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토부 대광위와 전국 7개 도시철도기관 한자리에
철도 운영 효율화부터 해외 진출까지 논의
                        
                        [서울=뉴스핌] 정영희 기자 = 하루 850만명이 이용하는 도시철도의 서비스 품질과 지속 가능성 강화를 위해 정부가 전국 교통공사 머리를 맞댄다.
![]()  | 
| 도시철도 운영기관 협의체 조직도 [자료=국토교통부] | 
4일 국토교통부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이하 '대광위')는 세종시에서 전국 7개 도시철도 운영기관이 참여하는 제2차 '도시철도 운영기관 협의체' 회의를 개최한다고 밝혔다.
지난 3월 협의체 발족 이후 처음 열리는 전체 회의로, 서울·부산·대구·인천·광주·대전·경기 등 전국 주요 도시철도 운영기관이 모두 참석한다. 각 기관은 도시철도 운영 효율화, 신기술 도입, 해외사업 진출 등 공동 현안을 논의하며 실질적인 협력 방안을 모색할 예정이다.
대광위는 이번 회의에서 기존 기술·운영·제도 3개 분과 체계를 개편해 '대외협력 분과'를 새로 신설하고, '운영·제도 분과'로 통합하는 등 협의체의 실효성을 높이기로 했다.
새로 꾸려지는 대외협력 분과는 베트남 하노이·호치민 도시철도 등 해외사업 진출 가능성을 타진하고, 국내 기업 및 한국철도기술연구원 등 연구기관과의 협력 방안을 구체화한다. 운영·제도 분과는 운영비 절감과 제도 개선 과제를 중심으로 효율화 방안을 논의하고, 기술 분과는 기관별 우수 기술력 공유 및 무인운전 등 신기술 도입 방안을 검토한다.
이번 회의에서는 또한 도시철도망 계획의 대광위 이관 추진 현황과 발전 방안에 대한 한국교통연구원 발제 및 토의, 도시철도 안전성 강화 방안, 무인운전 기술 도입에 관한 논의가 이어진다. 베트남 하노이 도시철도 2·3호선 사업 참여 사례를 공유하며 국내 기업의 해외시장 진출 전략도 함께 다룰 예정이다.
김용석 대광위원장은 "도시철도는 하루 평균 850만명 이상이 이용하는 시민의 핵심 교통 인프라"라며 "운영 효율화와 서비스 품질 향상은 물론, 신기술 도입과 해외 협력체계 구축을 통해 도시철도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이끌겠다"고 말했다.
chulsoofriend@newspim.com


                
          
      
                        
                                    
                                    
                                            
                                                    
                                                    







                        
                        