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현구 기자 = 대전 국가정보자원관리원(국정자원) 화재로 정부가 관리하는 온라인 서비스가 대규모 마비 사태를 겪고 있다.
28일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에 따르면 지난 26일 리튬배터리 이전 작업 중 발생한 국정자원 화재로 가동을 중단한 시스템은 본원 관리 대상인 647개다. 이중 국민이 직접 이용하는 인터넷망 서비스는 436개, 행정내부망은 211개다.
![]() |
[인천=뉴스핌] 김학선 기자 = 27일 오후 국가정보자원관리원 화재로 정부 전산망이 멈추며 주요 공공서비스가 중단되고 있다. 이날 우체국 예금·보험 등 주요 서비스가 전면 중단 됐다. 우체국 ATM 기기에 사용불가 안내문이 붙어 있다. 2025.09.27 yooksa@newspim.com |
우선 행안부 서비스 중 정부24·국민비서·모바일신분증·정보공개시스템·온나라문서 등의 이용이 중단됐다. 다만 모바일신분증은 운전면허증·주민등록증 등과 같은 신분증 종류와 정부 공식 앱·민간 앱 구분에 따라 작동 여부가 다르다.
소방청은 119 신고를 전화와 문자로만 접수하고 있다. 경찰청은 과태료·범칙금 고지서 발송을 연기했다.
추석 연휴 '우편 대란' 우려를 낳고 있는 우정사업본부는 이날부터 우편·금융·보험 등 전체 서비스 정상 작동 여부를 점검하고 있다. 국가종합전자조달시스템인 '나라장터'도 마비됐으며, 조달청은 추석 전 개찰 건을 모두 연기하고 비상 대응 체제를 운영하고 있다.
보건복지부의 복지서비스 종합포털인 '복지로' 홈페이지도 아직 접속이 불가능하며, 기획재정부의 재정 정보 포털 '열린재정 재정정보공개시스템'과 산하기관 홈페이지 등도 접속이 불가능하다. 중소벤처기업부의 '중소벤처24'는 대체 서비스 주소를 공지하고 있다.
여성가족부 아이돌봄시스템도은 회원가입 시 실명인증과 결제가 제한됐고, 성범죄자 알림e는 주민번호 본인인증이 막혔다. 질병관리청 산하 국립감염병연구소·국립보건연구원·국가건강정보포털 등 이용도 불가능하다.
이에 이재명 대통령은 대통령은 이날 오전 비상대책회의를 주재하고 "신속한 정부 시스템의 복구와 가동, 국민 불편 최소화에 모든 역량을 집중하라"며 "국무총리와 행안부 장관은 물론 각 부처 장관과 공직자들이 비상한 자세로 사고 수습에 만전을 기해달라"고 주문했다.
앞서 이번 화재는 지난 26일 오후 8시15분경 관리원 5층 전산실에서 발생했다. 당시 작업 중이던 직원 13명이 리튬배터리 이동 작업을 하던 중 불꽃이 튀어 발화한 것으로 추정된다. 이 사고로 직원 1명이 화상을 입었으며, 전산실 7000여㎡(520.84㎡)가 거의 전소됐다. 총 740대 장비 중 배터리 384대가 피해를 입었다.
정부는 당일 밤부터 장애 상황을 인지하고 비상근무 체계로 전환했다. 행안부는 전날 오전 8시 10분 위기 경보 '심각' 단계를 발령하고 중대본을 가동했다. 전산 재난으로 중대본이 가동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hyun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