는 계획이 담겼다. 전문가들은 현행 근로감독에 대한 법적 근거가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과 훈령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한 만큼, 증원에 앞서 법체계를 정비해야 한다고 조언한다.  21일 국회에 따르면 박홍배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근로감독관법 제정안 발의를 준비 중이다. 이르면 이번주 발의를 마무리하고 국회 설득에 나설 계획이다.  이재명 대통령이 17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제4회 수석·보좌관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사진=대통령실] 2025.07.17 photo@newspim.com 제정안은 근로감독의 내용과 감독관의 책임 및 권한 등을 명시하기 위해 마련됐다. 반복 위반 및 중대한 위법행위에 대한 즉각적 수사 착수 기준을 밝히고, 정기·수시·특별감독 유형 구분과 감독결과에 대한 처리기준을 명문화했다. 근로감독행정 정보시스템 및 노동행정포털 구축 등 디지털 행정 기반 마련, 권리구제지원관 도입 등 근로감독 역량 강화를 위한 재정적·행정적 지원 근거도 포함했다. 전문가들은 근로감독관 증원, 근로감독권 지방 이양 등 근로감독 관련 대통령 공약 사항을 이행하기 위해서는 법체계 정비가 먼저 필요하다고 보고 있다.  현행 법체계를 보면 근로감독관에 대한 법적 근거는 근로기준법 아래 시행령인 '근로감독관 규정'이 가장 상위 법령이고, 그 아래 시행규칙인 '근로감독관증 규칙'과 훈령 '근로감독관 집무규정' 등 단편적인 수준에 불과하다. 근로감독 내용과 감독관 권한 등을 구체적으로 밝히는 법적 근거가 부족한 상황이다. 이 대통령은 취임 이후 산업재해 예방을 위한 근로감독관 증원 및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 필요성을 반복 강조해 왔다.  이 대통령는 지난 10일 수석보좌관회의에서 위험 사업장 불시 단속과 이를 위한 근로감독관 대폭 증원 등을 지시한데 이어, 지난 17일에는 "산업안전 업무를 담당할 근로감독관을 300명 정도라도 신속하게 충원해 예방적 차원의 현장 점검을 불시에 상시적으로 해 나가기를 바란다"며 구체적 증원 규모까지 언급했다. 이 대통령이 근로감독관 확대를 추진하는데는 근로감독관 인력 부족이 한계치에 도달했기 때문이다. 노동사건은 급격히 증가하는데 반해, 이를 조사할 인력은 턱없이 부족하기 때문이다. 지난해 기준 임금체불 등 근로기준법 분야를 다루는 근로감독관 수는 2236명으로 지난 2019년 이후 정체 현상이 뚜렷하다.  김근주 한국노동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근로감독관과 더불어 이들이 2~3년마다 순환 근무하는 노동위원회 조사관의 업무가 증폭하고 있어 인원 확충이 요구되는 상황이다. (근로감독) 권한 일부를 지방정부에 이양하는 등의 논의도 있다"며 "이런 부분이 현행 체제로는 가능하지 않아 법체계 정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박 의원은 이번 제정안을 두고 "독자적인 근로감독법을 제정한다면 근로감독이라는 행정권한의 위상이 법적으로 확립될 것"이라며 "노동행정의 실행력이 강화될 뿐 아니라 일선 근로감독관의 전문성 제고와 집행의 일관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 2025-07-21 18: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