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청, AI 관세행정 본격 시동
'맞춤형 기술개발 2.0' 착수
[세종=뉴스핌] 김범주 기자 = 관세청과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대전 배재대학교에서 한국연구재단, 사업단 및 연구단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 2.0 사업' 착수보고회를 열었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연구단 공모에서 최종 선정된 4개 연구단은 세관 현장에서 즉시 적용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하고 실제 적용까지 검증하게 된다.
이 사업은 2021년부터 2024년까지 진행된 '1.0 사업'의 성과를 바탕으로 2028년까지 총 190억원을 투입해 추진된다. 앞선 '1.0 사업'은 특허 52건, 연구논문 340편, 소프트웨어 등록 18건, 혁신제품 지정 등 성과를 남겼다.
![]() |
이명구 관세청장이 9월 26일 배재대학교에서 '관세행정 현장 맞춤형 기술개발 2.0 사업' 착수보고회에서 발언 중이다. [제공=배재대] |
2.0 사업은 △AI 관세행정 구현 △국민 건강 보호 △사회 안전 확보를 목표로, 연구개발 전 과정에 세관 현장 전문가가 직접 참여해 현안을 기술로 해결하겠다는 점을 특징으로 담고 있다.
추진체계는 관세청·과기정통부·한국연구재단 등이 참여하는 사업추진위원회를 중심으로, 배재대학교 산학협력단이 총괄 사업단을 맡는다.
연구수행은 선박해양플랜트연구소, 경찰대 산학협력단, 한국과학기술원, 한국화학연구원 등이 맡는다. 세관 직원과 전문가로 구성된 자문단도 참여한다.
이명구 관세청장은 "관세행정의 인공지능(AI) 혁신을 앞당기고 참여기업의 성장을 지원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연구성과가 안전하고 신뢰받는 무역환경 조성으로 이어지도록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정택렬 과기정통부 공공융합연구정책관은 "과학기술과 행정 현장 간 협력을 통해 연구성과가 국민 생활과 안전 향상에 직접 기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것"이라고 말했다.
wideope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